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
0 |
|
訓民正音例義 |
|
訓民正音例義 |
|
훈민정음예의 |
|
훈민정음의 풀이 |
|
|
1 |
|
御製序文 |
|
御製序文 |
|
어제서문 |
|
임금께서 서문을 지으셨다. |
|
|
2 |
|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不相流通。 故愚民。 有所欲言而終不得伸其情者。 多矣。 予。 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易習。 便於日用耳 |
|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不相流通。 故愚民。 有所欲言而終不得伸其情者。 多矣。 予。 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易習。 便於日用耳 |
|
국지어음。 이호중국。 여문자불상류통。 고우민。 유소욕언이종불득신기정자。 다의。 여。 위차민연。 신제이십팔자。 욕사인인이습。 편어일용이 |
|
나라의 말소리가 중국과 다르다. 말소리가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않는다. 우매한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있어도 자신있게 못하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이들을 불쌍히 여겨서 새로 스물여덟자를 만들어서 사람들이 쉽게 익히고 날마다 편리하게 사용하게 되기를 바란다. |
|
|
3 |
|
例義 |
|
例義 |
|
예의 |
|
풀이 |
|
|
4 |
|
ㄱ。 牙音。 如君字初發聲 並書。 如虯字初發聲 |
|
ㄱ。 牙音。 如君字初發聲 並書。 如虯字初發聲 |
|
ㄱ。 아음。 여군자초발성 병서。 여규자초발성 |
|
ㄱ。 어금니소리。 임금군자의 첫소리와 같고 쌍자음으로도 쓰면。 규룡규자의 첫소리와 같다. |
|
|
5 |
|
ㅋ。 牙音。 如快字初發聲 |
|
ㅋ。 牙音。 如快字初發聲 |
|
ㅋ。 아음。 여쾌자초발성 |
|
ㅋ。 어금니 소리。 쾌할쾌자의 첫소리와 같다. |
|
|
6 |
|
ㆁ。 牙音。 如業字初發聲 |
|
ㆁ。 牙音。 如業字初發聲 |
|
ㆁ。 아음。 여업자초발성 |
|
ㆁ。 어금니 소리。 업업자의 첫소리와 같다. |
|
|
7 |
|
ㄷ。 舌音。 如斗字初發聲 並書。 如覃字初發聲 |
|
ㄷ。 舌音。 如斗字初發聲 並書。 如覃字初發聲 |
|
ㄷ。 설음。 여두자초발성 병서。 여담자초발성 |
|
ㄷ。 혓소리。 말두자의 첫소리와 같다. 쌍자음으로 쓰면。 깊을담자의 첫소리와 같다. |
|
|
8 |
|
ㅌ。 舌音。 如呑字初發聲 |
|
ㅌ。 舌音。 如呑字初發聲 |
|
ㅌ。 설음。 여탄자초발성 |
|
ㅌ。 혓소리。 삼킬탄자의 첫소리와 같다. |
|
|
9 |
|
ㄴ。 舌音。 如那字初發聲 |
|
ㄴ。 舌音。 如那字初發聲 |
|
ㄴ。 설음。 여나자초발성 |
|
ㄴ。 혓소리。 어찌나자와 첫소리가 같다. |
|
|
10 |
|
ㅂ。 脣音。 如彆字初發聲 並書。 如步字初發聲 |
|
ㅂ。 脣音。 如彆字初發聲 並書。 如步字初發聲 |
|
ㅂ。 순음。 여별자초발성 병서。 여보자초발성 |
|
ㅂ。 입술 소리。 활비틀릴별자와 첫 소리가 같다. 쌍자음으로 쓰면. 걸음보자와 첫 소리가 같다. |
|
|
11 |
|
ㅍ。 脣音。 如漂字初發聲 |
|
ㅍ。 脣音。 如漂字初發聲 |
|
ㅍ。 순음。 여표자초발성 |
|
ㅍ。 입술 소리。 뜰표자의 첫소리와 같다. |
|
|
12 |
|
ㅁ。 脣音。 如彌字初發聲 |
|
ㅁ。 脣音。 如彌字初發聲 |
|
ㅁ。 순음。 여미자초발성 |
|
ㅁ。 입술 소리。 미륵미자와 첫소리와 같다. |
|
|
13 |
|
ㅈ。 齒音。 如卽字初發聲 並書。 如慈字初發聲 |
|
ㅈ。 齒音。 如卽字初發聲 並書。 如慈字初發聲 |
|
ㅈ。 치음。 여즉자초발성 병서。 여자자초발성 |
|
ㅈ。 잇소리。 곧즉자와 첫 소리가 같다. 쌍자음으로 쓰면. 자애자자와 첫소리와 같다. |
|
|
14 |
|
ㅊ。 齒音。 如侵字初發聲 |
|
ㅊ。 齒音。 如侵字初發聲 |
|
ㅊ。 치음。 여침자초발성 |
|
ㅊ。 잇 소리。 침노할침자의 첫소리와 같다. |
|
|
15 |
|
ㅅ。 齒音。 如戌字初發聲 並書。 如邪字初發聲 |
|
ㅅ。 齒音。 如戌字初發聲 並書。 如邪字初發聲 |
|
ㅅ。 치음。 여술자초발성 병서。 여사자초발성 |
|
ㅅ。 잇 소리。 개술자의 첫 소리와 같다. 쌍자음으로 쓰면. 사악할사자의 첫소리와 같다. |
|
|
16 |
|
ㆆ。 喉音。 如挹字初發聲 |
|
ㆆ。 喉音。 如挹字初發聲 |
|
ㆆ。 후음。 여읍자초발성 |
|
ㆆ。 목구멍 소리。 뜰읍자의 첫소리와 같다. |
|
|
17 |
|
ㅎ。 喉音。 如虛字初發聲 並書。 如洪字初發聲 |
|
ㅎ。 喉音。 如虛字初發聲 並書。 如洪字初發聲 |
|
ㅎ。 후음。 여허자초발성 병서。 여홍자초발성 |
|
ㅎ。 목구멍 소리。 빌허자의 첫소리와 같다. 쌍자음으로 쓰면. 넓을홍자의 첫소리와 같다. |
|
|
18 |
|
ㅇ。 喉音。 如欲字初發聲 |
|
ㅇ。 喉音。 如欲字初發聲 |
|
ㅇ。 후음。 여욕자초발성 |
|
ㅇ。 목구멍 소리。 하고자할욕자의 첫소리와 같다. |
|
|
19 |
|
ㄹ。 半舌音。 如閭字初發聲 |
|
ㄹ。 半舌音。 如閭字初發聲 |
|
ㄹ。 반설음。 여려자초발성 |
|
。 반 혓 소리。 이문려자의 첫소리와 같다. |
|
|
20 |
|
ㅿ。 半齒音。 如穰字初發聲 |
|
ㅿ。 半齒音。 如穰字初發聲 |
|
ㅿ。 반치음。 여양자초발성 |
|
ㅿ。 반 잇 소리。 줄기양자의 첫 소리와 같다. |
|
|
21 |
|
ㆍ。 如呑字中聲 |
|
ㆍ。 如呑字中聲 |
|
ㆍ。 여탄자중성 |
|
ㆍ。 삼킬탄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
|
|
22 |
|
ㅡ。 如卽字中聲 |
|
ㅡ。 如卽字中聲 |
|
ㅡ。 여즉자중성 |
|
ㅡ。 곧즉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
|
|
23 |
|
ㅣ。 如侵字中聲 |
|
ㅣ。 如侵字中聲 |
|
ㅣ。 여침자중성 |
|
ㅣ。 침노할침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
|
|
24 |
|
ㅗ。 如洪字中聲 |
|
ㅗ。 如洪字中聲 |
|
ㅗ。 여홍자중성 |
|
ㅗ。 넓을홍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
|
|
25 |
|
ㅏ。 如覃字中聲 |
|
ㅏ。 如覃字中聲 |
|
ㅏ。 여담자중성 |
|
ㅏ。 깊을담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
|
|
26 |
|
ㅜ。 如君字中聲 |
|
ㅜ。 如君字中聲 |
|
ㅜ。 여군자중성 |
|
ㅜ。 임금군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
|
|
27 |
|
ㅓ。 如業字中聲 |
|
ㅓ。 如業字中聲 |
|
ㅓ。 여업자중성 |
|
ㅓ。 업업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
|
|
28 |
|
ㅛ。 如欲字中聲 |
|
ㅛ。 如欲字中聲 |
|
ㅛ。 여욕자중성 |
|
ㅛ。 하고자할욕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
|
|
29 |
|
ㅑ。 如穰字中聲 |
|
ㅑ。 如穰字中聲 |
|
ㅑ。 여양자중성 |
|
ㅑ。 줄기양자와 가운데 소리가 같다. |
|
|
30 |
|
ㅠ。 如戌字中聲 |
|
ㅠ。 如戌字中聲 |
|
ㅠ。 여술자중성 |
|
ㅠ。 개술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5세기에는 개술이 개슐이었던 같음) |
|
|
31 |
|
ㅕ。 如彆字中聲 |
|
ㅕ。 如彆字中聲 |
|
ㅕ。 여별자중성 |
|
ㅕ。 활뒤틀릴별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
|
|
32 |
|
終聲。 復用初聲。 ㅇ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 初聲合用則並書 終聲同。 ㆍㅡㅗㅜㅛㅠ 附書初聲之下。 ㅣㅏㅓㅑㅕ 附書於右。 凡字必合而成音。 左加一點則去聲 二則上聲 無則平聲。 入聲加點同而促急。 |
|
終聲。 復用初聲。 ㅇ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 初聲合用則並書 終聲同。 ㆍㅡㅗㅜㅛㅠ 附書初聲之下。 ㅣㅏㅓㅑㅕ 附書於右。 凡字必合而成音。 左加一點則去聲 二則上聲 無則平聲。 入聲加點同而促急。 |
|
종성。 복용초성。 ㅇ련서순음지하 즉위순경음。 초성합용즉병서 종성동。 ㆍㅡㅗㅜㅛㅠ 부서초성지하。 ㅣㅏㅓㅑㅕ 부서어우。 범자필합이성음。 좌가일점즉거성 이즉상성 무즉평성。 입성가점동이촉급。 |
|
끝소리. 첫 소리를 다시 쓴다. 입술 소리 아래에 이어서 쓰면 순경음이 된다. 첫소리를 합쳐서 쌍자음으로 쓰듯 끝 소리도 같다. ㆍㅡㅗㅜㅛㅠ 들은 첫 소리의 아래에 붙여서 쓴다. ㅣㅏㅓㅑㅕ 들은 오른쪽에 붙여서 쓴다. 모든 글자는 합쳐져서 소리가 된다. 왼쪽에 점 한개를 더하면 거성(높고 평단한 소리)이 되고 두개를 더하면 상성(처음은 낮고 뒤가 높아지는 소리)이 되고 없으면 평성(높낮이가 없는 소리)이된다. 입성(짤고 빨리 거둬들이는 소리)은 점을 더하는 것은 같고 소리가 더 빨라진다. |
|
-
- 현재글훈민정음 訓民正音 1/8 (御製序文 어제서문 / 例義 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