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쓰기/한자 단어 2000자 2059

만연 한자 漫然 (퍼질만 그럴연) / prevail / mànrán / まんぜん

漫然 漫然 漫 然 . . . 손으로 눈을 잡고 해를 보면 눈물이 퍼진다. 퍼진 형태가 그러하다. 만연 퍼질만 그럴연 . . . 漫 氵 慢 . . . 해를 눈으로 쳐다 보며 손으로 눈을 벌리는 거만한 모습을 보이면 눈에서 눈물이 퍼진다. 퍼질만 물수변 거만할만 . . . 然 月 犬 灬 . . 개고기를 얻으려면 개털을 불에 그을리는 것이 당연하다. 당연(當然) 그럴연 달월 개견 불화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만연 만연, 퍼질만, 그럴연, ., ., ., 손으로 눈을 잡고 해를 보면 눈물이 퍼진다. 퍼진 형태가 그러하다. 퍼질만, 물수변, 거만할만, ., ., ., 해를 눈으로 쳐다 보며..

만성적 한자 慢性的 (거만할만 성품성 과녁적) / chronic /mànxìngde / まんせいてき

慢性的 慢性的 慢 性 的 . . 손으로 눈을 뒤집어까면서 해를 보는 거만함은 게으르다 느리다로도 사용됨. 병이나 폐혜가 오래도록 지속되는 것을 말함. 만성적 거만할만 성품성 과녁적 . . 慢 忄 日 目 又 . 해를 향해 눈을 뜨고 눈을 손으로 더 키우는 마음은 거만한 마음이다. 거만할만 마음심변 날일 눈목 또우 . 性 忄 生 . . . 태어날 때 부터 가지고 있는 마음의 성품. 성격. 성품성 마음심변 날생 . . . 的 白 勺 . . . 흰 과녁에 국자 같은 점이 있는 과녁. 적중. 과녁적 흰백 구기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만성적 만성적, 거만할만, 성품성, 과녁적, ., ., 손으로 눈을 뒤집어까면서 해를 보는 거만함은 ..

만발 한자 滿發 (찰만 쏠발) / bloom /shèngkāi 盛开 / まんかい 満開

滿發 滿發 滿 發 . . . 꽃들이 모두 발화하여 꽃이 가득하다. 만발 찰만 쏠발 . . . 滿 氵 廿 兩 . . 물을 아구까지 가득 채운 물동이를 소 두마리가 양쪽에서 끄는 수레로 옮기는 모양. 만석. 찰만 물수변 스물입 두량 . . 發 癶 弓 殳 . . 발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활을 구부려 창날 같은 화살을 쏘는 모양. 발사. 쏠발 등질발 활궁 창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만발 만발, 찰만, 쏠발, ., ., ., 꽃들이 모두 발화하여 꽃이 가득하다.찰만, 물수변, 스물입, 두량, ., ., 물을 아구까지 가득 채운 물동이를 소 두마리가 양쪽에서 끄는 수레로 옮기는 모양. 만석.쏠..

막대기정 한자 梃 / stick / tǐng / ぼう 棒

梃 梃 木 廷 . . . 천간을 보는 신하가 손에 나무 막대기를 들고 조정을 거니며 북방을 살피는 모습. 막대기정 나무목 조정정 . . . 木 . . . . . 나무 줄기 가지 뿌리 모양 나무목 . . . . . 廷 壬 廴 . . . 천간을 보듯 북쪽을 보며 천천히 걸어 가는 신하의 모습. 왕이 있는 북쪽을 향해 조정을 걷는 신하 모습. 조정. 조정정 북방임 길게걸을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막대기정 막대기정, 나무목, 조정정, ., ., ., 천간을 보는 신하가 손에 나무 막대기를 들고 조정을 거니며 북방을 살피는 모습.나무목, ., ., ., ., ., 나무 줄기 가지 뿌리 ..

마찰 한자 摩擦 (문지를마 문지를찰) / rub / mócā / まさつ

摩擦 摩擦 摩 擦 . . . 손에 마로된 수건을 들고 사당에 차려진 제사 그릇위의 고기를 살피며 무언가 문질러 닦는 모습. 마찰 문지를마 문지를찰 . . . 摩 麻 手 . . . 손에 마로된 수건을 잡고 무언가 문지르는 모습 문지를마 삼마 손수 . . . 擦 扌 察 . . . 사당에서 제사그릇에 고기를 올리고 살피며 무언가 묻은 것을 손에 수건을 들고 닦는 모습. 문지를찰 손수변 살필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찰 마찰, 문지를마, 문지를찰, ., ., ., 손에 마로된 수건을 들고 사당에 차려진 제사 그릇위의 고기를 살피며 무언가 문질러 닦는 모습.문지를마, 삼마, 손수, .,..

마대 한자 麻袋 (삼마 자루대) / sack / mádài / あさぶくろ

麻袋 麻袋 麻 袋 . . . 삼으로 만든 자루를 마대라고 함. 마대 삼마 자루대 . . . 麻 广 林 . . . 앞 트인 집에서 나무 같은 삼을 삶아서 삼베를 다듬는 모습. 삼마 집엄 수풀림 . . . 袋 代 衣 . . . 사람이 옷처럼 만든 자루에 무언가 넣고 주살처럼 자루 입구를 묶는 모양 자루대 대신할대 옷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대 마대, 삼마, 자루대, ., ., ., 삼으로 만든 자루를 마대라고 함.삼마, 집엄, 수풀림, ., ., ., 앞 트인 집에서 나무 같은 삼을 삶아서 삼베를 다듬는 모습.자루대, 대신할대, 옷의, ., ., ., 사람이 옷처럼 만든 자루에 ..

딸기매 한자 苺 / berry / méi 莓 / いちご

苺 苺 艹 母 . . . 풀같은 줄기에서 열매가 열리고 씨가 점점이 박힌 딸기 딸기매 풀초두 어미모 . . . 艹 . . . . . 풀초의 윗부분 풀초두 . . . . . 母 . . . . . 아기에게 젖을 먹이는 어미의 젖가슴과 젖꼭지 모양. 어미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딸기매 딸기매, 풀초두, 어미모, ., ., ., 풀같은 줄기에서 열매가 열리고 씨가 점점이 박힌 딸기풀초두, ., ., ., ., ., 풀초의 윗부분어미모, ., ., ., ., ., 아기에게 젖을 먹이는 어미의 젖가슴과 젖꼭지 모양. ., ., ., ., ., ., .., ., ., ., ., .,..

등산 한자 登山 (오를등 뫼산) / mount / dēngshān / とざん

登山 登山 登 山 . . . 산에 오르는 것을 등산이라고 함. 등산 오를등 뫼산 . . . 登 癶 豆 . . . 제사 그릇에 고기를 올린 모양. 올리다. 오르다. 오를등 등질발 콩두 . . . 山 . . . . . 산 봉우리가 세 개인 높은 산. 뫼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산 등산, 오를등, 뫼산, ., ., ., 산에 오르는 것을 등산이라고 함.오를등, 등질발, 콩두, ., ., ., 제사 그릇에 고기를 올린 모양. 올리다. 오르다.뫼산, ., ., ., ., ., 산 봉우리가 세 개인 높은 산.., ., ., ., ., ., .., ., ., ., ., ., ..,..

등록 한자 登錄 (오를등 기록할록) / register / dēnglù 登录 / とうろく

登錄 登錄 登 錄 . . . 제사그릇에 고기를 올리듯 기록에 올리는 것을 등록이라고 함. 등록 오를등 기록할록 . . . 登 癶 豆 . . . 제사 그릇에 고기를 올린 모양. 올리다. 오르다. 오를등 등질발 콩두 . . . 錄 金 綠 . . . 실을 물들이는 푸른색 염료로 밑그림을 그린 후 금속을 파내어 기록하는 모습. 기록할록 쇠금 푸를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록 등록, 오를등, 기록할록, ., ., ., 제사그릇에 고기를 올리듯 기록에 올리는 것을 등록이라고 함.오를등, 등질발, 콩두, ., ., ., 제사 그릇에 고기를 올린 모양. 올리다. 오르다.기록할록, 쇠금, 푸를..

등급 한자 等級 (무리등 등급급) / grade / děngjí 等级 / とうきゅう

等級 等級 等 級 . . . 관청의 대나무 죽간 문서가 무리지어 놓여있는 모습. 실을 평가하여 등급별로 나누어서 보관하는 모습. 등급지어 무리를 이룬 것을 등급이라고 함. 등급 무리등 등급급 . . . 等 竹 寺 . . . 관청의 대나무 죽간이 등급별로 잘 정리된 모습. 등급. 무리등 대죽 관청사 . . . 級 糸 及 . . . 실을 실타래로 만들고 손에 잡고 몸을 구부려 등급에 맞는 위치에 갖다 놓는 모습. 등급급 실멱 미칠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급 등급, 무리등, 등급급, ., ., ., 관청의 대나무 죽간 문서가 무리지어 놓여있는 모습. 실을 평가하여 등급별로 나누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