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쓰기/한자 단어 2000자 2059

기억 한자 記憶 (기록기 기억억) / remember / jìyì 记忆 / きおく

記憶 記憶 記 憶 . . . 말하고 몸을 구부려 기록한 듯 사람의 머리 입 마음에 생각이 남는 것을 기억이라고 함. 기억 기록기 기억억 . . . 記 言 己 . . . 입으로 기록할 것을 말한 후 몸을 구부려 한 글자 한 글자 기록하는 모습. 기록기 말씀언 몸기 . . . 憶 忄 意 . . . 사람의 마음에는 뜻하는 바를 기억으로 가지고 있다. 기억. 기억억 마음심변 뜻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억 기억, 기록기, 기억억, ., ., ., 말하고 몸을 구부려 기록한 듯 사람의 머리 입 마음에 생각이 남는 것을 기억이라고 함.기록기, 말씀언, 몸기, ., ., ., 입으로 기록할..

기아 한자 飢餓 (주릴기 주릴아) / hungry / jī’è 饥饿 / きが

飢餓 飢餓 飢 餓 . . . 밥상에 먹을 것이 없는 상태를 기라고 함. 먹을 것이 없어 손에 창을 들고 강도짓을 할 것 같은 상태를 아라고 함. 합쳐서 기아. 기아 주릴기 주릴아 . . . 飢 食 几 . . . 지붕을 한 석발기로 쌀을 골라 밥을 해서 먹고 싶은데 식탁 위에 먹을 것이 없어 주리는 모습. 기아. 주릴기 먹을식 안석궤 . . . 餓 食 我 . . . 먹고 싶으나 먹을 것이 없어 손에 창을 들고 강도짓이라도 할 것 같이 주린 상태. 기아. 주릴아 먹을식 나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아 기아, 주릴기, 주릴아, ., ., ., 밥상에 먹을 것이 없는 상태를 기라고 함..

기술 한자 技術 (재주기 재주술) / skill / jìshù 技术 / ぎじゅつ

技術 技術 技 術 . . . 손과 손에 열십자 공구를 들고 기술을 부리는 기술자. 차조밭을 도시 사거리처럼 만드는 농사 기술. 기술자의 재주와 농사술을 합쳐서 기술이라고 함. 기술 재주기 재주술 . . . 技 扌 支 . . . 손에 열 십자 같은 막대기, 공구를 들고 재주, 기술을 부리는 모양. 재주기 손수변 지탱할지 . . . 術 行 朮 . . . 차조밭을 도시의 사거리처럼 만들어 차조 재배를 효율적으로 만든 재주 있는 농부의 모습. 기술. 재주술 다닐행 차조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술 기술, 재주기, 재주술, ., ., ., 손과 손에 열십자 공구를 들고 기술을 부리는 기..

기술 한자 記述 (기록기 베풀술) / describe / jìshù 记述 / きじゅつ

記述 記述 記 述 . . . 기록하여 가진 지식을 베풀기 위해 자세히 풀어서 설명하는 글을 쓰는 것을 기술이라고 함. 기술 기록기 베풀술 . . . 記 言 己 . . . 입으로 기록할 것을 말한 후 몸을 구부려 한 글자 한 글자 기록하는 모습. 기록기 말씀언 몸기 . . . 述 朮 辶 . . . 차조를 재배하는 기술을 걸어다니며 전수해주는 모습. 베풀술 차조출 갈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술 기술, 기록기, 베풀술, ., ., ., 기록하여 가진 지식을 베풀기 위해 자세히 풀어서 설명하는 글을 쓰는 것을 기술이라고 함.기록기, 말씀언, 몸기, ., ., ., 입으로 기록할 것을..

기사 한자 騎士 (말탈기 선비사) / knight / qíshì 骑士 / きし

騎士 騎士 騎 士 . . . 말을 타고 싸우는 무사를 기사라고 함. 기사 말탈기 선비사 . . . 騎 馬 奇 . . . 말 위에 안장을 얹고 말을 타는 사람 모습. 기수. 말탈기 말마 기이할기 . . . 士 . . . . . 무사인 선비가 갑옷을 입어 상체가 커보이는 모양. 선비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사 기사, 말탈기, 선비사, ., ., ., 말을 타고 싸우는 무사를 기사라고 함.말탈기, 말마, 기이할기, ., ., ., 말 위에 안장을 얹고 말을 타는 사람 모습. 기수.선비사, ., ., ., ., ., 무사인 선비가 갑옷을 입어 상체가 커보이는 모양.., ., ..

기사 한자 技師 (재주기 스승사) / engineer /jìshī 技师 / ぎし

技師 技師 技 師 . . . 손과 손에 십자가 모양 공구를 가진 기술자. 언덕에서 수건을 들고 군대를 지휘하는 군사. 기술과 지휘력이 있는 기술자를 기사라고 함. 기사 재주기 스승사 . . . 技 扌 支 . . . 손에 열 십자 같은 막대기, 공구를 들고 재주, 기술을 부리는 모양. 재주기 손수변 지탱할지 . . . 師 阜 一 巾 . . 언덕에서 수건 한장을 들고 군대를 지휘하는 군대의 스승, 군사. 교사. 스승사 언덕부 한일 수건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사 기사, 재주기, 스승사, ., ., ., 손과 손에 십자가 모양 공구를 가진 기술자. 언덕에서 수건을 들고 군대를 지휘하는..

기사 한자 記事 (기록기 일사) / article / jìshì 记事 / きじ

記事 記事 記 事 . . . 입으로 말하고 몸을 구부려 기록하는 모습. 어떤 일, 사건을 기록한 것을 기사라고 함. 기사 기록기 일사 . . . 記 言 己 . . . 입으로 기록할 것을 말한 후 몸을 구부려 한 글자 한 글자 기록하는 모습. 기록기 말씀언 몸기 . . . 事 吏 聿 . . . 관리가 손에 붓을 들고 일을 기획하여 일을 체계적으로 실행하는 모습. 회사. 일사 관리리 붓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사 기사, 기록기, 일사, ., ., ., 입으로 말하고 몸을 구부려 기록하는 모습. 어떤 일, 사건을 기록한 것을 기사라고 함.기록기, 말씀언, 몸기, ., ., ., 입..

기분 한자 氣分 (기운기 나눌분) / mood / qìfēn 气分 / 気分 きぶん

氣分 氣分 氣 分 . . . 자신의 기분은 증기처럼 퍼저서 다른 사람에 나누어져 퍼진다. 좋은 기분이든 나쁜 기분이든 공기처럼 나누어져서 퍼진다. 기분 기운기2 나눌분 . . . 氣 气 米 . . . 솥에 쌀을 넣고 밥을 하면 김, 증기가 힘차게 나오는 모습. 기차. 증기. 기운기2 기운기 쌀미 . . . 分 八 刀 . . . 양팔로 무언가 잡고 칼로 나누는 모양. 분수(分數), 분해(分解) 나눌분 여덟팔 칼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분 기분, 기운기2, 나눌분, ., ., ., 자신의 기분은 증기처럼 퍼저서 다른 사람에 나누어져 퍼진다. 좋은 기분이든 나쁜 기분이든 공기처럼 ..

기부 한자 寄附 (부칠기 붙일부) / donate /juānxiàn 捐献 / きふ

寄附 寄附 寄 附 . . . 집안에서 고무래타고 소리지르는 사람을 기부해버린다. 언덕마을에서 사람이 손에 무언가 잡고 기부한다. 기부 부칠기 붙일부 . . . 寄 宀 奇 . . . 집안에서 고무래를 타고 소리지르는 기이한 사람은 집에 더 이상 필요 없어 다른 데 줘버린다. 기부한다. 부칠기 집면 기이할기 . . . 附 阝 付 . . . 언덕 마을 사람들에게 관청에서 나온 사람이 토지 경작권을 주는 모습. 부여하는 모습. 붙일부 언덕부방 줄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부 기부, 부칠기, 붙일부, ., ., ., 집안에서 고무래타고 소리지르는 사람을 기부해버린다. 언덕마을에서 사람이..

기본 한자 基本 (터기 근본본) / basic / jīběn / きほん

基本 基本 基 本 . . . 집의 터가 집의 기본이고 나무의 뿌리가 나무의 기본이듯 무언가의 터와 뿌리가 되는 것을 기본이라고 함. 기본 터기 근본본 . . . 基 其 土 . . . 키질하듯 흙을 계속 다져서 집을 세울 수 있는 터를 만드는 모습. 터기 그기 흙토 . . . 本 木 一 . . . 나무의 근본은 아래쪽 뿌리에 있다. 근본. 근본본 나무목 한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본 기본, 터기, 근본본, ., ., ., 집의 터가 집의 기본이고 나무의 뿌리가 나무의 기본이듯 무언가의 터와 뿌리가 되는 것을 기본이라고 함.터기, 그기, 흙토, ., ., ., 키질하듯 흙을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