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필수 한자 900자

중학교 필수 한자 900자 2/3

먹물 한자 2021. 3. 12. 18:31
728x90

10. 신체일부

한자                                            p1           풀이          
몸신 身 몸신 身 아이를 배 불룩한 임산부의 몸
몸체 體 뼈골 骨 굽을곡 曲 콩두 豆 뼈, 제사콩그릇과 대바구니에 가득한 콩포기 같은 살로 구성된 몸, 신체
머리수 首 머리수 首 털난 머리와 코를 가진 머리
정수리정 頂 고무래정 丁 머리혈 頁 머리위에 고무래로 편듯 평평한 정수리
머리두 頭 콩두 豆 머리혈 頁 제사 그릇에 콩을 담아 바치고 머리로 절을 하는 모양
얼굴안 顔 글월문 文 기슭엄 厂 터럭삼 彡 머리혈 頁 죄를 지으면 문신하는 얼굴, 절벽같은 턱에 수염이 나는 곳, 머리의 앞쪽, 안색
얼굴용 容 집면 宀 골곡 谷 위에 머리가 덮여있고 눈썹, 광대뼈, 입이 있는 얼굴, 용모
낯면 面 낯면 面 얼굴 모양
눈목 目 눈목 目 눈과 눈알, 90도 회전
눈안 眼 눈목 目 괘이름간 艮 뜬눈과 내리깐눈 두개를 합쳐 안이라 한다
코비 鼻 스스로자 自 밭전 田 받들공 廾 코로 숨이 들어와 폐에 까지 이르는 모양, 이비인후과 (耳鼻咽喉科)
귀이 耳 귀이 耳 귓바퀴와 귓구멍 모양
이치 齒 그칠지 止 좇을종 从 한일 一 좇을종 从 입벌릴감 凵 입을 벌리면 위아래 이가 빼곡히 들어찬 모양
입구 口 입구 口 벌린 입모양
혀설 舌 혀설 舌 끝이 갈라진 뱀의 혀, 인간의 혀가 달감 甘에 사용되어 뱀의혀가 모든 혀를 대표
또역 亦 또역 亦 겨드랑이는 왼쪽에 있고 또 오른쪽에 있다, 역시, 액취
가슴흉 胸 육달월 月 쌀포 勹 흉할흉 凶 고기인 신체기관 중 흉하게 보이는 다른 장기뜰을 싸고 있는 가슴, 흉부외과
마음심 心 마음심 心 심장, 마음
또우 又 또우 又 오른손을 사용하고 또 사용한다는 뜻
마디촌 寸 마디촌 寸 오른손과 맥박이 뛰는 손목 마디, 삼촌, 사촌
손수 手 손수 手 손의 손금 모양
손가락지 指 손수변 扌 비수비 匕 가로왈 曰 손에서 숟가락처럼 입에 넣었다 뺐다 하는 손가락, 중지
그칠지 止 그칠지 止 발이 앞을 향한 모양
다리각 脚 육달월 月 갈거 去 병부절 卩 사람의 신체기관중 걸어갈때, 무릎을 굽힐 때 사용하는 다리, 각선미
발족 足 발족 足 성을 치러 올라가는 발 모양
뼈골 骨 뼈골 骨 살이 붙어 있는 뼈 모양
터럭모 毛 터럭모 毛 꼬리에 난 털모양
피혈 血 점주 丶 그릇명 皿 그릇에 핏방울이 떨어지는 모양

11. 감각과 감정

한자                                            p1           풀이          
볼간 看 손수 手 눈목 目 멀리 보려고 손을 이마에 댄모습
볼견 見 눈목 目 어진사람인 儿 사람이 발로 서서 눈으로 사물을 자세히 보는 모습, 견해
볼관 觀 황새관 雚 볼견 見 황새처럼 눈을 크게뜨고 사물을 이리저리 본다, 관점
볼시 視 보일시 示 볼견 見 제사그릇에 담기 제사 음식의 상태를 본다, 시찰, 감시
고요할정 靜 푸를청 靑 다툴쟁 爭 다툼이 끝나면 고요한 맑은 물이 푸른 빛을 내는 것처럼 주위가 고요해진다
소리성 聲 소리성 声 선비사 士 꼬리파 巴 창수 殳 귀이 耳 옥편경을 창으로 때린 후 그 소리를 귀로 듣는 모양, 음성
향기향 香 벼화 禾 가로왈 曰 벼, 쌀을 입으로 먹으면 입에서 쌀 향기가 난다
달감 甘 달감 甘 단것을 맛보기 위해 내민 혀
맛미 味 입구 口 아닐미 未 나무에 열린 열매를 입으로 맛보아 나무에는 열매가 없다
매울렬 烈 벌일렬 列 죽은뼈알 歹 칼도2 刂 불화발 灬 매운 것을 먹으면 칼로 뼈를 쪼개는 것 같고 불타는 것 같은 고통이 온다
쓸고 苦 풀초 艹 옛고 古 풀이 오래되면 써진다, 고진감래
기쁠열 悅 마음심변 忄 기뻐할열 兌 여덟팔 八 맏형 兄 근심을 벗고 얼굴에 팔자 주름 만들며 웃는 형의 마음은 기쁘다
기쁠환 歡 황새관 雚 하품흠 欠 하품하듯 입을 크게 벌리고 황새 우는 것처럼 웃으며 기뻐하는 모습, 환희
기쁠희 喜 악기이름주 壴 입구 口 주라는 악기, 북을 치면서 노래불러 기뻐하는 모습
웃음소 笑 대죽 竹 어릴요 夭 웃으면 눈이 대나무 잎처럼 가늘어지고 아이와 같은 소리를 내며 깔깔댄다, 미소
성낼노 怒 종노 奴 마음심 心 여자가 손에 붙잡혀와서 종이되어 마음에 분노가 가득한 모양
슬플비 悲 아닐비 非 마음심 心 슬프면 마음이 내 마음이 아니다, 비통
슬플애 哀 옷의 衣 입구 口 상복을 입고 입으로 곡을하는 상주는 슬프다, 애통
울읍 泣 물수변 氵 설립 立 서있는 사람이 물을 흘리며 우는 모습, 읍소
노래가 歌 옳을가 可 옳을가 可 하품흠 欠 옳치 옳치 하고 추임새 넣고 하품하듯 입 크게 벌려 노래하는 모습, 가수
놀유 遊 쉬엄쉬엄갈착 辶 모방 方 사람인2 人 아들자 子 네모난 깃발을 사람처럼 날리며 아들을 데리고 여기 저기 다니며 노는 모양, 유람
부를창 唱 입구 口 창성할창 昌 입으로 해아래 곡식들이 창성하여 먹을 것이 풍부함을 노래하는 모양
즐길락 樂 흰백 白 나무목 木 작을요 幺 작을요 幺 흰 나무에 줄을 매어 만든 현악기, 악기를 연주하며 즐기는 모습
춤출무 舞 없을무 無 어그러질천 舛 춤을 출때 발을 어그러지게 추는 모양, 음주가무
놀랄경 驚 공경할경 敬 말마 馬 개를 몽둥이로 때리듯 말을 때리면 말은 놀란다, 경악
느낄감 感 다함 咸 마음심 心 다 같이 함성을 지르면 마음에 우리는 하나라는 것을 느낀다, 감각
뜻정 情 마음심변 忄 푸를청 靑 마음속에 푸른 생각, 정다운 정
사랑애 愛 손톱조 爪 덮을멱 冖 마음심 心 뒤져올치 夂 누군가의 손에 붙잡힌것 같고 덮어놓고 심장이 뛰고 발걸음이 느려지는 사랑
사랑자 慈 검을자 玆 검을현 玄 검을현 玄 마음심 心 사랑하는 마음은 밧줄과 밧줄로 누군가와 연결된 기분이다

12. 심리

한자                                            p1           풀이          
근심수 愁 벼화 禾 불화 火 마음심 心 벼에 메뚜기가 가득함을 근심하는 모습
근심우 憂 머리혈 頁 마음심 心 뒤져올치 夂 근심이 생기면 머리에 생각이 많고 마음이 무겁고 걸음이 느려짐, 우환
근심환 患 꿰뚫을관 串 마음심 心 근심이 생기면 송곳이 심장을 꿰뚫는 것처럼 고통스럽다, 우환
어려울난 難 진흙근 菫 새추 隹 진흙에 빠진 새의 곤란한 모습
원망할원 怨 저녁석 夕 병부절2 㔾 마음심 心 저녁이 되어 방바닥에서 뒹굴뒹굴하면 가족들 마음에 원망이 쌓인다
잊을망 忘 망할망 亡 마음심 心 마음속에 생각이 망했다, 잊어버렸다, 망각
한할한 恨 마음심변 忄 괘이름간 艮 눈을 내리깐 사람의 마음에는 한이 쌓였다
복복 福 보일시 示 불룩할복 畐 제사그릇에 음식이 가득하고 항아리 가득 술이 있는 것이 복이다
성품성 性 마음심변 忄 날생 生 사람 성품은 마음속에서 태어난다
원할원 願 근원원 原 기슭엄 厂 흰백 白 물수 水 머리혈 頁 머리속에 들어있는 근원은 원함이다, 소원
감히감 敢 범호 虎 또우 又 얼룩무늬 있는 호랑이 꼬리를 손으로 붙잡는 과감한 모습
날랠용 勇 솟을용 甬 칼도 刀 양쪽에 벽이 솟은 길에서 칼찬 사람은 과감히 움직인다, 날래다, 용기
뜻의 意 설립 立 가로왈 曰 마음심 心 사람머리, 말, 마음에 있는 뜻, 의지
뜻지 志 선비사 士 마음심 心 선비의 마음에는 뜻이 있다, 의지
믿을신 信 사람인 亻 말씀언 言 사람의 말은 믿음직스러워야 한다
씩씩할장 壯 조각장 爿 선비사 士 평상에 앉아 있는 선비의 씩씩함, 장엄
의지할의 依 사람인변 亻 옷의 衣 사람이 옷에 의지한다
아낄석 惜 마음심변 忄 옛석 昔 시간이 지나면 옛날이 되기 때문에 지금 시간을 아껴야한다는 마음, 애석
은혜은 恩 인할인 因 나라국 囗 큰대 大 마음심 心 포로로 잡혀온 여자가 자신을 처로 삼은 침상에 누운 남자를 보고 고마워하는 마음
은혜혜 惠 오로지전 專 마음심 心 물레를 돌리는 여자의 마음은 가족들에게 옷을 만들어 주려는 베푸는 마음이다 혜택
충성충 忠 가운데중 中 마음심 心 누군가가 마음 한가운데 있으면 그 사람에게 충성한다
친할친 親 매울신 辛 사람인 人 볼견 見 얼굴에 문신한 죄인이라도 늘 바라보면 그사람과 친해짐, 친구가됨
정성성 誠 말씀언 言 이룰성 成 싸우지 않고 성을 점령하려면 말을 정성스럽게 해야 한다
하고자할욕 欲 골곡 谷 하품흠 欠 하품하듯 크게 입을 벌리고 계곡물을 마시는 모습, 욕구, 욕망

13. 의식주

한자                                            p1           풀이          
실사 絲 실멱 糸 실멱 糸 실타래와 실타래가 연결되어 실이 계속 연결되는 모양
베포 布 열십 十 수건건 巾 염색한 수건을 건조대에 걸어 놓은 베, 군포
바늘침 針 쇠금 金 열십 十 쇠로 만들어 무언가 교차되게 바느질하는 바늘
마침종 終 실멱 糸 겨울동 冬 실로 바느질을 하고 실을 꼬아 얼음땡하는 매듭을 지음, 종결
옷의 衣 옷의 衣 사람이 상의를 입은 모양
옷복 服 육달월 月 병부절 卩 또우 又 벗은 몸에 구부러진 옷을 손에 잡고 입는 옷, 복장
가죽피 皮 가죽피 皮 짐승을 매달고 가죽을 벗기는 손의 모양, 피혁
가죽혁 革 가죽혁 革 벗겨져서 펼쳐놓은 동물의 가죽 모양, 피혁
누를황 黃 누를황 黃 황제의 황옥 흉패가 누렇다
마실음 飮 밥식 食 하품흠 欠 하품하듯 입을 크게 벌리고 먹는다, 마신다, 음료
목마를갈 渴 물수 氵 어찌갈 曷 가로왈 曰 빌갈 匃 갖힌 사람이 빌면서 입으로 어찌 물을 주지 않느냐고 말하는 모습
기름유 油 물수 氵 말미암을유 由 심지가 있는 등잔에 물, 기름을 공급하는 모습
어질량 良 어질량 良 곡식에 섞여있는 돌을 골라내는 석발기, 어질다, 좋게만들다
기운기 氣 쌀미 米 기운기 汽 쌀로 밥을 할때 나오는 수증기는 엄청난 기운이 있다
밥반 飯 밥식 食 되돌릴반 反 밥을 먹었는데 배고픔이 다시 돌아와 또 밥을 먹는다
밥식 食 여덟팔 八 좋을량 良 팔로 석발기에서 돌을 골라내고 밥을 해서 먹는다
또차 且 또차 且 찬합위에 또 찬합이 있는 모양
술주 酒 물수변 氵 닭유 酉 항아리에 막걸리를 담그고 물을 부어 술을 만드는 모습
잔배 杯 나무목 木 아니불 不 나무로 깍아만든 술잔 모양, 아니불 不자 가운데가 술잔 손잡이, 술잔배 桮도 동자
터기 基 그기 其 흙토 土 흙을 네모처럼 만든 터, 기초
집택 宅 집면 宀 부탁할탁 乇 사람이 몸을 의탁하여 사는 집, 택
집주 宙 집면 宀 말미암을유 由 집안 등잔이 밝히는 마룻대가 있는 큰집, 주
집우 宇 집면 宀 어조사우 宇 집에 처마가 넓게 펼쳐진 모양, 처마가 넓은집, 우
집옥 屋 주검시 尸 이를지 至 화살이 땅에 이르듯 몸이 도착하여 눕는 집, 옥
집사 舍 사람인2 人 혀설 舌 뼈대가 하나뿐인 간이집, 여관, 쉼터, 공관
집당 堂 오히려상 尙 흙토 土 흙을 잘 다진 후 지은 기와집, 당
집가 家 집면 宀 돼지시 豕 집아래 돼지를 키워 뱀을 막은 고대 중국의 집
기와와 瓦 기와와 瓦 암키와와 수키와를 겹친 모양
창문창 窓 구멍혈 穴 사사로울사 厶 마음심 心 집에 구멍을 내서 팔로 열수 있는 문을 만들고 문에 문살을 넣은 창, 窗으로 쓰기도함
문문 門 문문 門 밀고 들어가는 양쪽문
지게문호 戶 지게문호 戶 경첩이 한쪽에만 있는 외짝문
방방 房 지게문호 戶 모방 方 지게문같은 방문을 열고 들어가면 사방이 막힌 방이 나온다
방실 室 집면 宀 이를지 至 화살이 땅에 박힌것처럼 사람이 집에 들어가 박히는 곳, 방, 실
빗장관 關 문문 門 작을요 幺 작을요 幺 쌍상투관 丱 문에 실타래 얽히듯 손으로 빗장을 거는 모양
닫을폐 閉 문문 門 재주재 才 양쪽문을 손으로 밀어 닫는 모양
동산원 園 나라국 囗 옷의 衣 입구 口 사방이 막힌 정원에서 헐렁한 옷을 입고 심호흡하며 쉬는 모양
뜰정 庭 집엄 广 조정정 廷 길게걸을인 廴 북방임 壬 사람이 다리를 벌려 걸어 올라 큰집에 들어가는 조정, 그 집앞의 뜰, 정원
마당장 場 흙토 土 볕양 易 흙을 펴서 볕이 잘 들도록 만든 마당, 대화의 장
살거 居 주검시 尸 옛고 古 누운 몸이 잠을 오래 자는 곳이 주거지 이다, 거주
살주 住 사람인변 亻 주인주 主 사람이 촛대에 붉을 밝히고 밤을 보내는 주거지, 거주
자리석 席 집엄 广 스물입 廿 수건건 巾 집안에서 손으로 수건을 깔아 손님의 자리를 표시한 모양
잘면 眠 눈목 目 백성민 民 눈만 감으면 자는 고단한 까막눈 백성, 수면
잘숙 宿 집면 宀 사람인변 亻 일백백 百 집에 있는 사람이 침상에 누워서 자는 모양, 숙박

14. 교육

한자                                            p1           풀이          
학교교 校 나무목 木 사귈교 交 나무로 만들어서 친구도 사귀고 공부도 하는 학교
가르칠교 敎 점괘효 爻 아들자 子 칠복 攵 아들에게 수를 가르치기 위해 산가지를 땅에 치는 모양, 교사
가르칠훈 訓 말씀언 言 내천 川 말을 시냇물처럼 유창하게 하여 가르친느 훈장
강론할강 講 말씀언 言 얽을구 構 우물정 井 다시재 再 말을 우물정자처럼 잘 엮고 숨가쁜 물고기 물위로 다시 오르듯 다시하고 다시하는 강론
배울학 學 점괘효 爻 점괘효 爻 절구구 臼 함께공 共 아들자 子 산가지를 손으로 잡고 들었다 놨다 하며 아들이 셈을 배우는 모습, 학습
본받을효 效 사귈교 交 칠복 攵 다리를 교차시킨 것처럼 훌륭한 사람과 교제하고 잘못된 부분을 매로 쳐서 본받는다
본보기례 例 사람인변 亻 벌릴렬 列 견습생 사람이 지켜보는 중에 뼈를 발라 내는 예를 보여주는 모습
시험시 試 말씀언 言 법식 式 주살익 弋 장인공 工 말을 장인이 주살을 설치하는 정해진 방식처럼 정해진 질문하는 시험
연구할구 究 구멍혈 穴 아홉구 九 캄캄한 동굴 손으로 더듬는 모습, 새로운 것을 연구하는 것도 검은 동굴 탐험과 같음
익힐련 練 실멱 糸 가릴간 柬 묶을속 束 여덟팔 八 누에고치에서 실을 가려 뽑아내는 기술은 수련이 필요하다
익힐습 習 깃우 羽 흰백 白 새가 흰 태양 위로 날개짓하며 나르려면 연습이 필요하다
읽을독 讀 말씀언 言 팔매 賣 선비사 士 살매 買 선비가 사온 물건을 팔기 위해 말로 물건의 장점을 읽는 모습, 독서
과목과 科 벼화 禾 말두 斗 벼를 말로 퍼내서 등급을 매기는 모양, 세금을 매기는 모양, 교육 과정 정의, 과목, 과학
과정과 課 말씀언 言 열매과 果 밭전 田 나무목 木 말, 글공부를 해서 과실을 맺는다, 과실을 맺기 위한 과정, 공부
깨달을오 悟 마음심변 忄 나오 吾 마음속에 5를 말하고 있는 나의 존재에 대해 느끼는 것이 깨닫는 것이다
알식 識 말씀언 言 소리음 音 창과 戈 누군가 말하면 그말하는 소리가 창날처럼 날아와 내게 박힌다, 인식
알인 認 말씀언 言 칼날인 刃 마음심 心 누군가 말하면 그말하는 소리가 칼날 처럼 날아와 내 마음에 박힌다, 인식
알지 知 화살시 矢 입구 口 화살이 맞은 곳을 과녁옆에 있는 부하가 말해서 그 위치를 알게된다, 지식
먹묵 墨 검을흑 黑 흙토 土 검은 검댕과 흙을 섞어 만든 먹, 묵향
붓필 筆 대죽 竹 붓율 聿 대나무로 만든 붓을 필이라 한다, 필기구
종이지 紙 실멱 糸 성씨 氏 실, 펄프가 씨가 되어 만들어 지는 종이, 지물포
책권 卷 책권 卷 말아 놓은 죽간의 모양
책상안 案 편안할안 安 집면 宀 여자여 女 나무목 木 편안하게 앉아서 업무를 볼수 있는 나무로 만든 책상, 책상에서 아이디어나옴, 고안
책책 冊 책책 冊 대나무를 연결해서 만든 죽간책
책편 篇 대죽 竹 넙적할편 扁 지게문호 戶 책책 冊 죽간책 한쪽 끝을 또 다른 대나무로 연결하여 만든 더 긴 책, 편, 1편, 2편
제목제 題 옳을시 是 머리혈 頁 글의 머리에 내용이 이렇다 하고 말해주는 제목
글귀구 句 쌀포 勹 입구 口 입의 말을 올가미처럼 잘 엮은 글귀
글서 書 붓율 聿 가로왈 曰 붓으로 글, 서신을 쓰고 입으로 읽어서 확인하는 모습
글시 詩 말씀언 言 관청사 寺 관청에서 하는 말은 시처럼 짧다
글월문 文 글월문 文 죄인의 얼굴에 죄명에 해당하는 문자를 문신으로 새긴 것을 문이라고 함
글월장 章 매울신 辛 가로왈 曰 죄인의 얼굴의 죄명 문자를 입으로 읽는 것을 장이라 함
글자자 字 집면 宀 아들자 子 집에서 아들에게 글자를 가르치는 모습
기록기 記 말씀언 言 몸기 己 누군가 말로 불러주고 몸을 엎드린 사람이 기록하는 모습
어조사야 也 어조사야 也 물주전자, ~이다, ~느냐, ~도다, ~구나
어조사어 於 어조사어 於 네모난 기를 사람처럼 날리며 얼음언 지역에 전쟁하러가는 모습, ~에, ~에서
어조사우 于 어조사우 于 방패, ~에서, ~부터, ~까지, ~에게
어조사의 矣 어조사의 矣 화살을 잡은 팔뚝, ~었다, ~리라, ~이다, ~뿐이다, ~도다, ~느야, ~여라
어조사재 哉 어조사재 哉 흙을 창으로 파고 무언가 감춤, ~하다
어조사호 乎 어조사호 乎 도끼로 내려쳐 소리가 나는 모양, ~느냐, ~랴, ~겠지, ~도다, ~에, ~보다
그기 其 그기 其 곡식을 까불리는 키, 그것이라는 대명사로 차용
이차 此 그칠지 止 비수비 匕 사람이 발을 멈추고 비수를 땅에 내리치며 여기, 이곳이라고 함
저피 彼 갈척 彳 가죽피 皮 가죽을 얻기 위해 걸어가야 하는 장소, 저곳, 저것, 피차 (저것과 이것)

15. 농사

한자                                            p1           풀이          
밭전 田 밭전 田 격자무늬로 경계가 나뉘어진 밭
밭갈경 耕 쟁기뢰 耒 우물정 井 쟁기질을 할때 우물정자 격자무늬를 만든다, 경작
힘력 力 힘력 力 쟁기모양, 쟁기가 밭을 힘있게 갈아 엎는다
씨종 種 벼화 禾 무거울중 重 벼에서 무거운 부분이 씨이다, 종자
심을식 植 나무목 木 곧을직 直 나무를 심을 때는 곧게 심어야 한다
심을재 栽 흙토 土 창과 戈 나무목 木 흙을 창으로 파서 나무를 심는다, 식재
농사농 農 굽을곡 曲 별진 辰 조개껍데기 농기구로 밭을 갈아농작물을 대바구니 처럼 풍성하게 만드는 농사, 농부
물댈주 注 물수 氵 주인주 主 격자무늬 수로를 통해 물을 대는 모습
풍년풍 豐 예쁠봉 丰 뫼산 山 콩두 豆 예쁜 콩잎이 산처럼 풍성해서 그것을 제사 그릇에 올려 조상에게 드린 모양, 풍년
캘채 採 손수변 扌 손톱조 爪 나무목 木 손과 손으로 나무나 풀을 캐는 모양, 채굴
거둘수 收 얽을구 丩 칠복 攵 곡식이나 작물을 단으로 얽은 후 도리깨로 쳐서 수확한다
곡식곡 穀 선비사 士 덮을멱 冖 한일 一 벼화 禾 창수 殳 선비가 창으로 덮어 놓은 볏단을 쳐서 곡식을 타작하는 모습, 곡물
실과과 果 밭전 田 나무목 木 나무 위에 열린 과일은 밭에서 나는 채소처럼 맛있다
쌀미 米 쌀미 米 쌀알이 튀는 모양
열매실 實 집면 宀 꿰뚫을관 毌 조개패 貝 집안에 돈될만한 열매들을 꿰뚤어 걸어 놓은 모양, 실과
콩두 豆 콩두 豆 콩을 담은 제사그릇
재목재 材 나무목 木 재주재 才 나무를 재주있게 잘키우면 재목이 된다

16. 직업과 기술

한자                                            p1           풀이          
공공 功 장인공 工 힘력 力 장인이 힘을 쓴 공로로 훌륭한 물건들이 만들어짐, 성공, 공로
부지런할근 勤 진흙근 菫 풀초 艹 가운데중 中 흙토 土 힘력 力 진흙에 빠지지 않으려 쉬지 않고 힘써야 하듯 쉬지도 않고 부지런히 일한다는 뜻, 근면
업업 業 업업 業 나무에 종을 단 악기, 그 악기를 다루는 악공은 직업, 업무
일사 事 관리리 吏 붓율 聿 관리가 붓을 잡고 무언가 쓰고 있는 것이 일이다, 사무
일할로 勞 등불형 熒 힘력 力 등불을 켜놓고 쟁기질을 하는 모습, 일은 힘든 노동이다
힘쓸무 務 창모 矛 칠복 攵 힘력 力 창을 손에 잡고 휘둘러 힘을 쓰는 모양, 공무원, 업무
갈연 硏 돌석 石 평평할견 幵 돌을 평평하게 하려면 갈아야 한다, 연구
고를균 均 흙토 土 고를균 勻 흙을 곡식 말 수평으로 깍는 평미래로 밀듯 밀어서 고르게 한다는 뜻
고를조 調 말씀언 言 두루주 周 멀경 冂 흙토 土 입구 口 말을 해서 밭 한쪽 귀퉁이에 쌓인 흙을 둘레로 고루 펼치게 한다, 조절한다는 뜻
깨뜨릴파 破 돌석 石 가죽피 皮 딱딱한 돌의 가죽이 벗겨지면 깨지는 것이다, 파손
끊을절 絶 실멱 糸 빛색 色 실을 가위날에 끼워 끊는 모양, 절단
끌인 引 활궁 弓 뚫을곤 丨 활에서 활시위를 끌어 당기고 있는 모양
다리교 橋 나무목 木 높을교 喬 작을요 夭 높을고 高 나무로 높은 건물처럼 만들어 위에 지붕이 없이 작은 난간만 있는 다리, 교량
배선 船 배주 舟 열덟팔 八 입구 口 배인데 여덟명이 탈수 있는 큰배 선, 선박
법식 式 주살익 弋 장인공 工 주살을 설치하는 장인의 일정한 방식, 공식
본디소 素 예쁠봉 丰 실멱 糸 누에고치에서 뽑은 예쁜 실 가닥들이 실타래의 원소가 된다
불꽃염 炎 불화 火 불화 火 모닥불이 커지면 불꽃이 위로 올라감, 화염
불화 火 불화 火 모닥불 모양
세울건 建 길게걸을인 廴 붓율 聿 붓으로 설계도를 그리고 긴 보폭으로 걸어 돌아다니며 집을 건설하는 모습
쇠금 金 쇠금 金 거푸집에서 나온 청동 주물 덩어리
구슬옥 玉 구슬옥 玉 임금의 옥구슬왕관 모양, 옥
은은 銀 쇠금 金 괘이름간 艮 쇠는쇤데 눈으로 자신의 얼굴을 비쳐보는 거울을 만드는 쇠, 은
쇠북종 鐘 쇠금 金 아이동 童 설립 立 마을리 里 금속으로 만들어 마을 입구에서 노는 아이처럼 맑은 소리를 내는 종
쇠철 鐵 쇠금 金 마를재 裁 입구 口 천간임 壬 쇠인 철을 옷감자르듯 잘라서 투구도 만들고 갑옷도 만드는 모양
연기연 煙 불화 火 서녘서 西 흙토 土 해가 서쪽으로 지고 추워져 불을 지피면 흙으로 만든 굴뚝에서 연기가 나오는 모습
우물정 井 우물정 井 우물 입구의 격자 무늬 나무
장인공 工 장인공 工 미장공의 흙손
재주기 技 손수변 扌 지탱할지 支 손과 손에 도구를 들고 재주를 부리는 기술
재주예 藝 풀초 艹 뭍륙 坴 둥글환 丸 이를운 云 풀같은 모종을 들고 흙위에 흙이 있는 육지, 밭에 가서 구부려 심는 원예, 예술
재주재 才 재주재 才 씨를 뿌린 후 싹이 나오는 모종 모양, 모종을 키우는 것이 농사에서 중요한 재주
조각편 片 조각편 片 나무를 반으로 쪼개어 가지가 오른편에 있는 있는 것을 편이라 함 (조작장 爿, 왼편)
지날경 經 실멱 糸 물줄기경 巠 실이 베틀의 잉아를 지나가는 모양, 경험, 경제
지을작 作 사람인변 亻 잠깐사 乍 사람이 바느질할때 잠깐 잠깐 보이는 바느질 땀, 바느질하여 옷을 지었다, 제작
지을제 製 소우 牛 수건건 巾 칼도방 刂 옷의 衣 소의 가죽을 수건처럼 잘라서 옷을 만드는 모양, 제조
지을조 造 쉬엄쉬엄갈착 辶 소우 牛 입구 口 소를 잡고 사당에 가서 조상에게 고한후 무언가 복잡한 물건을 만들기 시작함, 제조
말두 斗 말두 斗 국을 뜨는 국자
자척 尺 주검시 尸 삐침별 丿 구부린 사람이 발을 내밀어 거리를 재는 모양, 발의 길이를 척이라고 함
짝필 匹 감출혜 匸 어진사람인 儿 긴 천을 2사람이 짝으로 마주 잡고 사람의 다리 폭에 맞춰 접은 모양, 1필은 12m
헤아릴량 量 가로왈 曰 한일 一 마을리 里 위에 깔대기가 있고 아래 자루가 있는 곡식량을 헤아리는 도구, 량
헤아릴료 料 쌀미 米 말두 斗 쌀의 양을 말로 헤아린다, 자료, 요금
그림도 圖 나라국 囗 입구 口 점주 丶 한일 一 돌회 回 네모난 표구틀 안에 점, 선, 면이 이 있는 그림, 지도
그림화 畵 붓율 聿 밭전 田 입벌릴감 凵 붓으로 흡수천 위 종이에 격자무늬를 그리는 모양, 화가

17. 경제와 도시

한자                                            p1           풀이          
물건품 品 입구 口 입구 口 입구 口 물건이 많아 쌓아 올린 모양
만물물 物 소우 牛 말물 勿 소를 칼로 내리쳐 쇠고기, 물건으로 만들었다, 물건
재물화 貨 될화 化 조개패 貝 돈으로 바꿀수 있는 재물을 화라 한다
재물재 財 조개패 貝 재주재 才 돈을 재주있게 쓰면 돈가치보다 큰 재물을 얻을 수 있다
세금세 稅 벼화 禾 기쁠태 兌 여덟팔 八 맏형 兄 벼 이삭 많이 달려 세금내고 남은 것이 많을 것으로 판단되어 형이 즐거워 하는 모양
값가 價 사람인 亻 덮을아 覀 조개패 貝 사람이 물건 위에 가격을 써서 덮어놓은 가격표 모양
조개패 貝 조개패 貝 주름이 있는 조개 껍질과 조개발 모양
돈전 錢 쇠금 金 창과 戈 창과 戈 금속으로 만들어 창날처럼 쌓아 올린 돈, 전대
살매 買 눈목 目 조개패 貝 눈으로 보고 돈을 주어 물건을 산다, 매수
팔매 賣 선비사 士 살매 買 돈을주고 그물로 걸어서 사온 물건을 파는 선비의 모습
귀할귀 貴 가운데중 中 조개패 貝 돈같이 귀중한 것은 집 한가운데 있는 궤에 보관해야 한다
장사상 商 높을고 高 여덟팔 八 높은집안의 매대위에 손으로 물건을 올려놓고 장사하는 모양, 장사
이로울리 利 벼화 禾 칼도방 刂 벼를 칼로 베어 이로운 것을 취하는 모습, 이익
더할익 益 여덟팔 八 한일 一 여덟팔 八 그릇명 皿 그릇에 물을 붓고 또 부어 넘치게 하는 모습, 이익
가게점 店 집엄 广 차지할점 占 점복 卜 입구 口 소뼈태우는 점을 쳐서 터를 정하고 지붕있는 집을 짓고 방처럼 만든 가게, 점포
가난할빈 貧 나눌분 分 여덟팔 八 칼도 刀 조개패 貝 돈을 나누면 가난해진다, 빈부귀천
부자부 富 집면 宀 불룩할복 畐 집에 불룩한 항아리를 가지고 있는 부자집 모습
꾸짖을책 責 예쁠봉 丰 조개패 貝 돈을 빌리면 돈에서 가시, 이자가 돋아나 이자 갚으라고 빌린 사람을 꾸짖는다. 책망, 채무
공평할공 公 여덟팔 八 사사로울사 厶 어떤 물건을 공평하게 둘로 가르는 팔뚝 모양, 공평
사사로울사 私 벼화 禾 사사로울사 厶 공동경작하는 벼를 팔뚝으로 휘감아 개인이 사사롭게 사용하는 모양
고을군 郡 임금군 君 언덕부 阝 손에 지휘봉을 들고 입으로 말하는 임금이 다스리는 언덕 마을, 군
고을읍 邑 나라국 囗 꼬리파 巴 네모난 성에 꼬리 달린 사람들이 사는 마을, 읍
골동 洞 물수 氵 같을동 同 무릇범 凡 입구 口 물, 강근처에서 범선의 돛처럼 많은 입들이 같이 모여 사는 동네
도읍도 都 사람자 者 언덕부 阝 사탕수수 빨아먹는 사람들이 사는 언덕 마을, 도
떼부 部 설립 立 고을읍 邑 입구 口 언덕부 阝 선 사람, 관리가 입으로 언덕마을을 부락 불러서 나누는 모습, 부서
마을리 里 밭전 田 흙토 土 밭안에 흙이 가득한 농촌 마을, 리
마을촌 村 나무목 木 마디촌 寸 나무를 손에 잡고 심은 산촌 마을, 촌
나라국 國 나라국 囗 혹시혹 或 나라국 囗 창모 戊 국경에 성을 쌓고 혹시 적이 올까하여 창을 들고 지키는 나라
서울경 京 높을고 高 작을소 小 높은 집들에 작은 사람들이 사는 서울
거리가 街 홀규 圭 다닐행 行 홀처럼 쭉뻗은 직선도로와 교차하는 사거리가 있는 거리, 가로등
바를정 正 바를정 正 반듯한 직각인 도시의 거리
길도 道 쉬엄쉬엄갈착 辶 머리수 首 사람이 머리로 생각하며 쉬엄쉬엄 가야 바로 갈수 있는 여러 갈래 복잡한 길, 도로
길로 路 발족 足 각각각 各 성을 향해 진격하는 발과 같이 각자 특정 목적지를 정하고 걷는 연결된 길, 경로
성성 城 흙토 土 이룰성 成 천간무 戊 고무래정 丁 흙을 고루펴고 토성을 쌓아 날선 창으로 성을 지키는 모양
관청사 寺 흙토 土 마디촌 寸 흙, 땅에 대한 업무를 관장하던 관청
다스릴리 理 임금왕 王 마을리 里 임금이 마을들을 다스린다
다스릴치 治 물수 氵 사사로울사 厶 입구 口 물, 홍수가 나서 팔로 지휘하고 말로 명령하여 아래사람들을 다스리는 모습, 치수
들야 野 마을리 里 나여 予 마을과 들 사이에서 내가 베틀의 북처럼 왔다갔다하며 농사짓는 모양, 야생
시골향 鄕 시골향 乡 흰백 白 비수비 匕 언덕부 阝 시골에서 사람들 언덕처럼 양쪽에 구부리고 앉아 냄비 훠궈 숟갈로 건져먹는 모습
저자시 市 수건건 巾 한일 一 작대기에 수건, 간판을 걸고 장사하는 저자, 시장
이름명 名 저녁석 夕 입구 口 저녁이 되어 사람이 보이지 않아 입으로 부르는 사람이름, 호명
풍속속 俗 사람인변 亻 골곡 谷 사람이 사는 골짜기 마다 풍속이 다르다
거느릴령 領 명령령 令 삽합집 亼 병부절 卩 머리혈 頁 삼합집에서 구부린 사람, 관리가 명령하여 사람들을 거느린다, 대통령
거느릴통 統 실멱 糸 채울충 充 흐를류 流 앞에있는 실타래는 뒤에 있는 실타래를 거느려 흐르게 한다, 따라오게 한다, 대통령
공경경 敬 풀초 艹 개구 狗 칠복 攵 귀를 쫑긋 새운 개를 몽둥이로 쳐서 공경하게 하는 모습
권세권 權 나무목 木 황새관 雚 나무위 황새의 모양이 권세가 있어 보인다
명령령 令 삼합집 亼 병부절 卩 삼합집에 꿇어 앉은 사람이 명령내리는 모습
무리등 等 대죽 竹 관청사 寺 관청에 있는 대나무 죽간은 등급별로 무리지어져 있다, 등급
벼슬관 官 집면 宀 등뼈려 呂 집, 관청에 앉아 등뼈를 곧게 세운 벼슬아치, 관리
벼슬사 仕 사람인 亻 선비사 士 선비는 무사이다, 무사는 벼슬아치
위엄위 威 개술 戌 여자여 女 도끼를 들고 점령한 점령군은 점령지 여자들을 권위로 위협한다
으뜸원 元 우뚝할올 兀 한일 一 우뚝선 사람이 자신이 1인자라, 으뜸이라 생각함
임금군 君 다스릴윤 尹 입구 口 손짓과 입으로 다스리는 임금, 군왕, 군림
임금왕 王 임금왕 王 임금이 쓰는 구슬 왕관 모양
임금제 帝 설립 立 수건건 巾 서서 수건으로 군대를 지휘하는 임금, 제후
임금황 皇 흰백 白 주인주 主 임금을 밝히는 큰 촛대에서 밝은 빛이 나는 모습, 황제
정사정 政 바를정 正 칠복 攵 바르게 되도록 몽둥이로 치는 것이 정치이다
주인주 主 주인주 主 촛대의 촛불을 밝혀 주인, 임금 옆에 두는 모습
지경계 界 밭전 田 끼일개 介 밭과 밭 사이에 끼인 경계
한국한 韓 해빛날간 倝 가죽위 韋 해가 빛나고 해가 가죽처럼 두른 나라 한국
한수한 漢 물수변 氵 진흙근 菫 물과 진흙이 있는 강을 끼고 있는 나라 한나라
728x90

'중학교 필수 한자 900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 한자 암기책 3/3  (0) 2022.03.20
중학교 한자 암기책 2/3  (0) 2022.03.19
중학교 한자 암기책 1/3  (0) 2022.03.13
중학교 필수 한자 900자 1/3  (0) 2021.03.12
중학교 필수 한자 900자 3/3  (0) 2020.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