한자 기록물 11

훈민정음 訓民正音 8/8 (解例 해례 / 鄭麟趾 序文 정인지 서)

269   鄭정麟인趾지 後후序서   鄭麟趾 後序   정인지 후서   정인지 후서 (뒤에 있는 서문)    270 有유天천地지自자然연之지聲성,, 則즉必필有유天천地지自자然연之지文문.. 有天地自然之聲, 則必有天地自然之文. 유천지자연지성, 즉필유천지자연지문. 천지자연에 소리가 있으니 천지자연에 반드시 글이 었어야 한다.  271 所소以이古고人인因인聲성制제字자,, 以이通통萬만物물之지情정,, 以이載재三삼才재之지道도,, 而이後후世세不불能능易역也야.. 所以古人因聲制字, 以通萬物之情, 以載三才之道, 而後世不能易也. 소이고인인성제자, 이통만물지정, 이재삼재지도, 이후세불능역야. 옛사람이 그 소리를..

훈민정음 訓民正音 7/8 (解例 해례 / 用字例 용자례)

229   用용字자例례   用字例   용자례   글자를 사용하는 예    230 初초聲성 初聲 초성 첫소리  231 ㄱㄱ 如여::감감爲위柿시 XX爲위蘆노。。 ㄱ 如:감爲柿 X爲蘆。 ㄱ 여:감위시 X위노。 ㄱ은 감처럼 쓰고 감시를 이른다. 갈처럼 쓰고 갈대로를 이른다.  232 ㅋㅋ 如여우우··케케爲위未미舂용稻도 콩콩爲위大대豆두 ㅋ 如우·케爲未舂稻 콩爲大豆 ㅋ 여우·케위미용도 콩위대두 ㅋ은 우케처럼 쓰고 미용도(겉벼)를 이른다. 콩처럼 쓰고 대두를 이른다.  233 ㆁㆁ 如여러러··爲위獺달 서서··爲위流류凘시 ㆁ 如러·爲獺 서·爲流凘 ㆁ 여러·위달 서·위류시 ㆁ은 ..

훈민정음 訓民正音 6/8 (解例 해례 / 合字解 합자해)

175 合합字자解해 合字解 합자해 글자를 합하는 방법 풀이  176 初초中중終종三삼聲성,, 合합而이成성字자.. 初中終三聲, 合而成字. 초중종삼성, 합이성자. 첫소리 가운데소리 끝소리 세 소리가 합쳐져서 글자가 된다.  177 初초聲성或혹在재中중聲성之지上상,, 或혹在재中중聲성之지左좌.. 初聲或在中聲之上, 或在中聲之左. 초성혹재중성지상, 혹재중성지좌. 첫소리는 가운데소리의 위에 있거나 혹은 가운데 소리의 왼쪽에 있다.  178 如여君군字자ㄱㄱ在재ㅜㅜ上상,, 業업字자ᅌᅌ在재ㅓㅓ左좌之지類류.. 如君字ㄱ在ㅜ上, 業字ᅌ在ㅓ左之類. 여군자ㄱ재ㅜ상, 업자ᅌ재ㅓ좌지류. 임금군자는 ㄱ이 ㅜ위에 있고, 업업자는 ㅇ이 ㅓ의 왼쪽에 있는 무리다.  179 中중聲성則즉圓원者자橫횡者자 在재初초聲성之지下하,, ㆍㆍ ㅡㅡ ..

훈민정음 訓民正音 5/8 (解例 해례 / 終聲解 종성해)

149 終종聲성解해 終聲解 종성해 끝소리 풀이    150   終종聲성者자 承승初초中중而이成성字자韻운。。 如여卽즉字자終종聲성是시ㄱㄱ ㄱㄱ居거즈즈終종而이爲위즉즉。。 洪홍字자終종聲성是시ㆁㆁ ㆁㆁ居거終종而이爲위之지類류。。 舌설脣순齒치喉후皆개同동。。   終聲者 承初中而成字韻。 如卽字終聲是ㄱ ㄱ居즈終而爲즉。 洪字終聲是ㆁ ㆁ居終而爲之類。 舌脣齒喉皆同。   종성자 승초중이성자운。 여즉자종성시ㄱ ㄱ거즈종이위즉。 홍자종성시ㆁ ㆁ거종이위지류。 설순치후개동。   끝소리는 첫소리와 가운데소리를 어어받아서 자운을 이룬다. 곧즉자의 끝소리는 ㄱ이다. ㄱ은 즈에 끝에 붙..

훈민정음 訓民正音 4/8 (解例 해례 / 中聲解 중성해)

138   中중聲성解해   中聲解   중성해   가운데 소리 풀이.     139   中중聲성者자 居거字자韻운之지中중 合합初초終종而이成성音음 如여呑탄字자中중聲성是시ㆍㆍ ㆍㆍ居거ㅌㅌㄴㄴ之지間간而이爲위。。 卽즉字자中중聲성是시ㅡㅡ ㅡㅡ居거ㅈㅈㄱㄱ之지間간而이爲위즉通。。 侵침字자中중聲성是시ㅣㅣ ㅣㅣ居거ㅊㅊㅁㅁ之지間간而이爲위침透之지類류。。 洪홍覃담君군業업欲욕穰양戌술彆별 皆개倣방此차。。 二이字자合합用용者자 ㅗㅗ與여ㅏㅏ同동出출於어ㆍㆍ 故고合합而이爲위ㅘㅘ。。 ㅛㅛ與여ㅑㅑ又우同동出출於어ㅣㅣ 故고合합而이爲위ㆇㆇ。。 ㅜㅜ與여ㅓㅓ同동出..

훈민정음 訓民正音 3/8 (解例 해례 / 初聲解 초성해)

127   初초聲성解해   初聲解   초성해   첫소리 풀이     128   正정音음初초聲성 卽즉韻운書서之지字자母모也야。。 聲성音음由유此차而이生생 故고曰왈母모。。 如여牙아音음君군字자初초聲성是시ㄱㄱ ㄱㄱ與여XX而이爲위군군。。 快쾌字자初초聲성是시ㅋㅋ ㅋㅋ與여ㅙㅙ而이爲위::쾌쾌。。 虯규字자初초聲성是시ㄲㄲ ㄲㄲ與여ㅠㅠ而이爲위뀨뀨。。 業업字자初초聲성是시ㆁㆁ ㆁㆁ與여XX而이爲위XX之지類류。。 舌설之지斗두呑탄覃담那나 脣순之지彆별漂표步보彌미 齒치之지卽즉侵침慈자戌술邪사 喉후之지挹읍虛허洪홍欲욕 半반舌설半반齒치之지閭려穰양 皆개倣방此..

훈민정음 訓民正音 2/8 (解例 해례 / 制字解 제자해)

33   訓훈民민正정音음解해例례   訓民正音解例   훈민정음해례   훈민정음 사용법 설명     34   制제字자解해   制字解   제자해   글자를 만든 원리 풀이     35   天천地지之지道도 一일陰음陽양五오行행而이已이。。 坤곤復복之지間간爲위太태極극 而이動동靜정之지後후爲위陰음陽양。。 凡범有유生생類류在재天천地지之지間간者자 捨사陰음陽양而이何하之지。。 故고人인之지聲성音음 皆개有유陰음陽양之지理리 ..

훈민정음 訓民正音 1/8 (御製序文 어제서문 / 例義 예의)

목차임금의 글어제 서문본문(예의): 세종이 간략히 해설한, 글자의 운용 방법신하의 글해례(다섯 "해설"과 한 "예시"가 실렸기에 "해례"이다)제자해: 글자 창제에 관한 해설초성해: 초성 글자에 관한 해설중성해: 중성 글자에 관한 해설종성해: 종성 글자에 관한 해설합자해: 초중종 글자를 합한 글자에 관한 해설용자례: 글자를 활용한 예시정인지 후서: 정인지 서문의 위치를 따지면 "발문"에 가깝다. 발문은 책의 본문 끝에 그 내용의 대강이나 그에 관련된 일을 간략하게 적은 글. 이 발문은 "國之語音(국지어음)이…"로 시작하는 세종의 서문과 구분하기 위해 보통 "정인지 후서"라 칭하고 "정인지 서문"이라는 표현으로도 불린다.----------------------------------------- ..

광개토대왕비 (광개토대왕릉비) 비문

1   ..   .   .   광개토대왕비는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물입니다. 뿐만 아니라 한반도에 거주했던 우리 조상들이 남한과 북한 지역에서만 거주했던 것이 아니라 만주벌판, 요동, 내몽골 등 현재 중국, 러시아의 영토에도 거주하고 주권을 행사했던 기록입니다. 한자로된 비문을 풀어 읽어서 그 뜻을 전문가 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가슴에 새길 수 있도록 했으면 합니다.     2   惟유昔석始시祖조鄒추牟모王왕之지創창基기也야.. 出출自자北북夫부餘여 天천帝제之지子자 母모河하伯백女녀郎랑.. 剖부卵란降강世세 生생而이有유聖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