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쓰기/한자 단어 2000자 2059

문신 한자 文身 (글월문 몸신) / tattoo / wénshēn / ぶんしん

文身 文身 文 身 . . . 글씨를 몸에 새기는 것을 문신이라고 함. 문신 글월문 몸신 . . . 文 . . . . . 죄인의 얼굴에 죄명인 새기는 문신도구 모양. 문신도구로 새긴 죄명은 문자이다. 글월문 . . . . . 身 自 才 . . . 자기 자신을 재주껏 가꾸면 튼튼한 몸이 된다. 신체. 몸신 스스로자 재주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신 문신, 글월문, 몸신, ., ., ., 글씨를 몸에 새기는 것을 문신이라고 함.글월문, ., ., ., ., ., 죄인의 얼굴에 죄명인 새기는 문신도구 모양. 문신도구로 새긴 죄명은 문자이다. 몸신, 스스로자, 재주재, ., ., ., ..

문서 한자 文書 (글월문 글서) / document / wénshū 文书 / ぶんしょ

文書 文書 文 書 . . . 문자를 한자 한자 써서 길게 쓴 것을 문서라고 함. 문서 글월문 글서 . . . 文 . . . . . 죄인의 얼굴에 죄명인 새기는 문신도구 모양. 문신도구로 새긴 죄명은 문자이다. 글월문 . . . . . 書 聿 曰 . . . 손에 붓을 들고 글을 쓰고 입으로 읽어 보는 모습. 독서. 글서 붓율 가로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서 문서, 글월문, 글서, ., ., ., 문자를 한자 한자 써서 길게 쓴 것을 문서라고 함.글월문, ., ., ., ., ., 죄인의 얼굴에 죄명인 새기는 문신도구 모양. 문신도구로 새긴 죄명은 문자이다. 글서, 붓율, 가로왈..

문맥 한자 文脈 (글월문 맥맥) / context / wénmài 文脉 / ぶんみゃく

文脈 文脈 文 脈 . . . 글을 쓸 때 혈관처럼 관념이 이어지는 것을 문맥이라고 함. 문맥 글월문 맥맥 . . . 文 . . . . . 죄인의 얼굴에 죄명인 새기는 문신도구 모양. 문신도구로 새긴 죄명은 문자이다. 글월문 . . . . . 脈 月 派 . . . 신체 기관 중 물갈래처럼 생긴 혈관. 동맥. 정맥. 맥맥 달월 물갈래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맥 문맥, 글월문, 맥맥, ., ., ., 글을 쓸 때 혈관처럼 관념이 이어지는 것을 문맥이라고 함.글월문, ., ., ., ., ., 죄인의 얼굴에 죄명인 새기는 문신도구 모양. 문신도구로 새긴 죄명은 문자이다. 맥맥, 달월..

문맥 한자 文脈 (글월문 맥맥) / context /wénmài 文脉 / ぶんみゃく

文脈 文脈 文 脈 . . . 글을 쓸 때 혈관처럼 관념이 이어지는 것을 문맥이라고 함. 문맥 글월문 맥맥 . . . 文 . . . . . 죄인의 얼굴에 죄명인 새기는 문신도구 모양. 문신도구로 새긴 죄명은 문자이다. 글월문 . . . . . 脈 月 派 . . . 신체 기관 중 물갈래처럼 생긴 혈관. 동맥. 정맥. 맥맥 달월 물갈래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맥 문맥, 글월문, 맥맥, ., ., ., 글을 쓸 때 혈관처럼 관념이 이어지는 것을 문맥이라고 함.글월문, ., ., ., ., ., 죄인의 얼굴에 죄명인 새기는 문신도구 모양. 문신도구로 새긴 죄명은 문자이다. 맥맥, 달월..

무한 한자 無限 (없을무 막을한) / immense /wúxiàn 无限 / むげん

無限 無限 無 限 . . . 막힘이 없이 무한한 상태 무한 없을무 막을한 . . . 無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 없을무 . . . . . 限 阝 艮 . . . 언덕에 눈의 시선이 막힌 모양. 한계. 기한. 막을한 언덕부방 괘이름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한 무한, 없을무, 막을한, ., ., ., 막힘이 없이 무한한 상태없을무,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막을한, 언덕부방, 괘이름간, ., ., ., 언덕에 눈의 시선이 막힌 모양. 한계. 기한.., ., ., ., ., ., .., ., ., ., ., ., ...

무질서 한자 無秩序 (없을무 차례질 차례서) / disorder /wúzhìxù 无秩序 / むちつじょ

無秩序 無秩序 無 秩 序 . . 질서가 없는 상태를 무질서라고 함. 무질서 없을무 차례질 차례서 . . 無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 없을무 . . . . . 秩 禾 失 . . . 추수때 볏단을 쥐고 구부린 사내가 비녀가 벗어지면서도 볏단을 질서 있게 베어 나가는 모습. 차례질 벼화 잃을실 . . . 序 广 予 . . . 집안에서 무언가 줄 때는 베틀의 여가 실을 주듯 차례대로 질서를 지키며 주는 모습. 순서 (順序) 차례서 집엄 줄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질서 무질서, 없을무, 차례질, 차례서, ., ., 질서가 없는 상태를 무질서라고 함.없을무, ., ., ., ., ., 춤출 때 무동의 ..

무지 한자 拇指 (엄지손가락무 손가락지) / thumb / mǔzhǐ / ぼし

拇指 拇指 拇 指 . . . 엄지손가락 무지 엄지손가락무 손가락지 . . . 拇 扌 母 . . . 손가락 중 가장 큰 엄지손가락은 손가락의 어머니다. 엄지손가락무 손수변 어미모 . . . 指 扌 匕 曰 . . 손에 있는 비수같이 생긴 손가락으로 무언가 찍어서 입으로 맛보는 모양. 지시. 손가락지 손수변 비수비 가로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지 무지, 엄지손가락무, 손가락지, ., ., ., 엄지손가락엄지손가락무, 손수변, 어미모, ., ., ., 손가락 중 가장 큰 엄지손가락은 손가락의 어머니다.손가락지, 손수변, 비수비, 가로왈, ., ., 손에 있는 비수같이 생긴 손가락으로 무..

무작위 한자 無作爲 (없을무 지을작 할위) / random /suíjī 随机 / むさくい 無作為

無作爲 無作爲 無 作 爲 . . 무언가 사전에 정한 것이 없이 선택하는 것 무작위 없을무 지을작 할위 . . 無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 없을무 . . . . . 作 亻 乍 . . . 사람이 바느질을 하여 옷을 짓는 모습. 제작. 지을작 사람인변 잠깐사 . . . 爲 爫 象 . . . 손으로 코끼리에게 먹을 것을 주면서 어떤 행동을 하라고 시키는 모습. 행위. 할위 손톱조두 코끼리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작위 무작위, 없을무, 지을작, 할위, ., ., 무언가 사전에 정한 것이 없이 선택하는 것없을무,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지을작, 사람인변, 잠깐사,..

무용 한자 舞踊 (춤출무 뛸용) / dance / wǔyǒng / ぶよう

舞踊 舞踊 舞 踊 . . . 무동이 춤추기도 하고 뛰기도 하는 무용. 무용 춤출무 뛸용 . . . 舞 無 舛 . . . 무동이 춤을 출때 발이 없어지기도 하고, 어그러지는 모습. 춤출무 없을무 어그러질천 . . . 踊 口 止 甬 . . 발로 뛰면서 용을 빠르게 지나가는 모습 뛸용 입구 그칠지 솟을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용 무용, 춤출무, 뛸용, ., ., ., 무동이 춤추기도 하고 뛰기도 하는 무용.춤출무, 없을무, 어그러질천, ., ., ., 무동이 춤을 출때 발이 없어지기도 하고, 어그러지는 모습.뛸용, 입구, 그칠지, 솟을용, ., ., 발로 뛰면서 용을 빠르게 지나가는 ..

무시 한자 無視 (없을무 볼시) / neglect /wúshì 无视 / むし

無視 無視 無 視 . . . 가치가 없어 눈여겨 보지 않는 것을 무시한다고 함. 무시 없을무 볼시 . . . 無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 없을무 . . . . . 視 示 見 . . . 제사그릇에 제물을 눈으로 보면서 살피는 모양. 시찰. 전시회. 볼시 보일시 볼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시 무시, 없을무, 볼시, ., ., ., 가치가 없어 눈여겨 보지 않는 것을 무시한다고 함.없을무, ., ., ., ., ., 춤출 때 무동의 발이 없어지는 모양.볼시, 보일시, 볼견, ., ., ., 제사그릇에 제물을 눈으로 보면서 살피는 모양. 시찰.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