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27 |
初聲解 |
初聲解 |
초성해 |
첫소리 풀이 |
128 |
正音初聲 卽韻書之字母也。 聲音由此而生 故曰母。 如牙音君字初聲是ㄱ ㄱ與X而爲군。 快字初聲是ㅋ ㅋ與ㅙ而爲:쾌。 虯字初聲是ㄲ ㄲ與ㅠ而爲뀨。 業字初聲是ㆁ ㆁ與X而爲X之類。 舌之斗呑覃那 脣之彆漂步彌 齒之卽侵慈戌邪 喉之挹虛洪欲 半舌半齒之閭穰 皆倣此。 |
正音初聲 卽韻書之字母也。 聲音由此而生 故曰母。 如牙音君字初聲是ㄱ ㄱ與X而爲군。 快字初聲是ㅋ ㅋ與ㅙ而爲:쾌。 虯字初聲是ㄲ ㄲ與ㅠ而爲뀨。 業字初聲是ㆁ ㆁ與X而爲X之類。 舌之斗呑覃那 脣之彆漂步彌 齒之卽侵慈戌邪 喉之挹虛洪欲 半舌半齒之閭穰 皆倣此。 |
정음초성 즉운서지자모야。 성음유차이생 고왈모。 여아음군자초성시ㄱ ㄱ여X이위군。 쾌자초성시ㅋ ㅋ여ㅙ이위:쾌。 규자초성시ㄲ ㄲ여ㅠ이위뀨。 업자초성시ㆁ ㆁ여X이위X지류。 설지두탄담나 순지별표보미 치지즉침자술사 후지읍허홍욕 반설반치지려양 개방차。 |
정음의 첫소리는 운서의 자모이다. 말소리가 이것으로 부터 나오기 때문에 모라고 한다. 어금니 소리 임금군자의 첫소리 ㄱ이다. ㄱ은 ㅜㄴ과 합하여 군이된다. 쾌할쾌자의 첫소리는 ㅋ이다. ㅋ은 ㅙ와 함쳐져서 쾌가 된다. 규룡규자의 첫소리는 ㄲ이다. ㄲ은 유와 만나서 뀨가 된다. 업업자의 첫소리는 ㅇ이다. ㅇ은 ㅓㅂ과 만나서 업을 만드는 류이다. 혓소리 말두(ㄷ), 삼킬탄(ㅌ), 깊을담(ㄸ), 어찌나(ㄴ). 입술소리 활뒤틀릴별(ㅂ), 뜰표(ㅍ), 걸음보(ㅃ), 미륵미(ㅁ). 잇소리 곧즉(ㅈ), 침노할침(ㅊ), 사랑자(ㅉ), 개술(ㅅ), 간사할사(ㅆ). 목구멍소리는 뜰읍(ㅇ), 빌허(ㅎ), 넓을홍(ㅎㅎ), 하고자할욕(ㅇ). 반혓소리반잇소리는 이문려(ㄹ), 줄기양(ㅿ)은 모두 이와 같다. |
129 |
訣曰 |
訣曰 |
결왈 |
결로 말한다. |
130 |
君快虯業其聲牙 |
君快虯業其聲牙 |
군쾌규업기성아 |
임금군(ㄱ), 쾌할쾌(ㅋ), 규룡규(ㄲ), 업업(ㅇ)은 그 소리가 어금니소리이다. |
131 |
舌聲斗呑及覃那 |
舌聲斗呑及覃那 |
설성두탄급담나 |
혓소리는 말두(ㄷ), 삼킬탄(ㅌ), 깊을담(ㄸ), 어찌나(ㄴ). |
132 |
彆漂步彌則是脣 |
彆漂步彌則是脣 |
별표보미즉시순 |
활뒤틀릴별(ㅂ), 뜰표(ㅍ), 걸음보(ㅃ), 미륵미(ㅁ)는 입술소리이다. |
133 |
齒有卽侵慈戌邪 |
齒有卽侵慈戌邪 |
치유즉침자술사 |
잇소리에는 곧즉(ㅈ), 침노할침(ㅊ), 사랑자(ㅈ), 개술(ㅅ), 간사할사(ㅆ)가 있다. |
134 |
挹虛洪欲迺喉聲 |
挹虛洪欲迺喉聲 |
읍허홍욕내후성 |
뜰읍(ㆆ), 빌허(ㅎ), 넓을홍(ㅎㅎ), 하고자할욕(ㅇ)은 목구멍소리이다. |
135 |
閭爲半舌穰半齒 |
閭爲半舌穰半齒 |
려위반설양반치 |
이문려(ㄹ)는 반혓소리, 줄기양(ㅿ)는 반잇소리이다. |
136 |
二十三字是爲母 |
二十三字是爲母 |
이십삼자시위모 |
스물세자는 자모가 된다. |
137 |
萬聲生生皆自此 |
萬聲生生皆自此 |
만성생생개자차 |
온갖 소리 나는 것이 모두 이것에서 시작된다. |
728x90
'한자 기록물 > 훈민정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 訓民正音 5/8 (解例 해례 / 終聲解 종성해) (1) | 2024.11.14 |
---|---|
훈민정음 訓民正音 4/8 (解例 해례 / 中聲解 중성해) (0) | 2024.11.14 |
훈민정음 訓民正音 2/8 (解例 해례 / 制字解 제자해) (6) | 2024.11.14 |
훈민정음 訓民正音 1/8 (御製序文 어제서문 / 例義 예의) (2) | 2024.11.14 |
훈민정음 해례 (한자 원문) (1) | 2022.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