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중일기/징비록 10

[징비록] 노량 해전

60. 최후의 결전 01 十십月월劉류提제督독再재攻공順순天천賊적營영 統통制제使사李리舜순臣신以이舟주師사大대敗패其기救구兵병於어海해中중舜순臣신死사之지﹒﹒ 賊적將장平평行행長장棄기城성而이遁둔釜부山산‧‧蔚울山산‧‧河하東동沿연海해賊적屯둔悉실退퇴﹒﹒ 時시行행長장築축城성于우順순天천芛순橋교堅견守수 劉류綎정以이大대兵병進진攻공不불利리還환順순天천旣기而이復복進진攻공之지﹒﹒ 십월류제독재공순천적영 통제사리순신이주사대패기구병어해중순신사지﹒ 적장평행장기성이둔부산‧울산‧하동연해적둔실퇴﹒ 시행장축성우순천순교견수 류정이대병진공불리환순천기이복진공지﹒ 10월 유제독이 다시 순전의 적 병영을 공격했다. 통제사 이순신은 적의 구원병을 바다 가운데서 크게 부쉈는데 순신은 전사하였다. 적장 평행장은 성을 버리고 도망하였고 부산, 울산 하동 연해에 주둔했..

[징비록] 절이도 해전

절이도 해전 01 是시時시舜순臣신已이有유軍군八팔千천餘여人인進진駐주古고今금島도患환乏핍糧량﹒﹒ 作작海해路로通통行행帖첩令령曰왈 三삼道도沿연海해公공私사船선無무帖첩者자以이奸간細세論론母모得득通통行행﹒﹒ 於어是시凡범避피亂란乘승船선者자皆개來래受수帖첩﹒﹒ 시시순신이유군팔천여인진주고금도환핍량﹒ 작해로통행첩령왈 삼도연해공사선무첩자이간세론모득통행﹒ 어시범피란승선자개래수첩﹒ 그 때 순신은 8천여명의 군인을 데리고 고금도 주둔했는데 양식이 부족했다. 해로통행첩을 만들어서 삼도연해의 공선과 사선 모두 통행첩이 없으면 간첩선으로 판단하여 통행하지 못하도록했다. 배를 타고 피난온 사람들은 모두 와서 통행첩을 받았다. 순신은 선박의 크기에 따라 차등 적으로 쌀을 받고 통행첩을 발급하였다. 절이도 해전 02 舜순臣신以이船선大대小소群군次차..

[징비록] 57. 이순신이 진도 벽파정에서 왜적을 쳐부숨

57. 이순신이 진도 벽파정에서 왜적을 쳐부숨 01 統통制제使사李리舜순臣신破파倭왜兵병于우珍진島도碧벽波파亨형下하殺살其기將장馬마多다時시﹒﹒ 舜순臣신至지珍진島도收수拾습兵병船선得득十십餘여隻척﹒﹒ 時시沿연海해人인乘승船선避피亂란者자無무數수聞문舜순臣신至지莫막不불喜희悅열﹒﹒ 舜순臣신分분道도招초呼호遠원近근雲운集집使사在재軍군後후以이助조形형勢세﹒﹒ 통제사리순신파왜병우진도벽파형하살기장마다시﹒ 순신지진도수습병선득십여척﹒ 시연해인승선피란자무수문순신지막불희열﹒ 순신분도초호원근운집사재군후이조형세﹒ 통제사 이순신이 왜병을 진도 벽파정에서 쳐부수고 그 장수 마다시를 죽였다. 순신은 진도에 도착해서 병선을 수습하여 10여척을 얻었다. 그 때 연안에 사는 사람 중 배를 타고 피란을 가는 무수한 사람들이 순신이 도착했다는 것을 듣고 기뻐하지..

[징비록] 55. 이순신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삼음

55. 이순신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삼음 01 復복起기李리舜순臣신爲위三삼道도水수軍군統통制제使사﹒﹒ 閑한山산敗패報보至지朝조野야震진駭해 上상引인見견備비邊변諸제臣신問문之지 群군臣신惶황惑혹不불知지所소對대﹒﹒ 慶경林림君군金김命명元원兵병曹조判판書서李리恒항福복從종容용啓계曰왈.. 此차元원均균之지罪죄 惟유當당起기李리舜순臣신爲위統통制제使사耳이從종之지﹒﹒ 복기리순신위삼도수군통제사﹒ 한산패보지조야진해 상인견비변제신문지 군신황혹불지소대﹒ 경림군김명원병조판서리항복종용계왈. 차원균지죄 유당기리순신위통제사이종지﹒ 다시 이순신을 일으켜 삼도수군통제사로 삼았다. 한산에서 패한 이후에 조정과 민간은 떨고 놀랐다. 여러 비변사를 불러올려 대책을 물었으나 모두들 당황하여 어찌할 줄을 몰라했다. 경림군과 김명원, 병조판서 이항복이 조용히 장..

[징비록] 51. 원균이 패하여 한산도 수군이 무너짐

53. 원균이 패하여 한산도 수군이 무너짐 01 八팔月월初초七칠日일閑한山산舟주師사潰궤﹒﹒ 統통制제使사元원均균﹒﹒全전羅라右우水수使사李리億억祺기死사慶경尚상右우水수使사裴배楔설走주免면﹒﹒ 初초元원均균餃교至지閑한山산盡진變변舜순臣신約약束속凡범褊편裨비士사卒졸稍초爲위舜순臣신所소任임使사者자皆개斥척去거﹒﹒ 以이李리英영男남詳상知지已이前전曰왈奔분敗패狀상尤우惡악之지軍군心심怨원憤분﹒﹒ 팔월초칠일한산주사궤﹒ 통제사원균﹒전라우수사리억기사경상우수사배설주면﹒ 초원균교지한산진변순신약속범편비사졸초위순신소임사자개척거﹒ 이리영남상지이전왈분패상우악지군심원분﹒ 8월 초7일 한산에서 수군에 궤멸되었다. 통제사 원균, 전라우수사 이억기가 전사했고 경상우수사 배설이 도주하여 죽음은 면했다. 처음 원균은 한산에 이르러 순신이 만들어 놓은 제도를 모두 바..

[징비록] 51. 이순신의 하옥

51. 이순신의 하옥 01 逮체水수軍군統통制제使사李리舜순臣신下하獄옥﹒﹒ 初초元원均균德덕舜순臣신來래救구 相상得득甚심歡환 旣기而이爭쟁功공 漸점不불相상能능﹒﹒ 均균性성險험詖피 且차多다連련絡락於어中중外외 搆구誣무舜순臣신 不불遺유餘여力력 每매言언 舜순臣신初초不불欲욕來래 因인我아固고請청乃내至지 勝승敵적我아爲위首수功공﹒﹒ 체수군통제사리순신하옥﹒ 초원균덕순신래구 상득심환 기이쟁공 점불상능﹒ 균성험피 차다련락어중외 구무순신 불유여력 매언 순신초불욕래 인아고청내지 승적아위수공﹒ 통제사 이순신을 체포하여 옥에 가두었다. 처음에 원균은 순신이 와서 구해 주어 서로 사이가 좋았다. 그런데 공을 다투기 시작하면서 점점 사이가 좋지 않게 되었다. 원균은 성격이 험하고 교활해서 중앙과 지방의 사람들과 연락하여 순신을 흠잡는데 힘을 ..

[징비록] 30. 이순신이 거북선으로 왜적을 격파함

30. 이순신이 거북선으로 왜적을 격파함 01 全전羅라水수軍군節절度도使사李리舜순臣신 與여慶경尚상右우水수使사元원均균 全전羅라右우水수使사李리億억祺기等등 大대破파賊적兵병于우巨거濟제洋양中중﹒﹒ 전라수군절도사리순신 여경상우수사원균 전라우수사리억기등 대파적병우거제양중﹒ 전라 수군 절도사 이순신이 경상우수사 원균, 전라우수사 이억기와 함게 적병을 거제 바다에서 대파하였다. 30. 이순신이 거북선으로 왜적을 격파함 02 初초賊적旣기登등陸륙 均균見견賊적勢세大대不불敢감出출擊격 悉실沉침其기戰전船선百백餘여艘소及급火화炮포軍군器기於어海해中중 獨독與여手수下하裨비將장李리英영男남‧‧李리雲운龍룡等등乘승四사船선奔분至지昆곤陽양海해口구欲욕下하陸륙避피賊적﹒﹒ 초적기등륙 균견적세대불감출격 실침기전선백여소급화포군기어해중 독여수하비장리영남‧리운룡등..

[징비록] 06. 이순신 발탁

06. 이순신 발탁 01 擢탁井정邑읍縣현監감 李리舜순臣신 爲위全전羅라左좌道도水수軍군節절度도使사.. 탁정읍현감 리순신 위전라좌도수군절도사. 정읍현감 이순신을 발탁하여 전라좌도수군절도사에 임명하였다. 06. 이순신 발탁 02 舜순臣신有유膽담略략善선騎기射사 嘗상爲위造조山산萬만戶호時시 北북邊변多다事사.. 순신유담략선기사 상위조산만호시 북변다사. 이순신은 담력이 세고 지략이 뛰어나며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해서 조산만호시절 북변에서 여러 가지 일이 있었다. 06. 이순신 발탁 03 舜순臣신以이計계誘유致치叛반胡호于우乙을其기乃내 縛박送송兵병營영斬참之지 虜로患환遂수息식.. 순신이계유치반호우을기내 박송병영참지 로환수식. 이순신이 계책으로 오랑캐인 우울기내를 유인하여 잡아서 병영에 보내 참한 이후에 근심거리가 사라졌다. 06..

징비록 목차

유성룡이 지은 징비록은 목차가 없다. 번역하는 사람들이 내용에 제목을 붙여서 목차를 만들었다. 懲懲錄 『징비록懲毖錄』 제 1 권 自序 자서 *******[권1] 1. 일본국사日本國使 귤강광橘康廣이 다녀감 1. 일본 사신 다치바나노 야스히로가 다녀감 2. 일본국사日本國使 의지義智 등이 옴 2. 일본 사신 소 요시토모가 옴 3. 우리 통신사通信使 황윤길黃允吉 등이 일본日本에 다녀옴 3. 통신사 황윤길과 김성일이 일본에 다녀 옴 4. 명明나라를 치겠다는 일본국서日本國書가 말썽이 됨 4. 일본이 명나라를 치겠다는 일본의 국서 문제 5. 다급한 군비軍備 5. 다급해진 국방 문제 6. 이순신李舜臣의 발탁 6. 이순신 발탁 7. 신립장군申砬將軍의 사람됨 7. 변방의 방비 상황 점검과 신립의 인품 8. 임진왜란壬辰倭亂..

징비록 원문

목차 懲懲錄 『징비록懲毖錄』 제 1 권 自序 자서 *******[권1] 1. 일본국사日本國使 귤강광橘康廣이 다녀감 1. 일본 사신 다치바나노 야스히로가 다녀감 2. 일본국사日本國使 의지義智 등이 옴 2. 일본 사신 소 요시토모가 옴 3. 우리 통신사通信使 황윤길黃允吉 등이 일본日本에 다녀옴 3. 통신사 황윤길과 김성일이 일본에 다녀 옴 4. 명明나라를 치겠다는 일본국서日本國書가 말썽이 됨 4. 일본이 명나라를 치겠다는 일본의 국서 문제 5. 다급한 군비軍備 5. 다급해진 국방 문제 6. 이순신李舜臣의 발탁 6. 이순신 발탁 7. 신립장군申砬將軍의 사람됨 7. 변방의 방비 상황 점검과 신립의 인품 8.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다 8. 임진왜란 일어남 9. 영남嶺南 여러 성城의 함락 9. 영남의 여러 지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