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쓰기/한자 단어 2000자 2059

근본 한자 根本 (뿌리근 근본본) / fundamental / gēnběn / こんぽん

根本 根本 根 本 . . . 나무의 눈은 뿌리이다. 나무의 뿌리는 나무의 근본이다. 무언가의 뿌리를 근본이라고 함. 근본 뿌리근 근본본 . . . 根 木 艮 . . . 나무에서 눈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뿌리이다. 초근목피. 뿌리근 나무목 괘이름간 . . . 本 木 一 . . . 나무의 근본은 아래쪽 뿌리에 있다. 근본. 근본본 나무목 한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근본 근본, 뿌리근, 근본본, ., ., ., 나무의 눈은 뿌리이다. 나무의 뿌리는 나무의 근본이다. 무언가의 뿌리를 근본이라고 함.뿌리근, 나무목, 괘이름간, ., ., ., 나무에서 눈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뿌..

근무 한자 勤務 (부지런할근 힘쓸무) / work / qínwù 勤务 / きんむ

勤務 勤務 勤 務 . . . 진흙에서 빠지지 않으려 부지런히 움직이는 모습. 창, 몽둥이를 들고 전쟁하느라 힘쓰는 모습. 부지런히 힘쓰는 것을 근무라고 함. 근무 부지런할근 힘쓸무 . . . 勤 菫 力 . . . 진흙을 만드느라 부지런히 힘을 쓰는 모습. 근면. 부지런할근 진흙근 힘력 . . . 務 矛 攵 力 . . 창과 몽둥이로 민란을 진압하느라 힘을 쓰는 무사의 모양. 힘쓸무 창모 칠복 힘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근무 근무, 부지런할근, 힘쓸무, ., ., ., 진흙에서 빠지지 않으려 부지런히 움직이는 모습. 창, 몽둥이를 들고 전쟁하느라 힘쓰는 모습. 부지런히 힘쓰는 것을 근..

극한 한자 極限 (극진할극 막을한) / extreme / jíxiàn 极限 / きょくげん

極限 極限 極 限 . . . 극에 달한 한계. 극한 극진할극 막을한 . . . 極 木 丂 口 又 一 나무 앞에서 무당이 공교롭게 주문을 말하고 손으로 극진하게 비는 모습. 극진. 극진할극 나무목 공교로울교 입구 또우 한일 限 阝 艮 . . . 언덕에 눈의 시선이 막힌 모양. 한계. 기한. 막을한 언덕부방 괘이름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극한 극한, 극진할극, 막을한, ., ., ., 극에 달한 한계.극진할극, 나무목, 공교로울교, 입구, 또우, 한일, 나무 앞에서 무당이 공교롭게 주문을 말하고 손으로 극진하게 비는 모습. 극진.막을한, 언덕부방, 괘이름간, ., ., ., 언덕에..

극장 한자 劇場 (심할극 마당장) / theater / jùchǎng 剧场 / げきじょう

劇場 劇場 劇 場 . . . 호랑이와 맷돼지가 나타나서 칼을 들고 대적하는 극적인 모습. 흙을 펴서 해가 비치는 마당. 극적인 연극을 하는 장소. 극장. 극장 심할극 마당장 . . . 劇 虎 豕 刂 . . 호랑이, 돼지를 칼 하나로 대적하는 극적인 모습. 드라마틱한 모습. 심할극 범호 돼지시 칼도방 . . 場 土 易 . . . 흙을 넓게 펼쳐서 해가 비쳤다 안비쳤다 하는 마당. 축구장. 마당장 흙토 쉬울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극장 극장, 심할극, 마당장, ., ., ., 호랑이와 맷돼지가 나타나서 칼을 들고 대적하는 극적인 모습. 흙을 펴서 해가 비치는 마당. 극적인 연극을 ..

극심 한자 極甚 (극진할극 심할심) / acute / jíqí 极其 /

極甚 極甚 極 甚 . . . 무당이 나무앞에서 극진히 비는 모습. 단 것을 숟가락 가득 심하게 게걸스럽게 먹는 모습. 극진히 심한 것을 극심이라고 함. 극심 극진할극 심할심 . . . 極 木 丂 口 又 一 나무 앞에서 무당이 공교롭게 주문을 말하고 손으로 극진하게 비는 모습. 극진. 극진할극 나무목 공교로울교 입구 또우 한일 甚 甘 匕 匸 . . 혀로 단 것을 맛보고 숟갈로 가득 퍼서 입에 넣어 감추는 탐욕스런 모습. 탐욕이 심하다. 심할심 달감 비수비 감출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극심 극심, 극진할극, 심할심, ., ., ., 무당이 나무앞에서 극진히 비는 모습. 단 것을 숟가락..

극복 한자 克服 (이길극 옷복) / overcome / kèfú / こくふく

克服 克服 克 服 . . . 십자모양 작대기를 든 형이 옷을 벗고 상채를 드러낸채 무언가 이기려고 힘쓰는 모습. 극복 이길극 옷복 . . . 克 十 兄 . . . 형이 손에 십자가 작대기를 들고 사나운 짐승과 대결하여 이기는 모습. 극복. 이길극 열십 맏형 . . . 服 月 卩 又 . . 벗은 몸 위에 구부러진 옷을 손으로 잡고 껴입는 모습. 양복. 한복. 옷복 달월 병부절 또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극복 극복, 이길극, 옷복, ., ., ., 십자모양 작대기를 든 형이 옷을 벗고 상채를 드러낸채 무언가 이기려고 힘쓰는 모습.이길극, 열십, 맏형, ., ., ., 형이 손에 십자가..

균형 한자 均衡 (고를균 저울형) / balance / jūnhéng 均衡 / きんこう

均衡 均衡 均 衡 . . . 흙의 높이를 평미래로 평평하게 고르는 모양. 물고기 모양 저울을 갖고다니며 무게를 재는 모양. 평형이 되도록 고르는 행위를 균형이라고 함. 균형 고를균2 저울형 . . . 均 土 勻 . . . 흙을 평미래로 펼쳐서 높이를 고르게 하는 모습. 평균. 고를균2 흙토 고를균 . . . 衡 行 刀 田 大 . 걸어 다니며 저울로 물건의 무게를 측정하는 모습. 형평성. 저울형 다닐행 칼도 밭전 큰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균형 균형, 고를균2, 저울형, ., ., ., 흙의 높이를 평미래로 평평하게 고르는 모양. 물고기 모양 저울을 갖고다니며 무게를 재는 모양. 평형이..

규칙적 한자 規則的 (법규 법칙칙 과녁적) / routine /guīzé 规则 / きそくてき

規則的 規則的 規 則 的 . . 기성세대의 눈으로 본 규와 칙에 따라 움직이는 틀에 박힌 모습. 규칙적 법규 법칙칙 과녁적 . . 規 夫 見 . . . 사내, 기성 세대의 눈, 관점으로 보며 만들어진 법. 규칙. 법규 사내부 볼견 . . . 則 貝 刂 . . . 조개 껍질의 주름처럼 물이 차오르는 수준을 칼로 나무에 새겨 놓아 측정하는 모습. 눈금이 판단의 기준이 된다. 판단의 기준이 법칙(法則) 법칙칙 조개패 칼도방 . . . 的 白 勺 . . . 흰 과녁에 국자 같은 점이 있는 과녁. 적중. 과녁적 흰백 구기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규칙적 규칙적, 법규, 법칙칙, 과녁적, ., ., 기성세대의 눈으로 본 규와 칙에 따라..

규칙 한자 規則 (법규 법칙칙) / rule / guīzé 规则 / きそく

規則 規則 規 則 . . . 기성세대인 사내의 눈으로 보는 법. 눈으로 보고 팔에 칼을 들고 새기는 법칙. 기성세대가 옳다고 정해 놓은 법. 규칙. 규칙 법규 법칙칙 . . . 規 夫 見 . . . 사내, 기성 세대의 눈, 관점으로 보며 만들어진 법. 규칙. 법규 사내부 볼견 . . . 則 貝 刂 . . . 조개 껍질의 주름처럼 물이 차오르는 수준을 칼로 나무에 새겨 놓아 측정하는 모습. 눈금이 판단의 기준이 된다. 판단의 기준이 법칙(法則) 법칙칙 조개패 칼도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규칙 규칙, 법규, 법칙칙, ., ., ., 기성세대인 사내의 눈으로 보는 법. 눈으로 보고 ..

규모 한자 規模 (법규 본뜰모) / size / guīmó 规模 / きぼ

規模 規模 規 模 . . . 기성세대인 사내의 눈으로 본 법, 나무를 파내서 음각으로 만들어 본을 뜨는 모습. 법으로 관리해야 할 만큼 큰 크기의 본을 규모라고 함. 규모 법규 본뜰모 . . . 規 夫 見 . . . 사내, 기성 세대의 눈, 관점으로 보며 만들어진 법. 규칙. 법규 사내부 볼견 . . . 模 木 莫 . . . 나무를 파내어 없어진 부분에 진흙을 채워 본을 뜨는 모습. 모형. 본뜰모 나무목 없을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규모 규모, 법규, 본뜰모, ., ., ., 기성세대인 사내의 눈으로 본 법, 나무를 파내서 음각으로 만들어 본을 뜨는 모습. 법으로 관리해야 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