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1. 식
사람이 음식을 먹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음식은 먹혀서 그 사람의 몸이 됩니다. 그럼 사람이 음식을 먹는 것일까요 아니면 음식이 사람을 먹는 것일까요? 고대 중국에서도 먹는 것은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이었고 한자에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요리하기 전 도구들
11.1 말두 斗
: 국자 모양, 쌀이나 콩을 일정량 계량하는 기구
11.2 되승 升
: 되의 수평을 깍는 평미래를 손에 든 모양
11.3 구기작 勺
: 국물을 뜨는 국자 모양
11.4 낮오 午
: 절굿공이와 그림자, 대낮에는 절구를 사용하지 않아 절굿공이가 수직으로 세워져있고 그림자가 짦아짐, 정오 등 시간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용됨
요리할 때 필요한 도구들
11.5 기운기 气
: 밥을 할때 뚜껑을 들썩이는 증기 모양, 증기가 기운이 세다
11.6 거듭증 曾
: 증기로 무언가를 찌는 시루모양, 아래 항아리에 윗 항아리가 거듭해서 얹어져 있다
식사때 필요한 도구들
11.7 합할합 合
= 삼합집 亼 + 입구 口
: 삼합집 모양 밥뚜껑과 입구모양 밥그릇이 합쳐진 모양
11.8 그릇명 皿
: 국물을 담는 그릇 모양, 피혈 血에서 그릇위에 핏방울이 떨어지는 모양
11.9 장군부 缶
: 한쪽끝이 막히고 한쪽 끝에 구멍이 나서 물이나 액체를 보관하는 장군
11.10 비수비 匕
: 밥을 떠먹거나 훠거를 건져먹는 숟가락, 흉기인 비수로 쓰이기도 함
11.11 어조사야 也
: 물을 담고 있는 주전자 모양
11.12 또차 且
: 찬합위에 또 찬합이 있는 모양
발효 식품을 위한 도구들
11.13 가득할복 畐
: 허리부분이 불룩한 항아리
11.14 닭유 酉
: 마개가 있는 기름병, 술병 모양, 천간의 닭유로 차용됨
728x90
'한자는 어디에서 왔을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는 어디에서 왔을까? 09. 사회 (社會) (0) | 2023.04.23 |
---|---|
한자는 어디에서 왔을까? 10. 의 (衣) (0) | 2023.04.23 |
한자는 어디에서 왔을까? 12. 주 (宙) (0) | 2023.04.23 |
한자는 어디에서 왔을까? 13. 제사 (祭事) (0) | 2023.04.23 |
한자는 어디에서 왔을까? 14. 전쟁 (戰爭) (0) | 202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