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기록물/훈민정음

훈민정음 訓民正音 4/8 (解例 해례 / 中聲解 중성해)

먹물 한자 2024. 11. 14. 21:13
728x90
 
138
 
 
中聲解
 
중성해
 
가운데 소리 풀이.
 
 
139
 
便
 
中聲者 居字韻之中 合初終而成音 如呑字中聲是ㆍ ㆍ居ㅌㄴ之間而爲。 卽字中聲是ㅡ ㅡ居ㅈㄱ之間而爲즉。 侵字中聲是ㅣ ㅣ居ㅊㅁ之間而爲침之類。 洪覃君業欲穰戌彆 皆倣此。 二字合用者 ㅗ與ㅏ同出於ㆍ 故合而爲ㅘ。 ㅛ與ㅑ又同出於ㅣ 故合而爲ㆇ。 ㅜ與ㅓ同出於ㅡ 故合而爲ㅝ。 ㅠ與ㅕ又同出於ㅣ 故合而ㆊ。 以其同出而爲類 故相合而不悖也。 一字中聲之與ㅣ相合者十 ㅓㅢㅚㅐㅟㅔㆉㅒㆌㅖ是也。 二字中聲之與ㅣ相合者四 ㅙㅞㆈㆋ是也。 ㅣ於深淺闔闢之聲 並能相隨者 以其舌展聲淺而便於開口也。 亦可見人之參贊開物而無所不通也。
 
중성자 거자운지중 합초종이성음 여탄자중성시ㆍ ㆍ거ㅌㄴ지간이위。 즉자중성시ㅡ ㅡ거ㅈㄱ지간이위通。 침자중성시ㅣ ㅣ거ㅊㅁ지간이위透지류。 홍담군업욕양술별 개방차。 이자합용자 ㅗ여ㅏ동출어ㆍ 고합이위ㅘ。 ㅛ여ㅑ우동출어ㅣ 고합이위ㆇ。 ㅜ여ㅓ동출어ㅡ 고합이위ㅝ。 ㅠ여ㅕ우동출어ㅣ 고합이ㆊ。 이기동출이위류 고상합이불패야。 일자중성지여ㅣ상합자십 ㅓㅢㅚㅐㅟㅔㆉㅒㆌㅖ시야。 이자중성지여ㅣ상합자사 ㅙㅞㆈㆋ시야。 ㅣ어심천합벽지성 병능상수자 이기설전성천이편어개구야。 역가견인지참찬개물이무소불통야。
 
가운데 소리는 자모와 운모의 가운데 놓여서 첫소리와 끝소리와 합하여 소리를 이룬다. 삼킬탄자의 가운데 소리는 ㆍ이다. ㆍ는 ㅌ과 ㄴ의 사이에 놓여서 이된다. 곧즉자의 가운데 소리 ㅡ이다. ㅡ는 ㅈ과 ㄱ사이에 놓여서 즉이된다. 침노할침자의 가운데 소리는 ㅣ이다. ㅣ는 ㅊ과 ㅁ사이에 놓여서 침이 되는 류이다. 넓을홍, 깊을담, 임금군, 업업, 하고자할욕, 줄기양, 개술, 활뒤틀릴별 모두가 이와 같다. 두 글자를 합하여 사용하는 글자는 ㅗ와 ㅏ가 다같이 ㆍ에서 나와서 합하여 ㅘ가된다. ㅛ와ㅑ가 ㅣ에서 나와서 합하여 ㆇ가 된다. ㅜ와 ㅓ가 같이 ㅡ에서 나와서 합쳐져서 ㅝ가 된다. ㅠ와 ㅕ가 ㅣ에서 나와서 합쳐져서 ㆊ가 된다。 함께 나와서 같은 류가 되므로 합쳐졌을 때 어그러지 않는다. 한글자의 가운데 소리ㅣ와 서로 합해지는 글자는 열자인데 ㅓㅢㅚㅐㅟㅔㆉㅒㆌㅖ이다. 두글자로된 가운데 소리로 ㅣ와 합쳐져는 글자는 넷인데 ㅙㅞㆈㆋ 이다. ㅣ가 깊은소리, 얕은소리, 오무린소리, 벌린소리와 어울려 같이 따라가는 것은 혀는 펴지고 소리는 얕아서 입을 벌리기 편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이 만물을 여는데 참여하고 통하지 않는 곳이 없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140
 
 
訣曰
 
결왈
 
결로 말하면
 
 
141
 
 
母字之音各有中
 
모자지음각유중
 
자모의 음에는 각각 가운데 소리가 있다.
 
 
142
 
 
須就中聲尋闢闔
 
수취중성심벽합
 
가운데 소리에 의해 열림과 닫힘이 있는 것을 찾아보라.
 
 
143
 
 
洪覃自呑可合用
 
홍담자탄가합용
 
넓을홍(ㅗ)과 깊을담(ㅏ)은 삼킬탄(ㆍ)에서 나와서 합쳐져서 사용할 수 있다.
 
 
144
 
 
君業出卽亦可合
 
군업출즉역가합
 
임금군(ㅜ)과 업업(ㅓ)는 곧즉(ㅡ)에서 나와서 합쳐질수 있다.
 
 
145
 
 
欲之與穰戌與彆
 
욕지여양술여별
 
하고자할욕(ㅛ)은 줄기양(ㅑ)과 개술(ㅠ)은 활뒤틀릴별(ㅕ)과
 
 
146
 
 
各有所從義可推
 
각유소종의가추
 
각각 따르는 이치가 있음을 미루어 알 수 있다.
 
 
147
 
 
侵之爲用最居多
 
침지위용최거다
 
침노할침(ㅣ)는 가장 많이 사용된다.
 
 
148
 
 
於十四聲徧相隨
 
어십사성편상수
 
열네 개의 소리에 두루 따른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