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쓰기/한자 단어 2000자 2059

대다수 한자 大多數 (큰대 많을다 셀수) / majority / dàduōshù / だいたすう

大多數 大多數 大 多 數 . . 크고 많은 숫자의 그룹 대다수 큰대 많을다 셀수 . . 大 . . . . . 사람이 팔과 다리를 크게 벌리고 벌러덩 누운 모습 큰대 . . . . . 多 月 月 . . . 고기가 많아서 고기위에 고기를 쌓은 모습. 많을다 달월 달월 . . . 數 毌 中 女 攵 . 여자가 돈일 될만한 소중한 것의 가운데를 꿰어서 막대기로 치면서 꿰어 놓은 것이 몇 개인지 수를 세는 모습. 수학(數學) 셀수 꿸관 가운데중 여자여 칠복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다수 대다수, 큰대, 많을다, 셀수, ., ., 크고 많은 숫자의 그룹큰대, ., ., ., ., ., 사람이 팔과 다리를 크게 벌리고 벌러덩 누운 모습많을다, 달..

대기 한자 待機 (기다릴대 틀기) wait / dàijī 待机 / たいき

待機 待機 待 機 . . . 토지 업무를 맡은 관청에 걸어가서 순서를 기다리는 모습. 나무로 만든 실이걸린 베틀모양. 기회를 기다리는 것을 대기라고 함. 대기 기다릴대 틀기 . . . 待 彳 寺 . . . 걸어가서 관청에서 민원처리 순서를 기다리는 모습. 기다릴대 걸을척 관청사 . . . 機 木 幺 幺 戈 人 나무로 만들어 실을 걸고 창자루 같은 것을 사람이 잡고 움직이며 베를 짜는 베틀 모양. 틀기 나무목 작을요 작을요 창과 사람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기 대기, 기다릴대, 틀기, ., ., ., 토지 업무를 맡은 관청에 걸어가서 순서를 기다리는 모습. 나무로 만든 실이걸린 베틀모양...

대기 한자 大氣 (큰대 기운기) / atmosphere / dàqì 大气 / たいき 大気

大氣 大氣 大 氣 . . . 지구를 둘러 싸고 있는 큰 공기 덩어리를 대기라고 함. 대기 큰대 기운기2 . . . 大 . . . . . 사람이 팔과 다리를 크게 벌리고 벌러덩 누운 모습 큰대 . . . . . 氣 气 米 . . . 솥에 쌀을 넣고 밥을 하면 김, 증기가 힘차게 나오는 모습. 기차. 증기. 기운기2 기운기 쌀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기 대기, 큰대, 기운기2, ., ., ., 지구를 둘러 싸고 있는 큰 공기 덩어리를 대기라고 함.큰대, ., ., ., ., ., 사람이 팔과 다리를 크게 벌리고 벌러덩 누운 모습기운기2, 기운기, 쌀미, ., ., ., 솥에 쌀을..

닻정 한자 碇 / anchor / dìng / いかり 錨 , 碇

碇 碇 石 定 . . . 돌처럼 무거운 닻은 내리면 배의 위치가 정해진다. 고정된다. 닻정 돌석 정할정 . . . 石 厂 口 . . . 기슭 굴바위에 돌이 박힌 모양. 돌석 기슭엄 입구 . . . 定 宀 一 足 . . 집을 세울 때 발로 걸어다니며 마음에 드는 한 곳을 정해서 집을 세우는 모습. 결정. 정할정 집면 한일 발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닻정 닻정, 돌석, 정할정, ., ., ., 돌처럼 무거운 닻은 내리면 배의 위치가 정해진다. 고정된다.돌석, 기슭엄, 입구, ., ., ., 기슭 굴바위에 돌이 박힌 모양.정할정, 집면, 한일, 발족, ., ., 집을 세울 때 발로 걸어..

당황 한자 唐慌 (당나라당 어리둥절할황) / embarrass /jīnghuāng 惊慌 / とうわく当惑

唐慌 唐慌 唐 慌 . . . 당나라 군사가 쳐들어와 물난리가 난듯 밭이 망해서 풀이 돋은 것을 보는 심정이 당황이다. 당황 당나라당 어리둥절할황 . . . 唐 广 屮 丨 口 . 집채 만한 탈곡기로 쌀을 탈곡하여 먹는 나라 당나라. 당나라당 집엄 왼손좌 뚫을곤 입구 . 慌 忄 荒 . . . . 어리둥절할황 마음심변 거칠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당황 당황, 당나라당, 어리둥절할황, ., ., ., 당나라 군사가 쳐들어와 물난리가 난듯 밭이 망해서 풀이 돋은 것을 보는 심정이 당황이다.당나라당, 집엄, 왼손좌, 뚫을곤, 입구, ., 집채 만한 탈곡기로 쌀을 탈곡하여 먹는 나라 당나라..

당신 한자 當身 (마땅당 몸신) / you / nǐ 你 / きみ 君 / おまえ お前

當身 當身 當 身 . . . 지금 밭위 집에서 이야기 하고 있는 몸은 당신의 것이다. 당신 마땅당 몸신 . . . 當 尚 田 . . . 밭으로 쓸 수 있는 좋은 땅에 기와집을 짓는 것은 당연하다. 당연. 마땅당 오히려상 밭전 . . . 身 自 才 . . . 자기 자신을 재주껏 가꾸면 튼튼한 몸이 된다. 신체. 몸신 스스로자 재주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당신 당신, 마땅당, 몸신, ., ., ., 지금 밭위 집에서 이야기 하고 있는 몸은 당신의 것이다.마땅당, 오히려상, 밭전, ., ., ., 밭으로 쓸 수 있는 좋은 땅에 기와집을 짓는 것은 당연하다. 당연.몸신, 스스로자, 재..

당시 한자 當時 (마땅당 때시) / then /dāngshí 当时nàhuìr 那会儿 / とうじ 当時

當時 當時 當 時 . . . 밭처럼 잘 펼쳐진 대지위에 기와 집을 짓는 이야기를 하다가 그 이야기가 가리키는 시간을 당시라고 함. 당시 마땅당 때시 . . . 當 尚 田 . . . 밭으로 쓸 수 있는 좋은 땅에 기와집을 짓는 것은 당연하다. 당연. 마땅당 오히려상 밭전 . . . 時 日 寺 . . . 흙, 토지를 손에 잡고 관장하는 관청 앞에 놓인 해시계로 시간을 알렸던 모습. 시계 (時械) 때시 날일 관청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당시 당시, 마땅당, 때시, ., ., ., 밭처럼 잘 펼쳐진 대지위에 기와 집을 짓는 이야기를 하다가 그 이야기가 가리키는 시간을 당시라고 함.마땅..

당분간 한자 當分間 (마땅당 나눌분 사이간) / meanwhile /quánqiě 权且 / とうぶん 当分

當分間 當分間 當 分 間 . . 당연한 경우에서 분리된 특수한 상황하에서의 지내야 하는 짧은 기간. 당분간 마땅당 나눌분 사이간 . . 當 尚 田 . . . 밭으로 쓸 수 있는 좋은 땅에 기와집을 짓는 것은 당연하다. 당연. 마땅당 오히려상 밭전 . . . 分 八 刀 . . . 양팔로 무언가 잡고 칼로 나누는 모양. 분수(分數), 분해(分解) 나눌분 여덟팔 칼도 . . . 間 門 日 . . . 양문 가운데 사이, 간격이 생겨 그 사이로 햇빛이 비치는 모양. 형제간. 간격. 사이간 문문 날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당분간 당분간, 마땅당, 나눌분, 사이간, ., ., 당연한 경우에서 분리된 특수한 상황하에서의 지내야 하는 짧은..

당뇨병 한자 糖尿病 (엿당 오줌뇨 병병) / diabetes / tángniàobìng / とうにょうびょう

糖尿病 糖尿病 糖 尿 病 . . 당이 오줌으로 나오는 병 당뇨병 엿당 오줌뇨 병병 . . 糖 米 唐 . . . 쌀로 당나라에서는 엿을 만들어 먹었다. 엿은 달다. 당뇨병. 엿당 쌀미 당나라당 . . . 尿 尸 水 . . . 몸을 구부려 오줌을 누는 모습. 오줌뇨 주검시 물수 病 疒 丙 . . . 남쪽 지방에서 많이 나는 큰 꼬리 지느러미를 가진 물고기를 먹고 생기는 병. 외상이 없고 내과적인 병. 병병 병들역 남녘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당뇨병 당뇨병, 엿당, 오줌뇨, 병병, ., ., 당이 오줌으로 나오는 병엿당, 쌀미, 당나라당, ., ., ., 쌀로 당나라에서는 엿을 만들어 먹었다. 엿은 달다. 당뇨병.오줌뇨, 주검시..

당근 한자 唐根 (당나라당 뿌리근) / carrot /húluó‧bo 胡萝卜 / にんじん [人参] / キャロット

唐根 唐根 唐 根 . . . 당나라에서 전래된 뿌리. 당근 당나라당 뿌리근 . . . 唐 广 屮 丨 口 . 집채 만한 탈곡기로 쌀을 탈곡하여 먹는 나라 당나라. 당나라당 집엄 왼손좌 뚫을곤 입구 . 根 木 艮 . . . 나무에서 눈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뿌리이다. 초근목피. 뿌리근 나무목 괘이름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당근 당근, 당나라당, 뿌리근, ., ., ., 당나라에서 전래된 뿌리.당나라당, 집엄, 왼손좌, 뚫을곤, 입구, ., 집채 만한 탈곡기로 쌀을 탈곡하여 먹는 나라 당나라.뿌리근, 나무목, 괘이름간, ., ., ., 나무에서 눈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뿌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