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쓰기/한자 단어 2000자 2059

무사 한자 無事 (없을무 일사) / alright / wúshì 无事 / ぶじ

無事 無事 無 事 . . . 특별한 사건 없이 평범한 일상이나 상태 무사한 없을무 일사 . . . 無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 없을무 . . . . . 事 吏 聿 . . . 관리가 손에 붓을 들고 일을 기획하여 일을 체계적으로 실행하는 모습. 회사. 일사 관리리 붓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사한 무사한, 없을무, 일사, ., ., ., 특별한 사건 없이 평범한 일상이나 상태없을무,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일사, 관리리, 붓율, ., ., ., 관리가 손에 붓을 들고 일을 기획하여 일을 체계적으로 실행하는 모습..

무례 한자 無禮 (없을무 예도례) / rude / wúlǐ 无礼 / ぶれい 無礼

無禮 無禮 無 禮 . . . 예를 모르고 예의 없이 행동하는 모습. 무례 없을무 예도례 . . . 無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 없을무 . . . . . 禮 示 曲 豆 . . 제사 그릇과 제사 그릇에 풍성한 제물을 올리는 것이 조상에 대한 예를 다하는 것으로 봄. 예의. 예도례 보일시 굽을곡 콩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례 무례, 없을무, 예도례, ., ., ., 예를 모르고 예의 없이 행동하는 모습.없을무,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예도례, 보일시, 굽을곡, 콩두, ., ., 제사 그릇과 제사 그릇에 풍성한 제물을..

무대 한자 舞臺 (춤출무 대대) / stage / wǔtái 舞台 / ぶたい 舞台

舞臺 舞臺 舞 臺 . . . 춤을 출 수 있게 만든 대를 무대라고 함. 무대 춤출무 대대 . . . 舞 無 舛 . . . 무동이 춤을 출때 발이 없어지기도 하고, 어그러지는 모습. 춤출무 없을무 어그러질천 . . . 臺 吉 冖 至 . . 선비가 대에 올라가서 길한 말도 하고 활도 쏘는 대. 봉수대. 대대 길할길 덮을멱 이를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대 무대, 춤출무, 대대, ., ., ., 춤을 출 수 있게 만든 대를 무대라고 함.춤출무, 없을무, 어그러질천, ., ., ., 무동이 춤을 출때 발이 없어지기도 하고, 어그러지는 모습.대대, 길할길, 덮을멱, 이를지, ., ., 선비..

무기 한자 武器 (무사무 그릇기) / weapon / wǔqì / ぶき

武器 武器 武 器 . . . 튼튼한 다리로 서서 창을 든 무사가 자기 밥그릇처럼 사용하는 무기. 무기 무사무 그릇기 . . . 武 一 戈 止 . . 하나의 창을 들고 발로 버티는 힘센 무사 모양. 무사무 한일 창과 그칠지 . . 器 口 口 犬 口 口 개를 삶아서 네 그릇으로 나눠 담는 그릇 모양. 기구. 그릇기 입구 입구 개견 입구 입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기 무기, 무사무, 그릇기, ., ., ., 튼튼한 다리로 서서 창을 든 무사가 자기 밥그릇처럼 사용하는 무기.무사무, 한일, 창과, 그칠지, ., ., 하나의 창을 들고 발로 버티는 힘센 무사 모양.그릇기, 입구, 입구, 개견, ..

무구 한자 無垢 (없을무 때구) / innocent /wúgòu 无垢 / むく

無垢 無垢 無 垢 . . . 아무런 때가 묻지 않은 순수한 상태 무구 없을무 때구 . . . 無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 없을무 . . . . . 垢 土 後 . . . 흙과 똥구멍의 똥이 묻은 것 같은 때. 때구 흙토 뒤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구 무구, 없을무, 때구, ., ., ., 아무런 때가 묻지 않은 순수한 상태없을무,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때구, 흙토, 뒤후, ., ., ., 흙과 똥구멍의 똥이 묻은 것 같은 때.., ., ., ., ., ., .., ., ., ., ., ., .., ., .,..

무관 한자 無關 (없을무 빗장관) / nevertheless /wúguān 无关 / むかんけい 無関係

無關 無關 無 關 . . . 빗장이 없다. 관여할 필요가 없다. 무관 없을무 빗장관 . . . 無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 없을무 . . . . . 關 門 幺 幺 丱 . 문을 닫고 상투 같은 빗장을 실타래처럼 엮어 빗장을 지르는 모습. 빗장관 문문 작을요 작을요 쌍상투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관 무관, 없을무, 빗장관, ., ., ., 빗장이 없다. 관여할 필요가 없다. 없을무,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빗장관, 문문, 작을요, 작을요, 쌍상투관, ., 문을 닫고 상투 같은 빗장을 실타래처럼 엮어 빗장을 지르는 모습..

묘소 한자 墓所 (무덤묘 바소) / grave / mùsuǒ / ぼしょ

墓所 墓所 墓 所 . . . 흙을 덮어 시신이 없는 것처럼 만든 묘가 있는 장소를 묘소라고 함. 묘소 무덤묘 바소 . . . 墓 莫 土 . . . 흙으로 시신이 없는 것처럼 만든 무덤, 묘지. 무덤묘 없을막 흙토 . . . 所 戶 斤 . . . 지게문을 열고 도끼를 두는 장소가 정해져 있다. 장소. 바소 지게문호 도끼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묘소 묘소, 무덤묘, 바소, ., ., ., 흙을 덮어 시신이 없는 것처럼 만든 묘가 있는 장소를 묘소라고 함.무덤묘, 없을막, 흙토, ., ., ., 흙으로 시신이 없는 것처럼 만든 무덤, 묘지.바소, 지게문호, 도끼근, ., ., ., ..

묘사 한자 描寫 (그릴묘 베낄사) / description /miáoxiě 描写 / びょうしゃ 描写

描寫 描寫 描 寫 . . .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써서 사물을 묘사하는 모습. 묘사 그릴묘 베낄사 . . . 描 扌 猫 . . . 고양이 수염같은 붓을 손에 들고 무언가 그리는 모습. 그릴묘 손수변 고양이묘 . . . 寫 宀 臼 勹 灬 . 집에 앉아서 손에 붓을 들고 종이를 팔로 둘러싸고 깨알 같은 글자를 써서 책을 필사하는 모습. 복사. 베낄사 집면 절구구 쌀포 불화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묘사 묘사, 그릴묘, 베낄사, ., ., .,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써서 사물을 묘사하는 모습.그릴묘, 손수변, 고양이묘, ., ., ., 고양이 수염같은 붓을 손에 들고 무언가 그리는 모습.베낄사,..

몽매 한자 夢寐 (꿈몽 잘매) / asleep / mèngmèi 梦寐 / むび

夢寐 夢寐 夢 寐 . . . 눈이 풀로 덮히는 저녁에 꿈을 꾸는 모습. 집 평상에서 잠든 사내 모습. 잠자고 있는 것 같은 무지의 상태. 몽매 꿈몽 잘매 . . . 夢 艹 目 冖 夕 . 풀 같은 눈꺼풀에 눈이 덮히는 저녁이 되면 꿈을 꾸게 된다. 일장춘몽. 꿈몽 풀초두 눈목 덮을멱 저녁석 . 寐 宀 爿 未 . . 집안에서 평상에 누워 잠이든 사내 모습 잘매 집면 조각장 아닐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몽매 몽매, 꿈몽, 잘매, ., ., ., 눈이 풀로 덮히는 저녁에 꿈을 꾸는 모습. 집 평상에서 잠든 사내 모습. 잠자고 있는 것 같은 무지의 상태.꿈몽, 풀초두, 눈목, 덮을멱, 저녁..

목화 한자 木花 (나무목 꽃화) / cotton / mùhuā / きばな

木花 木花 木 花 . . . 나무처럼 생긴 줄기에 꽃이 핀듯 솜이 열린 목화. 목화 나무목 꽃화 . . . 木 . . . . . 나무 줄기 가지 뿌리 모양 나무목 . . . . . 花 艹 化 . . . 풀이 변하여 꽃이 되었다. 꽃화 풀초두 될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목화 목화, 나무목, 꽃화, ., ., ., 나무처럼 생긴 줄기에 꽃이 핀듯 솜이 열린 목화.나무목, ., ., ., ., ., 나무 줄기 가지 뿌리 모양꽃화, 풀초두, 될화, ., ., ., 풀이 변하여 꽃이 되었다..,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