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쓰기/중고등학교 1800자 1685

짤함 한자 鹹 salty / 咸 xián / 塩 しお (짤 한자 짜다 한자)

鹹 鹹 鹵 咸 . . . 그릇에 바닷물을 끓여서 만든 소금을 맛보고 다 들 짜다라고 소리치는 모습. 함초. 짤함 소금로 다함 . . . 鹵 上 囗 米 . . 큰 솥에 바닷물을 끓이며 작대기로 저어주면 쌀알 같은 소금이 생기는 모습. 소금로 위상 나라국 쌀미 . . 咸 丿 戈 一 口 . 성을 창으로 공격할 때 다 함께 입으로 함성을 지르는 모습. 입구를 더하면 소리 지른다는 뜻. 함성(喊聲) 다함 삐침별 창과 한일 입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짤함 짤함, 소금로, 다함, ., ., ., 그릇에 바닷물을 끓여서 만든 소금을 맛보고 다 들 짜다라고 소리치는 모습. 함초.소금로, 위상, 나라국..

드물희 한자 稀 rare / xī / まれに[稀に] / き (드물 한자 드물다 한자 희박 한자)

稀 稀 禾 希 . . . 벼를 심는 모내기를 할 때 산가지 사이에 줄을 매고 수건을 잘라 조각을 매달아 벼를 드물게 심는 모양. 희소가치. 드물희 벼화 바랄희 . . . 禾 丿 木 . . . 이삭이 나무 같은 벼에 달린 모양 벼화 삐침별 나무목 . . . 希 爻 布 . . . 좋은 점괘를 베 수건에 수 놓아서 일이 잘되기를 희망하는 모습. 희망. 바랄희 점괘효 베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드물희 드물희, 벼화, 바랄희, ., ., ., 벼를 심는 모내기를 할 때 산가지 사이에 줄을 매고 수건을 잘라 조각을 매달아 벼를 드물게 심는 모양. 희소가치.벼화, 삐침별, 나무목, ., ...

마땅의 한자 宜 reasonable / yí / むべなる [宜なる] / ぎ (마땅 한자)

宜 宜 宀 且 . . . 집에서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마땅하다. 마땅의 집면 또차 . . . 宀 . . . . . 용머리가 보이는 집 지붕 모양. 집면 . . . . . 且 . . . . . 찬합 위에 또 찬합이 있는 모양. 제사상에 놓인 신위 모양으로도 사용됨. 또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땅의 마땅의, 집면, 또차, ., ., ., 집에서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마땅하다.집면, ., ., ., ., ., 용머리가 보이는 집 지붕 모양.또차, ., ., ., ., ., 찬합 위에 또 찬합이 있는 모양. 제사상에 놓인 신위 모양으로도 사용됨.., ..

천천히서 한자 徐 slow / xú / おもむろに [徐ろに] /じょ (천천히 한자 서행 한자)

徐 徐 彳 余 . . . 나무 위 삼합집이 보이자 걸음을 천천히 하면서 걷는 모양. 서행. 천천히서 걸을척 나여 . . . 彳 . . . . . 걸음을 척척 걸으면 뒤에 발자국이 남는 모양. 걸을척 . . . . . 余 亼 木 . . . 나무 위 삼합집에 나 혼자 뿐이다. 나여 삼합집 나무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천천히서 천천히서, 걸을척, 나여, ., ., ., 나무 위 삼합집이 보이자 걸음을 천천히 하면서 걷는 모양. 서행.걸을척, ., ., ., ., ., 걸음을 척척 걸으면 뒤에 발자국이 남는 모양.나여, 삼합집, 나무목, ., ., ., 나무 위 삼합집에 나 혼자 뿐이..

갑자기돌 한자 突 suddenly / tū / とつぜん [突然] / とつ (갑자기 한자 돌격 한자 돌진 한자)

突 突 穴 犬 . . . 구멍에서 개가 갑자기 튀어 나오는 모양. 돌연. 갑자기돌 구멍혈 개견 . . . 穴 宀 八 . . . 집으로 사용하는 동굴에서 사람들이 들락거리는 모양. 동굴은 구멍이다. 혈거인. 구멍혈 집면 여덟팔 . . . 犬 大 丶 . . . 혀를 내밀고 헥헥대는 개의 모습 개견 큰대 점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갑자기돌 갑자기돌, 구멍혈, 개견, ., ., ., 구멍에서 개가 갑자기 튀어 나오는 모양. 돌연.구멍혈, 집면, 여덟팔, ., ., ., 집으로 사용하는 동굴에서 사람들이 들락거리는 모양. 동굴은 구멍이다. 혈거인.개견, 큰대, 점주, ., ., ., 혀..

어찌내 한자 奈 why / nài / な (어찌 한자)

奈 奈 大 示 . . . 덩치 큰 사람이 제사 그릇을 보고 제물도 없는데 어찌 제사를 지내느냐고 한탄하는 모습. 어찌내 큰대 보일시 . . . 大 . . . . . 사람이 팔과 다리를 크게 벌리고 벌러덩 누운 모습 큰대 . . . . . 示 . . . . . 제사 그릇 모양. 제사 그릇에 음식을 차려서 정성을 조상에게 보인다는 뜻. 보일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어찌내 어찌내, 큰대, 보일시, ., ., ., 덩치 큰 사람이 제사 그릇을 보고 제물도 없는데 어찌 제사를 지내느냐고 한탄하는 모습.큰대, ., ., ., ., ., 사람이 팔과 다리를 크게 벌리고 벌러덩 누운 ..

나아갈염 한자 冄 go forward / răn (나아갈 한자 수염 한자)

冄 冄 . . . . . 나아가면 흩날리는 수염모양. 나아갈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아갈염 나아갈염, ., ., ., ., ., 나아가면 흩날리는 수염모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o forward / răn .

어찌나 한자 那 why / nà / な (어찌 한자)

那 那 刀 二 阝 . . 언덕 마을에 어찌 칼로 면도도 하지 않은 털 많은 서역인이 나타났는가? 어찌나 칼도 두이 언덕부방 . . 刀 . . . . . 음식할 때 식자재를 자르는 부엌칼 모양 칼도 . . . . . 二 一 一 . . . 나무 작대기 둘 두이 한일 한일 . . . 阝 . . . . . 언덕 봉우리 2개가 이어진 모양. 언덕부가 방으로 쓰일 때 형태 언덕부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어찌나 어찌나, 칼도, 두이, 언덕부방, ., ., 언덕 마을에 어찌 칼로 면도도 하지 않은 털 많은 서역인이 나타났는가?칼도, ., ., ., ., ., 음식할 때 식자재를 자르는 부엌칼 모양두이, 한일, 한일, ., ., ...

어찌기 한자 豈 why / qǐ / あに (어찌 한자)

豈 豈 山 豆 . . . 제사는 어찌 힘들게 높은 산에 올라가서 제사 그릇에 담아서 지내야 하는가? 어찌기 뫼산 콩두 . . . 山 . . . . . 산 봉우리가 세 개인 높은 산. 뫼산 . . . . . 豆 . . . . . 제사 그릇에 콩을 담은 모양. 콩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어찌기 어찌기, 뫼산, 콩두, ., ., ., 제사는 어찌 힘들게 높은 산에 올라가서 제사 그릇에 담아서 지내야 하는가?뫼산, ., ., ., ., ., 산 봉우리가 세 개인 높은 산.콩두, ., ., ., ., ., 제사 그릇에 콩을 담은 모양.., ., ., ., ., ., .., ., ..

겨우근 한자 僅 with difficulty / 仅 jǐn / わずか / きん (겨우 한자)

僅 僅 亻 菫 . . . 사람이 진흙에서 겨우 움직이는 모습. 겨우근 사람인변 진흙근 . . . 亻 . . . . . 사람인이 변으로 사용될 때 모양 사람인변 . . . . . 菫 艹 一 中 土 土 풀과 연꽃 아래 진흙이 가득한 모습. 진흙근 풀초두 한일 가운데중 흙토 흙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겨우근 겨우근, 사람인변, 진흙근, ., ., ., 사람이 진흙에서 겨우 움직이는 모습.사람인변, ., ., ., ., ., 사람인이 변으로 사용될 때 모양진흙근, 풀초두, 한일, 가운데중, 흙토, 흙토, 풀과 연꽃 아래 진흙이 가득한 모습..,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