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007

訓民正音 諺解 (훈민정음 언해)

한자로 씌어진 훈민정음 혜례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언문 풀이를 기록한 문서가 훈문정음 언해이다. 한자에 음을 달아서 한자에 기반하여 기록한 부분과 한글로 기록한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15세기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한자한자발음언문언문발음현대어0世·솅宗御·엉製·졩訓·훈民민正·音세종어제훈민정음世·솅宗御·엉製·졩訓·훈民민正·音세종어제훈민정음세종임금께서 훈민정음을 만드셨다 1 국지어음이나·랏:말·미나랏말싸미나라의 말이 2 이호중국하야中國·귁·에 달·아듕귁에달아중국말과 달라서 3 여문자로불상류통할쌔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문자와로서르사맛디아이할쌔문자와 서로 맞지가 않는다 4 고로우민이유소욕언하야도·이런 젼··로 어·린 百·姓··이 니르·고·져 ··배 이..

한자 성경 04. 민수기

{"bn": "4", "cv": "1:1", "hangul": "민1:1 이스라엘 子孫(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온 後(후) 둘째 해 둘째 달 첫째 날에 여호와께서 시내 曠野(광야) 會幕(회막)에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bn": "4", "cv": "1:2", "hangul": "민1:2 너희는 이스라엘 子孫(자손)의 모든 會衆(회중) 各(각) 男子(남자)의 數(수)를 그들의 宗族(종족)과 祖上(조상)의 家門(가문)에 따라 그 名數(명수)대로 計數(계수)할지니"}, {"bn": "4", "cv": "1:3", "hangul": "민1:3 이스라엘 中(중) 二十(이십) 歲(세) 以上(이상)으로 싸움에 나갈 만한 모든 者(자)를 너와 아론은 그 陣營別(진영별)로 計數(계수)하되"}, {"bn":..

용비어천가

조선 세종 때 선조인 목조(穆祖)에서 태종(太宗)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로 임금이 된다는 것은 오랜 세월에 걸쳐 피나는 노력을 하여, 덕을 쌓아 하늘의 명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후대 임금은 이렇게 어렵게 쌓아올린 공덕을 헛되이 하지 말아야 할 것임을 경계하려는 데 있다. 원문이미지와 텍스가 있는 곳 https://kostma.aks.ac.kr/classic/gojunViewIframe.aspx?dataUCI=G002+CLA+KSM-WC.1612.0000-00000000.0007 한국고전원문자료관- 기타 안내정보 ◎ 한국고전원문자료관 활용 『삼강행실도』 원문 정보 ·구축사업 : 한국학진흥사업 ·원문입력 : 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연구팀. ·원문이미지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

한자 성경 03. 레위기

{"bn": "3", "cv": "1:1", "hangul": "레1:1 여호와께서 會幕(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bn": "3", "cv": "1:2", "hangul": "레1:2 이스라엘 子孫(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너희 中(중)에 누구든지 여호와께 禮物(예물)을 드리려거든 家畜(가축) 中(중)에서 소나 羊(양)으로 禮物(예물)을 드릴지니라"}, {"bn": "3", "cv": "1:3", "hangul": "레1:3 그 禮物(예물)이 소의 燔祭(번제)이면 欠(흠) 없는 수컷으로 會幕(회막) 門(문)에서 여호와 앞에 기쁘게 받으시도록 드릴지니라"}, {"bn": "3", "cv": "1:4", "hangul": "레1:4 그는 燔祭物(번제물)의 머리에 按手(안수..

한자 성경 02. 출애굽기

{"bn": "2", "cv": "1:1", "hangul": "출1:1 야곱과 함께 各各(각각) 自己(자기) 家族(가족)을 데리고 애굽에 이른 이스라엘 아들들의 이름은 이러하니"}, {"bn": "2", "cv": "1:2", "hangul": "출1:2 르우벤과 시므온과 레위와 유다와"}, {"bn": "2", "cv": "1:3", "hangul": "출1:3 잇사갈과 스불론과 베냐민과"}, {"bn": "2", "cv": "1:4", "hangul": "출1:4 단과 납달리와 갓과 아셀이요"}, {"bn": "2", "cv": "1:5", "hangul": "출1:5 야곱의 허리에서 나온 사람이 모두 七十(칠십)이요 요셉은 애굽에 있었더라"}, {"bn": "2", "cv": "1:6", "han..

이성계의 왜구 토벌 황산 전투 (1380년 9월)

황산 전투는 이성계가 북방에서 원나라와 홍건적과 싸워서 이긴 후 지리산 북쪽 남원 황산에서 왜구를 토벌한 전투이다. 왜구들은 서해안 서천에 배를 대고 상륙하여 충청도와 경상도 전라도를 유린한 후 황산에 주둔하고 있었다. 고려군이 화포로 배를 공격하여 불태우고 황산의 산악지형에서 각개 전투를 통해 왜구를 토벌했다. 정말 다행이었던 것은 왜구들이 대포가 없었고 조총이 없었기에 말을 타고 싸우는 아주 고전적 평지 전투의 전력만 있었기에 공성전과 평지전 기마전 산악전 등 다양한 전투 경험을 보유한 이성계의 병력에 의해 충분히 제압되었다. 일본은 이런 약점을 임진왜란때 조총으로 보완하여 조선을 침공하게 된다.조선의 육군은 200년동안 이순신의 함포 공격과 함대 공격과 같은 혁신적인 전술 개발 없이 기존 승리에 ..

쌍성총관부 수복 (1356년)

이성계는 전주 이씨인데 원나라 소속의 쌍성총관부가 있던 함경도에서 태어났고 쌍성총관부 탈환에 공을 세워 고려인이 되기 전까지 원나라 관리였다. 왜 전주 이씨인 이성계 일가가 원나라 치하에 있는 함경도로 갔을까? 이성계의 고조할아버지인 목조 이안사의 이야기로부터 시작된다. 고려 말 전주, 관기와 사랑에 빠진 이안사...그런 가운데 전주에 파견 나온 정부 관리도 그 관기를 사랑하게 돼 결국 삼각관계가 되는데... - 이후 이안사는 삼척으로 부임하게 되지만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정부 관리 역시 강원도로 부임, 이안사는 삼척에서 다시 함경도 원산으로 도주한다. 함경도 이주 후 100년이 흐르고...이성계의 아버지 이자춘은 고려 귀화를 결심하는데... - 쌍성총관부 탈환의 공을 인정받아 고려로 귀환하게 된 이..

홍건적의 2차 침입 , 개경 함락 ( 1361년 ) , 개경 수복 ( 1362년 )

홍건적이 1차로 침입하였다가 물러난 후 고려조정에서는 적의 침입에 대비한 조치를 강구하였다. 공민왕 10년(1361) 10월에는 각 도에 사람을 보내어 軍의 현황을 점검하여 긴급 출동태세를 확립하도록 하고 각 사찰에서 보유하고 있는 말을 차출토록 하였으며, 그 다음달에는 公侯 이하의 지배층들로 하여금 위계에 따라 차등을 두어 戰馬를 내도록 지시하였다.588) 이러한 조치들은 당시 남쪽의 왜구와 북의 홍건적으로 인한 피해에 대하여 조정에서 얼마나 고심하고 있었는가를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이러한 상황 아래 홍건적은 공민왕 10년 10월에 潘誠·沙劉·關先生·朱元帥·破頭潘 등이 10여 만의 대군을 이끌고 압록강을 건너 朔州에 침입하였다.589) 이들은 앞서 침입했던 적과 마찬가지로 중국의 산서지방으로부터 북..

한자 성경 01. 창세기

{ "book": [  {"bn": "1", "cv": "1:1", "hangul": "창1:1 太初(태초)에 하나님이 天地(천지)를 創造(창조)하시니라"},     {"bn": "1", "cv": "1:2", "hangul": "창1:2 땅이 混沌(혼돈)하고 空虛(공허)하며 黑暗(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靈(영)은 水面(수면) 위에 運行(운행)하시니라"},     {"bn": "1", "cv": "1:3", "hangul": "창1:3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bn": "1", "cv": "1:4", "hangul": "창1:4 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bn": "1", "cv": "1:5",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