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중일기 103

1597년 2월 1일 선조실록 이순신의 출전 거부에 대한 반박 자료

1597년 2월 1일 선조실록에 이순신이 선조의 명령에도 출전을 거부해서 관직을 박탈 당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2022년 고광섭 교수의 논문에 4도 사령관인 이원익의 장계에 이순신이 출전을 감행하려했으나 병력의 소집이 늦어져서 출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 된 내용이 있습니다. 아주 명쾌한 자료인 것 같습니다. 참고하세요.

1596년 10월

1596년 10월 1일 初초一일日일甲갑子자。。雨우而이大대風풍。。曉효。。行행望망闕궐禮례。。卽즉發발覲근行행。。 초일일갑자。우이대풍。효。행망궐례。즉발근행。 초1일 갑자. 비가 내리고 바람이 크게 불었다. 새벽, 망궐례를 행했다. 어머님을 뵈러 갔다. 1596년 10월 2일 初초二이日일乙을丑축。。晴청而이大대風풍。。不불能능行행船선。。 초이일을축。청이대풍。불능행선。 초2일 을축. 맑았으나 바람이 세게 불었다. 배를 운행할 수 없었다. 1596년 10월 3일 初초三삼日일丙병寅인。。晴청。。陪배天천只지。。與여一일行행上상船선。。回회到도本본營영。。承승歡환終종日일。。多다幸행多다幸행。。 초삼일병인。청。배천지。여일행상선。회도본영。승환종일。다행다행。 초3일 병인. 맑음. 어머님을 모시고 배에 올랐다. 본영으로 돌아왔다. 종일 즐거..

1596년 9월

1596년 9월 1일 初초一일日일甲갑午오。。灑쇄雨우。。曉효。。行행望망闕궐禮례。。早조發발到도石석梯제院원。。午오後후。。到도靈령巖암。。宿숙于우鄕향社사堂당。。○○趙조正정郞랑彭팽年년來래見견。。崔최淑숙男남亦역來래見견。。 초일일갑오。쇄우。효。행망궐례。조발도석제원。오후。도령암。숙우향사당。○조정랑팽년래견。최숙남역래견。 초1일 갑오. 비가 뿌리듯 내렸다. 새벽, 망궐례를 행했다. 아침에 출발해서 석제원에 도착했다. 오후, 영암에 도착했다. 향사당에서 잤다. 정랑 조팽년이 와서 보았다. 최숙남도 와서 보았다. 1596년 9월 2일 初초二이日일乙을未미。。晴청。。留류靈령巖암。。 초이일을미。청。류령암。 초2일 을미. 맑음. 영암에 머물렀다. 1596년 9월 3일 初초三삼日일丙병申신。。晴청。。朝조發발到도羅라州주新신院원。。判판官관招..

1596년 윤 8월

1596년 윤8월 1일 初초一일日일乙을丑축。。晴청。。日일食식。。早조朝조。。到도飛비望망津진。。與여李리鯤곤變변等등同동朝조飯반相상別별。。暮모到도陣진中중則즉右우水수使사慶경尙상水수使사出출待대。。而이右우水수使사相상面면話화。。 초일일을축。청。일식。조조。도비망진。여리곤변등동조반상별。모도진중즉우수사경상수사출대。이우수사상면화。 초1일 을축. 맑음. 일식이 있었다. 이른 아침, 비방진에 도착했다. 이곤변 등과 같이 아침을 먹고 헤어졌다. 저물어서 진중에 도착했다. 우삿, 경상수사가 나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우수사와 얼굴을 보며 이야기했다. 1596년 윤8월 2일 初초二이日일丙병寅인。。晴청。。諸제將장來래見견。。晩만。。慶경尙상水수使사,,右우水수使사來래話화。。 초이일병인。청。제장래견。만。경상수사,우수사래화。 초2일 병인. 맑음...

1596년 8월

1596년 8월 1일 初초一일日일丙병申신。。晴청。。曉효。。行행望망闕궐禮례。。○○晩만。。波파知지島도權권管관宋송世세應응出출歸귀。。○○午오後후。。往왕射사塲장馳치馬마。。暮모還환。。○○釜부山산去거郭곽彦언守수還환來래。。傳전信신使사之지答답簡간。。 초일일병신。청。효。행망궐례。○만。파지도권관송세응출귀。○오후。왕사장치마。모환。○부산거곽언수환래。전신사지답간。 초1일 병신. 맑음. 새벽, 망궐례를 행했다. 늦은 시간, 파지도 권관 송세응이 돌아갔다. 오후, 활터로 말을 달렸다. 저물어서 돌아왔다. 부산갔던 곽언수가 돌아왔다. 통신사의 답간을 가지고 왔다. 1596년 8월 2일 初초二이日일丁정酉유。。雨우勢세大대作작。。 초이일정유。우세대작。 초2일 정유. 비가 크게 내렸다. 1596년 8월 3일 初초三삼日일戊무戌술。。晴청。。或혹..

1596년 7월

1596년 7월 1일 初초一일日일丙병寅인。。晴청。。以이國국忌기不불坐좌。。慶경尙상右우廵순使사到도陣진。。而이是시日일則즉不불爲위相상見견。。其기軍군官관羅라浤굉。。以이其기將장傳전語어事사來래此차。。 초일일병인。청。이국기불좌。경상우순사도진。이시일즉불위상견。기군관라굉。이기장전어사래차。 초1일 병인. 맑음. 국가의 기념일일이라 나가지 않았다. 경상우순사가 진에 도착했다. 이날 즉시 보지는 않았다. 군관 라굉이 그의 장수의 말을 전하기 위해 왔다. 1596년 7월 2일 初초二이日일丁정卯묘。。晴청。。往왕慶경尙상營영陣진。。與여廵순使사共공話화移이時시。。上상坐좌新신亭정。。分분邊변射사帿후。。慶경尙상廵순使사負부百백六륙十십二이畫화。。終종日일極극歡환。。 초이일정묘。청。왕경상영진。여순사공화이시。상좌신정。분변사후。경상순사부백륙십이화。종일극..

1596년 6월

1596년 6월 1일 初초一일日일丁정酉유。。陰음霖림終종日일。。晩만。。忠충淸청虞우候후及급營영虞우候후與여朴박崙륜,,申신景경澄징。。召소來래談담話화。。○○南남海해到도任임狀상來래呈정。。 초일일정유。음림종일。만。충청우후급영우후여박륜,신경징。소래담화。○남해도임상래정。 초1일 정유. 종일 흐리고 장맛비가 내렸다. 늦은 시간, 충청우후, 본영우후, 박륜, 신경징을 불러서 이야기했다. 남해가 와서 도임장을 바쳤다. 1596년 6월 2일 初초二이日일戊무戌술。。雨우勢세不불止지。。朝조。。虞우候후往왕防방踏답。。庇비仁인倅쉬申신景경澄징出출去거。。○○晩만出출坐좌。。射사帿후十십廵순。。皮피裙군造조下하。。 초이일무술。우세불지。조。우후왕방답。비인쉬신경징출거。○만출좌。사후십순。피군조하。 초2일 무술. 비가 그치지 않았다. 아침, 우후가 방답에..

1596년 5월

1596년 5월 1일 初초一일日일丁정卯묘。。陰음。。慶경尙상水수使사來래見견。。一일度도入입浴욕。。 초일일정묘。음。경상수사래견。일도입욕。 초1일 정묘. 흐림. 경상수사가 와서 보았다. 한 차례 목욕했다. 1596년 5월 2일 初초二이日일戊무辰진。。晴청。。早조浴욕還환陣진。。○○銃총筒통二이柄병鑄주成성。。○○金김助조防방及급趙조繼계宗종來래見견。。右우水수使사梟효金김仁인福복。。 초이일무진。청。조욕환진。○총통이병주성。○김조방급조계종래견。우수사효김인복。 초2일 무진. 맑음. 이른 아침 목욕하고 진으로 돌아왔다. 총통 2개를 주조해서 만들었다. 김조방장, 조계종이 와서 보았다. 우수사가 김인복의 목을 베어 효시하였다. 1596년 5월 3일 初초三삼日일己기巳사。。晴청。。旱한氣기太태甚심。。憂우悶민可가言언。。○○慶경尙상虞우候후來래..

1596년 4월

1596년 4월 1일 初초一일日일丁정酉유。。大대雨우。。與여愼신司사果과話화。。 초일일정유。대우。여신사과화。 초1일 정유. 큰 비가 왔다. 신사과와 이야기했다. 1596년 4월 2일 初초二이日일戊무戌술。。晴청。。慶경尙상水수使사以이副부察찰使사延연來래事사出출去거。。愼신司사果과同동船선行행。。 초이일무술。청。경상수사이부찰사연래사출거。신사과동선행。 초2일 무술. 맑음. 경상수사가 부찰사를 마중나갔다. 신사과도 같이 배타고 갔다. 1596년 4월 3일 初초三삼日일己기亥해。。晴청。。昨작夕석。。見견乃내梁량伏복兵병馳치報보。。倭왜奴노四사名명。。自자釜부山산興흥利리出출來래。。爲위風풍漂표流류云운。。故고曉효送송鹿록島도萬만戶호宋송汝여悰종。。問문其기事사由유。。探탐其기情정跡적。。則즉窺규探탐故고斬참之지。。 초삼일기해。청。작석。견내량복병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