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중일기/1597년 정유년 12

1597년 2월 1일 선조실록 이순신의 출전 거부에 대한 반박 자료

1597년 2월 1일 선조실록에 이순신이 선조의 명령에도 출전을 거부해서 관직을 박탈 당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2022년 고광섭 교수의 논문에 4도 사령관인 이원익의 장계에 이순신이 출전을 감행하려했으나 병력의 소집이 늦어져서 출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 된 내용이 있습니다. 아주 명쾌한 자료인 것 같습니다. 참고하세요.

1597년 2월 1일 (선조실록)

1597년 2월 1일 1 (선조실록) ○○壬임戌술//命명下하統통制제使사李리舜순臣신于우獄옥,, 以이元원均균代대之지。。 ○임술/명하통제사리순신우옥, 이원균대지。 통제사 이순신(李舜臣)을 하옥시키라 명하고, 원균(元均)으로 대신하였다. 1597년 2월 1일 2 (선조실록) 先선是시,, 行행長장與여慶경尙상右우兵병使사金김應응瑞서相상通통,, 要요時시羅라居거間간往왕來래,, 其기所소言언若약有유與여淸청正정不불相상能능者자,, 我아國국信신之지。。 是시時시,, 倭왜賊적謀모再재犯범,, 憚탄我아舟주師사,, 尤우忌기舜순臣신,, 使사要요時시羅라來래言언:: ""和화事사之지不불成성,, 淸청正정實실主주張장之지。。 若약去거此차人인,, 則즉我아之지恨한釋석,, 而이貴귀國국之지患환,, 除제矣의。。 선시, 행장여경상우병사김응서상통, 요시라거간왕래..

1597년 1월 27일 (선조실록)

1597년 1월 27일 1 (선조실록) 判판中중樞추府부事사尹윤斗두壽수曰왈:: ""今금者자都도元원帥수,, 道도逢봉二이三삼,, 儻당或혹使사賊적得득售수其기兇흉逆역,, 則즉其기爲위辱욕國국,, 未미知지如여何하,, 宜의下하書서體체察찰使사,, 勿물爲위簡간易역出출入입,, 且차令령勦초滅멸零령賊적何하如여?? 李리舜순臣신不불用용朝조廷정命명令령,, 厭염於어臨림戰전,, 退퇴保보閑한山산,, 今금此차大대計계,, 不불得득施시爲위,, 大대小소人인臣신孰숙不불痛통憤분??"" 판중추부사윤두수왈: "금자도원수, 도봉이삼, 당혹사적득수기흉역, 즉기위욕국, 미지여하, 의하서체찰사, 물위간역출입, 차령초멸령적하여? 리순신불용조정명령, 염어림전, 퇴보한산, 금차대계, 불득시위, 대소인신숙불통분?" 판중추부사 윤두수가 아뢰기를, "이번에 도원수가 길..

1597년 정유년 12월

1597년 12월 1일 初초一일日일丁정巳사。。晴청。。溫온和화。。慶경尙상水수使사李리立립夫부到도陣진。。與여之지論론策책。。 초일일정사。청。온화。경상수사리립부도진。여지론책。 초 1일 정사. 맑음. 온화함. 경상우수사 이입부가 진에 도착했다. 같이 책략을 의논했다. 1597년 12월 2일 初초二이日일戊무午오。。晴청。。日일氣기極극暖난如여春춘。。靈령巖암鄕향兵병將장柳류長장春춘不불報보討토賊적之지由유。。决결杖장五오十십。。尹윤鴻홍山산,,金김宗종麗려,,白백振진男남,,鄭정遂수等등來래見견。。 초이일무오。청。일기극난여춘。령암향병장류장춘불보토적지유。결장오십。윤홍산,김종려,백진남,정수등래견。 초 2일 무오. 맑음. 날씨가 봄날처럼 아주 따뜻했다. 영암 향병장 류장춘이 적을 친 것을 보고하지 않았다. 곤장 50대를 판결했다. 윤홍산, ..

1597년 정유년 11월

1597년 11월 1일 初초一일日일戊무子자。。雨우雨우。。夕석。。北북風풍大대吹취。。達달夜야搖요舟주。。人인不불能능自자定정。。 초일일무자。우우。석。북풍대취。달야요주。인불능자정。 초일일 무자. 계속 비가 왔다. 북풍이 크게 불었다. 밤새 배가 흔들렸다. 배안에 탄 사람들이 가만히 있지 못할 지경이었다. 1597년 11월 2일 初초二이日일己기丑축。。陰음。。下하坐좌船선滄창監감造조橋교。。因인上상新신家가造조處처。。乘승昏혼下하船선。。 초이일기축。음。하좌선창감조교。인상신가조처。승혼하선。 초이일 기축. 흐림. 선창에 내려가 앉아서 다리 만드는 일을 감독했다. 새 집 짓는 곳에 올라갔다. 저물때까지 배에 타고있다 내렸다. 1597년 11월 3일 初초三삼日일庚경寅인。。晴청。。早조上상新신家가造조處처。。宣선傳전官관李리吉길元원。。以..

1597년 정유년 10월

1597년 10월 1일 初초一일日일戊무午오。。晴청。。兵병曹조驛역子자持지公공事사下하來래。。傳전牙아鄕향爲위賊적焚분蕩탕云운。。 초일일무오。청。병조역자지공사하래。전아향위적분탕운。 1일 무오. 맑음. 병조의 역자가 공문을 가지고 내려왔다. 고향 아산이 적에게 불질러졌다고 한다. 1597년 10월 2일 初초二이日일己기未미。。晴청。。豚돈薈회乘승船선上상去거。。未미知지好호往왕。。心심思사可가言언。。 초이일기미。청。돈회승선상거。미지호왕。심사가언。 2일 기미. 맑음. 아들 회가 배를 타고 갔다. 잘 갔는지 알 수가 없어 안타까운 마음 어찌 말로 다하랴. 1597년 10월 3일 初초三삼日일庚경申신。。晴청。。曉효。。發발船선還환到도法법聖성浦포。。 초삼일경신。청。효。발선환도법성포。 3일 경신. 맑음. 새벽. 배를 출발시켜 법성포로 ..

1597년 정유년 9월 (명량 해전)

1597년 9월 1일 初초一일日일己기丑축。。晴청。。 초일일기축。청。 1일 기축. 맑음. 1597년 9월 2일 初초二이日일庚경寅인。。晴청。。是시曉효。。裵배楔설逃도去거。。 초이일경인。청。시효。배설도거。 2일 경인. 맑음. 새벽에 배설이 도망갔다. 1597년 9월 3일 初초三삼日일辛신卯묘。。雨우。。 초삼일신묘。우。 3일 신묘. 비내림. 1597년 9월 4일 初초四사日일壬임辰진。。北북風풍大대吹취。。各각船선僅근得득保보完완。。 초사일임진。북풍대취。각선근득보완。 4일 임진. 북풍이 크게 불었다. 각 전선들의 보수를 겨우 완성하였다. 1597년 9월 5일 初초五오日일癸계巳사。。北북風풍大대吹취。。 초오일계사。북풍대취。 5일 계사. 북풍이 크게 불었다. 1597년 9월 6일 初초六륙日일甲갑午오。。風풍乍사息식而이波파浪랑不불..

1597년 정유년 8월

1597년 8월 1일 初초一일日일己기未미。。大대雨우水수漲창。。李리察찰訪방蓍시慶경來래見견。。 초일일기미。대우수창。리찰방시경래견。 1일 기미. 큰 비가 오고 물이 불었다. 찰방 이시경이 와서 보았다. 1597년 8월 2일 初초二이日일庚경申신。。乍사晴청。。 초이일경신。사청。 2일 경신. 잠깐 개었다. 1597년 8월 3일 初초三삼日일辛신酉유。。晴청。。早조朝조。。宣선傳전官관梁량護호。。賫재敎교諭유書서入입來래。。乃내兼겸三삼道도統통制제使사之지命명。。肅숙拜배後후祗지受수書서狀상書서封봉。。卽즉日일發발程정。。直직由유豆두峙치之지路로。。初초更경。。到도行행步보驛역歇헐馬마。。三삼更경。。登등程정到도豆두峙치。。則즉日일欲욕曙서矣의。。朴박南남海해失실路로。。誤오入입江강亭정。。故고下하馬마招초來래。。到도雙쌍溪계洞동。。則즉亂란石석稜릉稜릉。。新신..

1597년 정유년 7월

1597년 7월 1일 初초一일日일庚경寅인。。曉효雨우晩만晴청。。是시日일。。乃내仁인廟묘國국忌기。。而이黃황從종事사聽청笛적于우大대川천邊변云운。。可가愕악。。 초일일경인。효우만청。시일。내인묘국기。이황종사청적우대천변운。가악。 초일일 경인. 새벽에 비오다 저녁에 개었다. 인종의 제삿날인데 황종사가 큰 개울가에서 피리소리를 즐기고 있었다고 한다. 놀랄일이다. 1597년 7월 2일 初초二이日일辛신卯묘。。晴청。。 초이일신묘。청。 초이일 신묘. 맑음. 1597년 7월 3일 初초三삼日일壬임辰진。。晴청。。井정邑읍軍군士사李리良량,,崔최彦언環환,,巾건孫손等등三삼人인。。使사喚환事사送송來래。。○○陜합川천郡군守수吳오澐운來래見견。。多다言언山산城성之지事사。。○○午오後후。。往왕于우元원帥수陣진。。則즉左좌兵병使사軍군官관。。押압降강倭왜二이名명而이來..

1597년 정유년 6월

1597년 6월 1일 初초一일日일庚경申신。。雨우雨우。。早조發발。。到도淸청水수驛역歇헐馬마。。暮모投투丹단城성地지朴박好호元원農농奴노家가。。主주人인欣흔然연接접之지。。而이宿숙處처不불佳가。。艱간難난過과夜야。。 초일일경신。우우。조발。도청수역헐마。모투단성지박호원농노가。주인흔연접지。이숙처불가。간난과야。 초일일 경신. 계속 비가 왔다. 아침에 출발하여 청수역에 도착하여 말을 쉬게했다. 저물어서 단성 땅 박호원의 농노집에 들어갔다. 주인이 기뻐하며 맞아주었다. 잠자리가 좋지 못해서 밤을 간신히 어렵게 보냈다. 1597년 6월 2일 初초二이日일辛신酉유。。或혹雨우或혹晴청。。早조發발。。朝조飯반于우丹단溪계。。晩만到도三삼嘉가。。則즉主주倅쉬已이往왕山산城성。。宿숙于우空공舘관。。 초이일신유。혹우혹청。조발。조반우단계。만도삼가。즉주쉬이왕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