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75 |
合字解 |
合字解 |
합자해 |
글자를 합하는 방법 풀이 |
176 |
初中終三聲, 合而成字. |
初中終三聲, 合而成字. |
초중종삼성, 합이성자. |
첫소리 가운데소리 끝소리 세 소리가 합쳐져서 글자가 된다. |
177 |
初聲或在中聲之上, 或在中聲之左. |
初聲或在中聲之上, 或在中聲之左. |
초성혹재중성지상, 혹재중성지좌. |
첫소리는 가운데소리의 위에 있거나 혹은 가운데 소리의 왼쪽에 있다. |
178 |
如君字ㄱ在ㅜ上, 業字ᅌ在ㅓ左之類. |
如君字ㄱ在ㅜ上, 業字ᅌ在ㅓ左之類. |
여군자ㄱ재ㅜ상, 업자ᅌ재ㅓ좌지류. |
임금군자는 ㄱ이 ㅜ위에 있고, 업업자는 ㅇ이 ㅓ의 왼쪽에 있는 무리다. |
179 |
中聲則圓者橫者 在初聲之下, ㆍ ㅡ ㅗ ㅛ ㅜ ㅠ 是也. |
中聲則圓者橫者 在初聲之下, ㆍ ㅡ ㅗ ㅛ ㅜ ㅠ 是也. |
중성즉원자횡자 재초성지하, ㆍ ㅡ ㅗ ㅛ ㅜ ㅠ 시야. |
가운데소리 곧 둥근 것과 가로로 된 것은 첫소리의 아래에 있고 ㆍ ㅡ ㅗ ㅛ ㅜ ㅠ 이다. |
180 |
縱者在初聲之右 ㅣㅏㅑㅓㅕ是也. |
縱者在初聲之右 ㅣㅏㅑㅓㅕ是也. |
종자재초성지우 ㅣㅏㅑㅓㅕ시야. |
가로로되어 첫소리의 오른쪽에 있는 것은 ㅣㅏㅑㅓㅕ 이다. |
181 |
如呑字ㆍ在ㅌ下, 卽字ㅡ在ㅈ下, 侵字ㅣ在ㅊ右之類. |
如呑字ㆍ在ㅌ下, 卽字ㅡ在ㅈ下, 侵字ㅣ在ㅊ右之類. |
여탄자ㆍ재ㅌ하, 즉자ㅡ재ㅈ하, 침자ㅣ재ㅊ우지류. |
삼킬탄자는 ㅌ 아래에 ㆍ가 있고, 곧즉자는 ㅈ 아래에 ㅡ가 있고, 침노할침자는 ㅊ 왼쪽에 ㅣ가 있는 무리들이다. |
182 |
終聲在初中之下. |
終聲在初中之下. |
종성재초중지하. |
끝소리는 가운데소리의 아래에 있다. |
183 |
如君字ㄴ在구下 業字ㅂ在下之類. |
如君字ㄴ在구下 業字ㅂ在下之類. |
여군자ㄴ재彰하 업자ㅂ재하지류. |
임금군자는 구 아래에 ㄴ이 있다. 업업자는 어 아래에 ㅂ이 있는 무리이다. |
184 |
初聲二字三字合用竝書, 如諺語‧爲地, 爲隻, ‧爲隙之類. |
初聲二字三字合用竝書, 如諺語‧爲地, 爲隻, ‧爲隙之類. |
초성이자삼자합용병서, 여언어‧위지, 위척, ‧위극지류. |
첫소리는 두 글자 세 글자를 합쳐서 쌍음으로 쓸 수 있는데, 땅지의 언문 , 쌍쌍자의 언문 , 틈극의 언문 이 이런 무리들이다. |
185 |
各自竝書, 如諺語 ‧혀爲舌而 ‧爲引, 괴‧여爲我愛人而 괴‧爲人愛我, 소‧다爲覆物而 쏘‧다 爲射之之類. |
各自竝書, 如諺語 ‧혀爲舌而 ‧爲引, 괴‧여爲我愛人而 괴‧爲人愛我, 소‧다爲覆物而 쏘‧다 爲射之之類. |
각자병서, 여언어 ‧혀위설이 ‧위인, 暾‧播위아애인이 暾‧위인애아, 琦‧䌫위복물이 쏘‧䌫 위사지지류. |
낱자를 나란히 쓰는 경우는, 혀설의 언문인 혀 가 끌인의 언문은 가 되는 경우, 내가 남을 사랑한다는 언문 괴여가 남이 나를 사랑한다는 언문 괴 가 되는 경우, 물건을 덮는다는 소다 가 쏜다는 쏘다 가 되는 무리들이다. |
186 |
中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 ‧과爲琴柱, ‧홰爲炬之類. |
中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 ‧과爲琴柱, ‧홰爲炬之類. |
중성이자삼자합용, 여언어 ‧과위금주, ‧홰위거지류. |
가운데 소리 두 글자 세 글자를 합쳐서 사용하는 경우는, 거문고를 나타내는 언문 과, 횃불을 나타내는 홰 가 이런 무리들이다. |
187 |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 爲土, ‧낛 爲釣 ‧爲酉時之類. |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 爲土, ‧낛 爲釣 ‧爲酉時之類. |
종성이자삼자합용, 여언어 위토, ‧낛 위조 ‧위유시지류. |
끝소리를 두 글자 세 글자 합쳐서 사용하는 경우는 흙토를 나타내는 언문 , 낚을조를 나타내는 낛, 유시를 나타내는 등이 이런 무리들이다. |
188 |
其合用竝書, 自左而右, 初中終三聲皆同. |
其合用竝書, 自左而右, 初中終三聲皆同. |
기합용병서, 자좌이우, 초중종삼성개동. |
합쳐서 나란히 쓸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며, 첫소리 가운데소리 끝소리가 모두 같다. |
189 |
文與諺雜用則 有因字音 而補以中終聲者, 如孔子ㅣ魯ㅅ:사之類. |
文與諺雜用則 有因字音 而補以中終聲者, 如孔子ㅣ魯ㅅ:사之類. |
문여언잡용즉 유인자음 이보이중종성자, 여공자ㅣ로ㅅ:사지류. |
한문을 언문과 섞어서 쓸 때는, 한자음에 따라 가운데소리와 끝소리를 보태는 경우가 있는데, 孔子ㅣ, 魯ㅅ:사 같은 무리들이다. |
190 |
諺語平上去入, 如활爲弓而其聲平, :돌爲石而其聲上, ‧갈 爲刀而其聲去, 붇 爲筆而其聲入之類. |
諺語平上去入, 如활爲弓而其聲平, :돌爲石而其聲上, ‧갈 爲刀而其聲去, 붇 爲筆而其聲入之類. |
언어평상거입, 여활위궁이기성평, :돌위석이기성상, ‧갈 위도이기성거, 붇 위필이기성입지류. |
언문의 평상거입의 예를 들면, 활궁의 활이 평성이고, 돌석의 돌이 상성이고, 칼도의 갈이 거성이고, 붓필의 붇이 입성인 무리들이다. |
191 |
凡字之左, 加一點爲去聲, 二點爲上聲, 無點爲平聲. |
凡字之左, 加一點爲去聲, 二點爲上聲, 無點爲平聲. |
범자지좌, 가일점위거성, 이점위상성, 무점위평성. |
글자의 왼쪽에 점을 하나를 찍으면 거성, 점을 두 개를 찍으면 상성,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
192 |
而文之入聲, 與去聲相似. |
而文之入聲, 與去聲相似. |
이문지입성, 여거성상사. |
한자의 입성은 거성과 비슷하다. |
193 |
諺之入聲無定, 或似平聲, 如긷爲柱, 녑爲脅. |
諺之入聲無定, 或似平聲, 如긷爲柱, 녑爲脅. |
언지입성무정, 혹사평성, 여긷위주, 녑위협. |
언문에서 입성으로 정해진 것이 없다, 평성과 비슷하다, 기둥주를 나타내는 긷, 겨드랑이협을 나타내는 녑 과 같다. |
194 |
或似上聲, 如:낟爲穀, :깁爲繒 |
或似上聲, 如:낟爲穀, :깁爲繒 |
혹사상성, 여:낟위곡, :깁위증 |
혹은 상성과 닮은 것들은, 곡식곡을 나타내는 낟, 비단증을 나타내는 깁이다. |
195 |
或似去聲, 如‧몯爲釘, ‧입爲口之類. |
或似去聲, 如‧몯爲釘, ‧입爲口之類. |
혹사거성, 여‧몯위정, ‧입위구지류. |
혹은 거성을 닮은 것들은, 못정을 나타내는 몯, 입구를 나타내는 입 등이다. |
196 |
其加點則與平上去同. |
其加點則與平上去同. |
기가점즉여평상거동. |
그 점찍는 규칙은 평성, 상성, 거성과 같다. |
197 |
平聲安而和, 春也, 萬物舒泰. |
平聲安而和, 春也, 萬物舒泰. |
평성안이화, 춘야, 만물서태. |
평성은 편안하고 온화해서 봄이다. 만물이 펼쳐지고 커진다. |
198 |
上聲和而擧, 夏也, 萬物漸盛. |
上聲和而擧, 夏也, 萬物漸盛. |
상성화이거, 하야, 만물점성. |
상성은 부드럽게 들리니 여름이다. 만물이 점점 성장한다. |
199 |
去聲擧而壯, 秋也, 萬物成熟 |
去聲擧而壯, 秋也, 萬物成熟 |
거성거이장, 추야, 만물성숙 |
거성은 높고 장엄하니 가을이다. 만물이 익어간다. |
200 |
入聲促而塞, 冬也, 萬物閉藏. |
入聲促而塞, 冬也, 萬物閉藏. |
입성촉이새, 동야, 만물폐장. |
입성은 빠르고 막히니 겨울이다. 만물이 닫히고 감추어진다. |
201 |
初聲之ᅙ與ㅇ相似, 於諺可以通用也. |
初聲之ᅙ與ㅇ相似, 於諺可以通用也. |
초성지ᅙ여ㅇ상사, 어언가이통용야. |
첫소리 ᅙ와 ㅇ은 서로 닮았다. 언문으로는 서로 통용할 수 있다. |
202 |
半舌有輕重二音. |
半舌有輕重二音. |
반설유경중이음. |
반혓소리에는 가벼운 음과 무거운 음 둘이 있다. |
203 |
然韻書字母唯一, 且國語雖不分輕重, 皆得成音. |
然韻書字母唯一, 且國語雖不分輕重, 皆得成音. |
연운서자모유일, 차국어수불분경중, 개득성음. |
그러나 운서의 자모는 오직 하나이며, 또한 우리 나라 말에서는 가볍운 소리와 무거운 소리가 나누어지지 않고서도 모두 음이 이루어진다. |
204 |
若欲備用, 則依脣輕例, ㅇ連書ㄹ下, 爲半舌輕音, 舌乍附上齶. |
若欲備用, 則依脣輕例, ㅇ連書ㄹ下, 爲半舌輕音, 舌乍附上齶. |
약욕비용, 즉의순경례, ㅇ련서ㄹ하, 위반설경음, 설사부상악. |
만약에 갖추어서 쓰고자 하면 가벼운 입술 소리의 예에 따라 ㅇ자를 ㄹ자에 이어 아래에 쓰면, 가벼운 반혓소리가 되는데, 혀가 잠시 웃잇몸에 붙는다. |
205 |
ㆍㅡ起ㅣ聲, 於國語無用. |
ㆍㅡ起ㅣ聲, 於國語無用. |
ㆍㅡ기ㅣ성, 어국어무용. |
ㆍ와 ㅡ가 ㅣ소리에서 시작되는 경우는 우리나라 말에는 없다. |
206 |
兒童之言, 邊野之語, 或有之, 當合二字而用, 如XX之類. |
兒童之言, 邊野之語, 或有之, 當合二字而用, 如XX之類. |
아동지언, 변야지어, 혹유지, 당합이자이용, 여XX지류. |
어린이의 말이나 시골말에 혹 그것이 있는데, 마땅히 두 글자를 합하여 써야할 것이니, XX의 따위와 같다. |
207 |
其先縱 後橫, 與他不同. |
其先縱 後橫, 與他不同. |
기선종 후횡, 여타불동. |
세로를 먼저 쓰고 뒤에 가로를 적는데 다른 것들과는 같지 않다. |
208 |
訣曰 |
訣曰 |
결왈 |
결로 말하면 |
209 |
初聲在中聲左上 |
初聲在中聲左上 |
초성재중성좌상 |
첫소리는 가운데소리의 왼쪽과 위쪽에 있다. |
210 |
挹欲於諺用相同 |
挹欲於諺用相同 |
읍욕어언용상동 |
뜰읍(ㆆ)과 하고자할욕(ㅇ)은 우리말에서는 서로 같이 사용된다. |
211 |
中聲十一附初聲 |
中聲十一附初聲 |
중성십일부초성 |
가운데 소리 열한 자를 첫소리에 붙일 때는 |
212 |
圓橫書下右書縱 |
圓橫書下右書縱 |
원횡서하우서종 |
둥근 것과 가로된 것은 아래에 적고, 세로로 된 것은 오른쪽에 적는다. |
213 |
欲書終聲在何處 |
欲書終聲在何處 |
욕서종성재하처 |
끝소리를 쓰고자 할 때에는 어디에 해야 할까? |
214 |
初中聲下接着寫 |
初中聲下接着寫 |
초중성하접착사 |
첫소리와 가운데소리 아래에 붙여서 쓴다. |
215 |
初終合用各竝書 |
初終合用各竝書 |
초종합용각병서 |
첫소리와 끝소리를 합쳐서 사용할 경우에는 나란히 쓴다. |
216 |
中亦有合悉自左 |
中亦有合悉自左 |
중역유합실자좌 |
가운데 소리 또한 합쳐서 쓸 때는 모두 왼쪽부터 쓴다. |
217 |
諺之四聲何以辨 |
諺之四聲何以辨 |
언지사성하이변 |
우리말의 사성은 어떻게 구별하는가? |
218 |
平聲則弓上則石 |
平聲則弓上則石 |
평성즉궁상즉석 |
평성은 활궁(활)이고 상성은 돌석(돌)이다. |
219 |
刀爲去而筆爲入 |
刀爲去而筆爲入 |
도위거이필위입 |
칼도(갈)은 거성이고 붓필(붇)은 입성이다. |
220 |
觀此四物他可識 |
觀此四物他可識 |
관차사물타가식 |
이 네 가지를 보면 다른 것도 알 수 있다. |
221 |
音因左點四聲分 |
音因左點四聲分 |
음인좌점사성분 |
음의 왼쪽에 점을 찍어 사성을 구분한다. |
222 |
一去二上無點平 |
一去二上無點平 |
일거이상무점평 |
한 점은 거성, 두 점은 상성,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
223 |
語入無定亦加點 |
語入無定亦加點 |
어입무정역가점 |
우리 말에 입성은 정해진 것이 없지만 이 또한 점을 찍는다. |
224 |
文之入則似去聲 |
文之入則似去聲 |
문지입즉사거성 |
한자의 입성은 거성과 비슷하다. |
225 |
方言俚語萬不同 |
方言俚語萬不同 |
방언리어만부동 |
사투리와 민간의 말은 모두 같지는 않다. |
226 |
有聲無字書難通 |
有聲無字書難通 |
유성무자서난통 |
소리는 있고 글자가 없어 적어서 통하기가 어렵다. |
227 |
一朝制作俟神工 |
一朝制作俟神工 |
일조제작사신공 |
(임금께서 정음을) 하루 아침에 지으시니 신이 하신 일같다. |
228 |
大東千古開矇矓 |
大東千古開矇矓 |
대동천고개몽룡 |
동쪽의 큰 나라의 오랜 어두움과 아른거림이 마침내 걷혔다. |
728x90
'한자 기록물 > 훈민정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 訓民正音 8/8 (解例 해례 / 鄭麟趾 序文 정인지 서) (4) | 2024.11.14 |
---|---|
훈민정음 訓民正音 7/8 (解例 해례 / 用字例 용자례) (8) | 2024.11.14 |
훈민정음 訓民正音 5/8 (解例 해례 / 終聲解 종성해) (1) | 2024.11.14 |
훈민정음 訓民正音 4/8 (解例 해례 / 中聲解 중성해) (0) | 2024.11.14 |
훈민정음 訓民正音 3/8 (解例 해례 / 初聲解 초성해) (1)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