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29 |
用字例 |
用字例 |
용자례 |
글자를 사용하는 예 |
230 |
初聲 |
初聲 |
초성 |
첫소리 |
231 |
ㄱ 如:감爲柿 X爲蘆。 |
ㄱ 如:감爲柿 X爲蘆。 |
ㄱ 여:감위시 X위노。 |
ㄱ은 감처럼 쓰고 감시를 이른다. 갈처럼 쓰고 갈대로를 이른다. |
232 |
ㅋ 如우·케爲未舂稻 콩爲大豆 |
ㅋ 如우·케爲未舂稻 콩爲大豆 |
ㅋ 여우·케위미용도 콩위대두 |
ㅋ은 우케처럼 쓰고 미용도(겉벼)를 이른다. 콩처럼 쓰고 대두를 이른다. |
233 |
ㆁ 如러·爲獺 서·爲流凘 |
ㆁ 如러·爲獺 서·爲流凘 |
ㆁ 여러·위달 서·위류시 |
ㆁ은 러울과 같이 쓰고 수달달을 이른다. 서에로 쓰고 성에(유시: 흐를류 성엣장시)를 이른다. |
234 |
ㄷ 如·뒤爲茅 ·담爲墻 |
ㄷ 如·뒤爲茅 ·담爲墻 |
ㄷ 여·뒤위모 ·담위장 |
ㄷ은 뒤로 쓰고 띠모를 이른다. 담으로 쓰고 담장장을 이른다. |
235 |
ㅌ 如고·티爲繭 두텁爲蟾蜍 |
ㅌ 如고·티爲繭 두텁爲蟾蜍 |
ㅌ 여고·티위견 두텁위섬여 |
ㅌ은 고티로 쓰고 고치견을 이른다. 두텁은 섬여(두꺼비섬 두꺼비여)를 이른다. |
236 |
ㄴ 如노로爲獐 납爲猿 |
ㄴ 如노로爲獐 납爲猿 |
ㄴ 여노로위장 납위원 |
ㄴ은 노로같이 쓰고 노루장을 이른다. 납같이 쓰고 원숭이원을 이른다. |
237 |
ㅂ 如爲臂 :벌爲蜂 |
ㅂ 如爲臂 :벌爲蜂 |
ㅂ 여위비 :벌위봉 |
ㅂ은 과 같이 쓰고 팔비를 이른다. 벌같이 쓰고 벌봉을 이른다. |
238 |
ㅍ 如·파爲葱 ·爲蠅 |
ㅍ 如·파爲葱 ·爲蠅 |
ㅍ 여·파위총 ·위승 |
ㅍ은 파처럼 쓰고 파총을 이른다. 처럼 쓰고 파리승을 이른다. |
239 |
ㅁ 如:뫼爲山 ·마爲薯藇 |
ㅁ 如:뫼爲山 ·마爲薯藇 |
ㅁ 여:뫼위산 ·마위서여 |
ㅁ은 뫼처럼 쓰고 뫼산을 이른다. 마처럼 쓰고 서여(마서 마여)를 이른다. |
240 |
ㅸ 如사·爲蝦 드·爲瓠 |
ㅸ 如사·爲蝦 드·爲瓠 |
ㅸ 여사·위하 드·위호 |
ㅸ는 와 같이 쓰고 새우하를 이른다. 드·와 같이 쓰고 박호(박, 표주박)를 이른다. |
241 |
ㅈ 如·자爲尺 죠·爲紙 |
ㅈ 如·자爲尺 죠·爲紙 |
ㅈ 여·자위척 죠·위지 |
ㅈ은 ·자 처럼 쓰고 자척을 이른다. 죠· 처럼 쓰고 종이지를 이른다. |
242 |
ㅊ 如·체爲籭 ·채爲鞭 |
ㅊ 如·체爲籭 ·채爲鞭 |
ㅊ 여·체위사 ·채위편 |
ㅊ은 ·체 처럼 쓰고 체사를 이른다. ·채 처럼 쓰고 채찍편을 이른다. |
243 |
ㅅ 如·손爲手 :셤爲島 |
ㅅ 如·손爲手 :셤爲島 |
ㅅ 여·손위수 :셤위도 |
ㅅ은 ·손 처럼 쓰고 손수를 이른다. :셤 처럼 쓰고 섬도를 이른다. |
244 |
ㅎ 如·부爲鵂鶹 ·힘爲筋 |
ㅎ 如·부爲鵂鶹 ·힘爲筋 |
ㅎ 여·부위휴류 ·힘위근 |
ㅎ은 ·부 같이 쓰고 휴류(수리부엉이휴 올빼미류)를 이른다. ·힘 같이 쓰고 힘줄근을 이른다. |
245 |
ㅇ 如·비육爲鷄雛 ·얌爲蛇 |
ㅇ 如·비육爲鷄雛 ·얌爲蛇 |
ㅇ 여·비육위계추 ·얌위사 |
ㅇ은 ·비육 처럼 쓰고 계추(닭계 병아리추)를 이른다. ·얌 처럼 쓰고 뱀사를 이른다. |
246 |
ㄹ 如·무뤼爲雹 어·름爲氷 |
ㄹ 如·무뤼爲雹 어·름爲氷 |
ㄹ 여·무뤼위박 어·름위빙 |
ㄹ은 ·무뤼 처럼 쓰고 우박박을 이른다. 어·름 처럼 쓰고 얼음빙을 이른다. |
247 |
ㅿ 如아爲弟 :너爲鴇 |
ㅿ 如아爲弟 :너爲鴇 |
ㅿ 여아위제 :너위보 |
ㅿ는 아 처럼 쓰고 아우제를 이른다. :너 처럼 쓰고 능에보를 이른다. |
248 |
中聲 |
中聲 |
중성 |
가운데 소리 |
249 |
ㆍ 如·爲頤 ·爲小豆 리爲橋 ·X래爲楸 |
ㆍ 如·爲頤 ·爲小豆 리爲橋 ·X래爲楸 |
ㆍ 여·위이 ·위소두 리위교 ·X래위추 |
ㆍ는 · 처럼 쓰고 턱이를 이른다. 리 처럼 쓰고 다리교를 이른다. ·X래 처럼 쓰고 가래나무추를 이른다. |
250 |
ㅡ 如·믈爲水 ·발·측爲跟 그력爲雁 드·레爲汲器 |
ㅡ 如·믈爲水 ·발·측爲跟 그력爲雁 드·레爲汲器 |
ㅡ 여·믈위수 ·발·측위근 그력위안 드·레위급기 |
ㅡ는 ·믈 처럼 쓰고 물수를 이른다. ·발·측 처럼 쓰고 발꿈치근을 이른다. 그력 처럼 쓰고 기러기안을 이른다. 드·레 처럼 쓰고 급기(물길을급 그릇기, 두레박)를 이른다. |
251 |
ㅣ 如·깃爲巢 :밀爲蠟 ·피爲稷 ·키爲箕 |
ㅣ 如·깃爲巢 :밀爲蠟 ·피爲稷 ·키爲箕 |
ㅣ 여·깃위소 :밀위납 ·피위직 ·키위기 |
ㅣ는 ·깃 처럼 쓰고 새집소를 이른다. :밀 처럼 쓰고 밀랍랍을 이른다. ·키 처럼 쓰고 키기를 이른다. |
252 |
ㅗ 如·논爲水田 ·톱爲鉅 호·爲鉏 벼·로爲硯 |
ㅗ 如·논爲水田 ·톱爲鉅 호·爲鉏 벼·로爲硯 |
ㅗ 여·논위수전 ·톱위거 호·위서 벼·로위연 |
ㅗ는 ·논 처럼 쓰고 수전(물수 밭전)을 이른다. ·톱 처럼 쓰고 클거(톱)을 이른다. 호· 처럼 쓰고 호미서를 이른다. 벼·로 처럼 쓰고 벼루연을 이른다. |
253 |
ㅏ 如·밥爲飯 ·낟爲鎌 이·爲綜 사·爲鹿 |
ㅏ 如·밥爲飯 ·낟爲鎌 이·爲綜 사·爲鹿 |
ㅏ 여·밥위반 ·낟위겸 리·위종 사·위록 |
ㅏ는 ·밥 처럼 쓰고 밥반을 이른다. ·낟 처럼 쓰고 낟겸을 이른다. 이· 처럼 쓰고 모을종을 이른다. 사· 처럼 쓰고 사슴록을 이른다. |
254 |
ㅜ 如숫爲炭 ·울爲籬 누·에爲蚕 구·리爲銅 |
ㅜ 如숫爲炭 ·울爲籬 누·에爲蚕 구·리爲銅 |
ㅜ 여숫위탄 ·울위리 누·에위잠 구·리위동 |
ㅜ는 숫 처럼 쓰고 숯탄을 이른다. ·울 처럼 쓰고 울타리리를 이른다. 누·에 처럼 쓰고 누에잠을 이른다. 구·리 처럼 쓰고 구리동을 이른다. |
255 |
ㅓ 如브爲竈 :널爲板 서·리爲霜 버·들爲柳 |
ㅓ 如브爲竈 :널爲板 서·리爲霜 버·들爲柳 |
ㅓ 여브위조 :널위판 서·리위상 버·들위류 |
ㅓ는 브 처럼 쓰고 부엌조를 이른다. :널 처럼 쓰고 널판을 이른다. 서·리 처럼 쓰고 서리상을 이른다. 버·들 처럼 쓰고 버들류를 이른다. |
256 |
ㅛ 如:爲奴 ·고욤爲梬 ·쇼爲牛 삽됴爲蒼朮菜 |
ㅛ 如:爲奴 ·고욤爲梬 ·쇼爲牛 삽됴爲蒼朮菜 |
ㅛ 여:위노 ·고욤위영 ·쇼위우 삽됴위창출채 |
ㅛ는 : 처럼 쓰고 종노를 이른다. ·고욤 처럼 쓰고 고욤나무영을 이른다. ·쇼 처럼 쓰고 소우를 이른다. |
257 |
ㅑ 如남爲龜 약爲䵶鼊 다·야爲匜 쟈감爲蕎麥皮 |
ㅑ 如남爲龜 약爲䵶鼊 다·야爲匜 쟈감爲蕎麥皮 |
ㅑ 여남위구 약위구벽 다·야위이 쟈감위교맥피 |
ㅑ는 남 처럼 쓰고 거북구를 이른다. 약 처럼 쓰고 구벽(거북구 거북벽)을 이른다. 다·야 처럼 쓰고 대야이를 이른다. 쟈감 처럼 쓰고 교맥피(메밀교 보리맥 가죽피)를 이른다. |
258 |
ㅠ 如율믜爲薏苡 쥭爲飯喿 슈·룹爲雨繖 쥬련爲帨 |
ㅠ 如율믜爲薏苡 쥭爲飯喿 슈·룹爲雨繖 쥬련爲帨 |
ㅠ 여율믜위의이 쥭위반초 슈·룹위우산 쥬련위세 |
ㅠ는 율믜 처럼 쓰고 의이(율무의 질경이이)를 이른다. 쥭 처럼 쓰고 반초(밥반 가래초)를 이른다. 슈·룹 처럼 쓰고 우산(비우 우산산)을 이른다. 쥬련 처럼 쓰고 수건세를 이른다. |
259 |
ㅕ 如·엿爲飴餹 ·뎔爲佛寺 ·벼爲稻 :져비爲燕 |
ㅕ 如·엿爲飴餹 ·뎔爲佛寺 ·벼爲稻 :져비爲燕 |
ㅕ 여·엿위이당 ·뎔위불사 ·벼위도 :져비위연 |
ㅕ는 ·엿 처럼 쓰고 이당(엿이 엿당, 엿기름)을 이른다. ·뎔 처럼 쓰고 불사(부처불 관청사)를 이른다. ·벼 처럼 쓰고 벼도를 이른다. :져비 처럼 쓰고 제비연을 이른다. |
260 |
終聲 |
終聲 |
종성 |
끝소리 |
261 |
ㄱ 如닥爲楮 독爲甕 |
ㄱ 如닥爲楮 독爲甕 |
ㄱ 여닥위저 독위옹 |
ㄱ은 닥처럼 쓰고 닥나무저를 이른다. 독 처럼 쓰고 독옹을 이른다. |
262 |
ㆁ 如:굼爲蠐螬 ·올爲蝌蚪 |
ㆁ 如:굼爲蠐螬 ·올爲蝌蚪 |
ㆁ 여:굼위제조 ·올위과두 |
ㆁ은 :굼 처럼 쓰고 제조(굼벵이제 굼벵이조)를 이른다. ·올 처럼 쓰고 과두(올챙이과 올챙이두)를 이른다. |
263 |
ㄷ 如·갇爲笠 싣爲楓 |
ㄷ 如·갇爲笠 싣爲楓 |
ㄷ 여·갇위립 싣위풍 |
ㄷ은 ·갇 처럼 쓰고 삿갓립을 이른다. 싣 처럼 쓰고 단풍풍을 이른다. |
264 |
ㄴ 如·신爲屨 ·반되爲螢 |
ㄴ 如·신爲屨 ·반되爲螢 |
ㄴ 여·신위구 ·반되위형 |
ㄴ은 ·신 처럼 쓰고 신구를 이른다. ·반되 처럼쓰고 반디불이형을 이른다. |
265 |
ㅂ 如섭爲薪 ·굽爲蹄 |
ㅂ 如섭爲薪 ·굽爲蹄 |
ㅂ 여섭위신 ·굽위제 |
ㅂ은 섭 처럼 쓰고 섶신을 이른다. ·굽 처럼 쓰고 굽제를 이른다. |
266 |
ㅁ 如:범爲虎 :爲泉 |
ㅁ 如:범爲虎 :爲泉 |
ㅁ 여:범위호 :위천 |
ㅁ은 :범 처럼 쓰고 범호를 이른다. : 처럼 쓰고 샘천을 이른다. |
267 |
ㅅ 如:잣爲海松 ·못爲池 |
ㅅ 如:잣爲海松 ·못爲池 |
ㅅ 여:잣위해송 ·못위지 |
ㅅ은 :잣 처럼 쓰고 해송(바다해 소나무송)을 이른다. ·못 처럼 쓰고 못지를 이른다. |
268 |
ㄹ 如·爲月 :별爲星之類 |
ㄹ 如·爲月 :별爲星之類 |
ㄹ 여·위월 :별위성지류 |
ㄹ은 · 처럼 쓰고 달월을 이른다. :별 처럼 쓰고 별성 등의 무리를 이른다. |
728x90
'한자 기록물 > 훈민정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 訓民正音 8/8 (解例 해례 / 鄭麟趾 序文 정인지 서) (4) | 2024.11.14 |
---|---|
훈민정음 訓民正音 6/8 (解例 해례 / 合字解 합자해) (1) | 2024.11.14 |
훈민정음 訓民正音 5/8 (解例 해례 / 終聲解 종성해) (1) | 2024.11.14 |
훈민정음 訓民正音 4/8 (解例 해례 / 中聲解 중성해) (0) | 2024.11.14 |
훈민정음 訓民正音 3/8 (解例 해례 / 初聲解 초성해) (1)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