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를 안 외울거면 몰라도 일단 한자를 외우려면 한자의 알파벳 글자 300글자는 무조건 외워야 합니다. 알파벳을 모르고 영어가 없듯이 한자를 잘 모르는 것은 이 한자 알파벳 300글자를 외우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알파벳 300글자에 대한 이해가 없이 한자 공부를 하는 것은 모래위에 집짓는 것입니다. 몇 십년 공부해도 기초가 없어서 엄청난 시간을 들이고도 진전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알파벳이 아닌 그림처럼 외우기 때문에 잠깐 기억하고 있다는 착각을 가집니다. 막상 쓰려면 무슨 뜻인지 무슨 음인지 읽을 수도 쓸수도 없습니다.
300 글자를 외우면 모르는 한자 단어를 천천히 풀어서 이야기를 만들어 보면 언젠가 배웠던 그 글자의 뜻과 음이 생각납니다. 글자를 쓰려고 할 때 이야기를 떠올리고 그 이야기에 따라 알파벳 한글자 한글자 쓰면 글자가 완성됩니다.
처음부터 한 번에 너무 잘 하려고 애쓰지 마십시요. 인간은 AI가 아닙니다. 하루 하루 밥먹고 자라가는 것입니다. 나이가 들어가고 지식이 쌓이며 이 글자들이 나의 의식과 말에 젖어들어 나의 생각을 정리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게 만들어 갈 것입니다.
01. 수
고대인들은 글자와 종이가 없을 때 나무가지를 겹쳐 놓거나 벽에 작대기를 그려서 수를 표시하거나 셈을 했습니다.
1.1 한일 一
: 나무 작대기 하나
1.2 두이 二
= 한일 一 + 한일 一 : 나무 작대기 둘
1.3 석삼 三
= 한일 一 + 한일 一 + 한일 一 : 나무 작대기 셋
1.4 넉사 四
=나라국 囗 (나무 작대기 넷) + 어진사람인 儿 (다리) : 나라 국경 성벽은 네면, 짐승 다리도 넷
1.5 다섯오 五
= 석삼 三 (나무 작대기 셋) + 두이 二 (나무 작대기 둘) : 가로 셋 세로 둘 겹친 작대기 모양
나무 작대기를 하나 하나 겹쳐서 다섯을 표현했지만 여섯부터 문제가 생겼습니다. 나무 작대기가 너무 많아지는 문제가 있고 나무 작대기가 몇개인지 쉽게 구분도 안된다는 것입니다. 고대인들은 나무 작대기로 신체의 일부분을 표현하여 숫자로 삼았습니다.
1.6 여섯육 六
= 돼지머리두 亠 (머리) +여덟팔 八 (편팔)
: 다섯 다음의 첫수를 돼지머리 모양으로 놓는 팔의 모양, 다섯 다음의 머리수가 육이다.
1.7 일곱칠 七
= 한일 一 (나무 토막) + 숨을은 乚 (내리치는 칼날)
: 손에 칼을 잡고 내리치면 칠하는 소리가 난다.
1.8 여덟팔 八
: 사람의 양 팔 모양
1.9 아홉구 九
: 무언가 잡으려 구부린 한쪽 팔 모양
아홉 이상 좀더 큰 수에는 신체를 표현하는 것이 어렵게되자 사물을 수의 상징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1.10 열십 十
= 한일 一 (나무 작대기) + 한일 一 (나무 작대기)
: 나무 작대기 두개를 겹쳐놓아서 10을 표현
1.11 일백백 百
: 나무에 달린 말벌집, 말벌집에는 벌이 백마리쯤 있어 말벌집으로 100을 표현
1.12 일천천 千
= 삐침별 丿 + 열십 十
: 밭 이랑이 두둑한 모양, 마을 밭이랑이 수천개다. 1000을 표현
1.13 일만만 萬
= 풀초 艹 (집게발) + 밭전 田 (몸통) + 발자국유 禸 (쏘는 꼬리)
: 집게발과 쏘는 꼬리를 가진 전갈, 전갈은 곳곳에 있다. 전갈로 10,000을 표현
1.14 일억억 億
= 사람인 亻 + 설립 立 + 가로왈 曰 + 마음심 心
: 사람의 머리, 입, 마음에는 억만가지 생각이 있다. 생각으로 100,000,000을 표현
1.15 일조조 兆
: 소뼈를 태워 타들어간 모습으로 점을 치는 소뼈점.
소뼈점의 경우의 수는 아주 많다. 소뼈점으로 1,000,000,000,000를 표현
02. 천체
고대인은 하늘을 쳐다 보았습니다. 하늘에는 여러 천체들이 있었습니다. 이 천체들이 아주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보고 시간을 표현하였습니다.
2.1 날일 日
: 가운데 흑점이 있는 해, 해가 뜨고 지면 한날이 된다, 1일이 된다.
2.2 달월 月
: 초승달 모양, 달이 차고 기울면 한달이 된다.
2.3 저녁석 夕
: 초저녁에 초승달이 뜨고 구름이 지나는 모양
03. 산
주위를 둘러보면 하늘 다음으로 많이 보이는 것이 산입니다. 한자에도 산이 다른 글자들의 밑글자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1 뫼산 山
: 산봉우리가 3개인 아주 높은 산
3.2 언덕구 丘
: 봉우리가 2개인 약간 높은 언덕
3.3 언덕부 阜
: 봉우리가 2개가 이어진 언덕
3.4 언덕부 阝
: 봉우리가 2개 이어진 언덕의 간략형, 적의 침입으로 마을을 보호할 수 있어 언덕위에 마을이 형성됨. 고을읍 邑의 약자로도 활용됨
3.5 기슭엄 厂
: 바위 아래 굴이 있는 굴바위, 집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절벽으로 사용되기도 함
3.6 돌석 石
= 기슭엄 厂 + 입구 口
: 산 기슭에 박혀 있는 큰 호박돌
3.7 스물입 廿
= 한일 一 + 입구 口
: 땅 바닥에 박힌 돌맹이 모양
3.8 작을소 小
: 무언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질 때 주변에 작은 부스러기들도 같이 떨어진다
04. 천
고대인은 산에서 흘러 나오는 시냇물을 보았습니다. 그 근원이 궁금하여 물길을 따라 올라가 보았습니다.
4.1 골곡 谷
: 숲이 우거진 골짜기에 강의 발원지가 감추어져 있는 모양
4.2 내천 川
: 시냇물이 흘러 가는 모양
4.3 내천 巛
: 시냇물이 흘러 가다 굽이지는 모양
4.4 큰도랑괴 巜
: 시냇물과 연결된 굽이진 도랑 모양
4.5 물수 水
: 시냇물의 지류와 본류가 만나는 모습
4.6 물수변 氵
: 물방울이 떨어지는 모양, 물을 대표하는 밑글자, 삼수변이라고도 함
4.7 얼음빙 冫 이수변 冫
: 물방울이 언 모양, 물이 얼어서 획이 하나 사라짐, 이수변이라고도 함
4.8 이를운 云
: 층층이 쌓인 구름 모양, 구름에 발이 달린 것처럼 움직이며 산에 이른다는 뜻
4.9 비우 雨
: 비가 올 때 기와집 처마에서 빗방울이 방울 방울 떨어지는 모양
4.10 펼신 申
= 밭전 田 + 뚫을곤 丨
: 비가 올때 밭에 번개가 떨어진 후 넓게 펼쳐지는 모습. 번개가 여러 번 친다는 의미에서 거듭 신으로도 쓰입니다. (예: 신신당부)
05. 초
우리가 사는 주변에는 곳곳에 풀이 돋아납니다. 이 풀은 사람들의 먹을거리, 입을거리, 사는 집과 연관된 글자들의 밑글자로 사용됩니다.
5.1 아니부 不 , 아닐불 不
: 땅속에 뿌리만 있고 땅위에 잎이 돋지 않았다는 뜻
5.2 풀초 艹
: 땅에서 돋아난 풀을 옆에서 본 모양, 줄기와 잎만 표현함
5.3 예쁠봉 丰
: 땅에서 돋아난 풀싹이 예쁘다는 뜻, 가시나무의 뜻으로 사용되기도 함
5.4 날생 生
: 땅에서 돋아난 풀이 제법 자라서 잎이 여러 개 나온 모양
5.5 부탁할탁 乇
: 밭이랑에 모종 싹이 돋아난 모양,
모종에 자주 물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누군가에게 모종을 부탁한다 뜻
5.6 평평할평 平
: 물 표면에 개구리 밥이 떠 있는 모양,
물의 표면은 지구 중력 방향으로 일정한 평면을 유지함, 평평하다
06. 목
우리가 사는 지구에서 나무의 중요성은 엄청난 것입니다. 한자에서도 나무의 존재감은 아주 큽니다.
6.1 나무목 木
: 나무의 가지, 줄기, 뿌리 모양
6.2 가시자 朿
= 나무목 木 + 덮을멱 冖
: 나무에 가시가 덮여 있는 모양
6.3 묶을속 束
= 나무목 木 + 가운데 中
: 나뭇단 가운데를 묶어 놓은 모양, 묶는다는 동사로 쓰이기도 함
6.4 성씨씨 氏
: 나무의 뿌리가 얽히고 섥힌 모양, 부계 혈족 성씨에 사용, 예를 들어 김씨, 이씨, 박씨
6.5 대죽 竹
: 대나무의 뾰족한 잎과 길죽한 줄기 모양, 여러 그루가 한군데서 자라는 모양
07. 동물
동물은 사람의 의식주 및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동물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글자를 만든 경우도 많습니다.
가축 혹은 사람과 친근한 동물
7.1 개견 犬
: 혀를 내밀고 헥헥대는 개의 모습
7.2 개견변 犭
: 개견을 변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간략형, 시계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개의 모습이 됨
7.3 돼지시 豕
: 머리가 없는 돼지 모양, 돼지의 다리, 몸통, 털, 꼬리
7.4 돼지머리두 亠
: 몸통이 없는 돼지 모양, 잘라 놓은 돼지의 머리
7.5 돼지머리계 彑
: 돼지머리, 고슴도치라고도 함
7.6 돼지해 亥
: 돼지의 다리를 자른 모양, 머리, 몸통, 꼬리
7.7 소우 牛
: 소의 뿔과 앞에서본 머리 모양
7.8 소축 丑
: 동물 발톱 모양, 12지간 소축으로 차용
7.9 말마 馬
: 말의 갈기와 다리 모양, 갈기를 휘날리며 다리가 안보이도록 달리는 말의 모양
7.10 사슴록 鹿
: 집지붕같은 사슴의 가죽, 뿔, 다리 모양
7.11 양양 羊
: 양의 머리 앞에서 본 모양
7.12 원숭이우 禺
: 원숭이 머리, 몸, 꼬리
7.13 코끼리상 象
: 코끼리 코, 귀, 다리, 꼬리
7.14 토끼묘 卯
: 토끼의 쫑긋한 두 귀
새
7.15 새을 乙
: 새의 머리, 구부러진 목, 몸통 모양
7.16 새조 鳥
: 새 머리, 몸통, 다리
7.17 새추 隹
: 새가 날개를 접고 앉이 있는 모양
7.18 서녘서 西
: 해가 서쪽으로 질때 새가 둥지로 돌아가 앉을 때 보이는 다리 모양
7.19 깃우 羽
: 새의 두 날개와 깃털 모양
7.20 날비 飞
: 날개짓하여 날으는 새의 날개 모양
7.21 아닐비 非
: 새의 두 날개가 날개짓할 때 뒤로 뒤집어져 진 모양,
새가 날아가고 없다. 아니다 라는 뜻으로 사용
곤충
7.22 벌레훼 虫
: 날개 달린 벌레, 접힌 벌레 다리 모양
물에 사는 동물
7.23 물고기어 魚
: 물고기, 입, 비늘, 여러 가닥의 꼬리 지느러미
7.24 다시재 再
: 산소부족한 물고기가 물밖에 나오고 또 나온는 모습
7.25 조개폐 貝
: 주름있는 조개 껍데기, 내민 발
맹수
7.26 범호 虎
: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줄무늬 호랑이 모양, 밑글자로 사용될 때는 범호 虍 가 쓰임
7.27 능할능 能
: 곰의 머리, 몸통, 다리 모양, 곰이 재주가 많다, 능하다
파충류
7.28 뱀사 巳
: 상체를 키운 코브라 뱀 모양
7.29 용룡 龍
: 용의 머리, 몸통, 등지느러미, 꼬리 모양
동물의 몸 일부분
7.30 뿔각 角
: 세로 주름있는 뽀죡한 소뿔
7.31 더불여 与
: 코끼리 상아, 상아를 함께 더불어 들어올린다. 상아를 주고 받는다.
7.32 어금니아 牙
: 길게 튀어나온 짐승의 이빨
7.33 혀설 舌
: 끝이 두개로 갈라진 뱀의 혀,
사람의 혀는 달감 甘 으로 달다라는 감각을 나타내거나
무언가 맛보려고 혀를 내미는 모양으로 사용됨
7.34 가죽위 韋
: 동물의 벗겨진 가죽, 가죽 위 아래는 두 다리 모양
7.35 가죽피 皮
: 짐승을 매달고 손에 비수를 들고 짐승의 가죽을 벗기는 모양
7.36 가죽혁 革
: 벗겨진 짐승의 가죽 모양, 머리, 몸통, 꼬리 모양
7.37 터럭모 毛
: 짐승의 꼬리에 난 털 모양
7.38 터럭삼 彡
: 긴 털 모양
7.39 고기육 肉
: 고기의 근막과 힘줄 모양
7.40 꼬리파 巴
: 짐승의 두 엉덩이와 꼬리 모양
7.41 남녘병 丙
: 남쪽 지방에서 잡히는 큰 물고기의 꼬리 지느러미 모양
7.42 발자국유 禸
: 짐승의 발자국 모양
7.43 분별할변 釆
: 땅에 새겨진 짐승의 발자국을 살펴서 무슨 종류 짐승인지 분별함
7.44 싸울투 鬥
: 두 짐승이 일어서서 발톱을 세우고 싸우는 모습
08. 농사
고대인들에게 농사는 의식주를 해결하고 문화의 중심에 놓여 있었습니다.
8.1 밭전 田
: 밭이 있는 곳에는 여러 개의 밭이 이어져 있다, 격자 무늬 밭 둑 모양
8.2 채마밭포 甫
: 격자 무늬의 밭인데 새가 앉지 못하도록 허수아를 세운 채마 밭
8.3 멀경 冂
: 밭의 가장자리를 따라 걸으면 가장 먼길이 된다.
8.4 모방 方
: 쟁기의 날 모양, 쟁기의 날이 네모다.
8.5 쟁기뢰 耒
: 나무 쟁기 모양
8.6 힘력 力
: 쟁기 모양, 쟁기가 힘차게 땅을 파헤치는 모양, 힘을 상징
8.7 콩숙 尗
: 아래 뿌리가 있고 줄기에 콩 꼬투리가 열린 모양,
콩알이 핏방울 모양이라 아재비숙 叔 = 콩숙 尗 + 또우 又 에서는
핏방울을 손에 잡은, 피를 나눠 가진 아저씨로 쓰임
8.8 벼화 禾
: 벼의 이삭, 잎, 뿌리 모양
8.9 쌀미 米
: 도정한 하얀 쌀알이 사방으로 튀는 모양
8.10 올래 來
: 보리 잎, 줄기, 뿌리, 보리가 자라면 봄이 온다
8.11 차조출 朮
: 이삭이 잎 아래로 늘어진 차조 포기 모양
8.12 오이과 瓜
: 덩쿨에 달린 오이 모양
8.13 재주재 才
: 모종의 싹 모양, 모종을 키우는 것이 재주이다, 손수변 扌 으로 사용되기도 함
8.14 별진 辰
: 조개껍데기와 내민발 모양, 조개껍데기로 만든 낫, 곡괭이를 의미함,
농사 일을 나가는 아침 시간을 가리키기도 함
8.15 고무래정 丁
: 곡식 건조를 위해 넓게 펼치는 도구 고무래, 정자정 亭에서는 사다리로 쓰이기도 함
8.16 그기 其
: 곡식을 까불려 까끄라기나 껍질을 날려버리는 키 모양
8.17 어질량 良
: 석발기, 쌀에서 돌을 골라내는 석발기 모양
09. 사회
고대인들은 자연 부락을 이루며 살다가 한자가 정리되던 한나라 시대에 이르러 사회를 이루기 시작했습니다. 직업과 계급이 생기고 범죄를 일으키는 사람을 벌주기도 했습니다.
9.1 고을주 州
: 강이 흘러가다 유속이 느려지는 강하구에 비옥한 삼각주가 생겨났고
그 삼각주에 마을이 형성되었습니다. 경주, 광주
9.2 바를정 正
: 농촌 마을과 달리 네모 반듯한 직각의 도시 거리 모양, 반듯하다, 바르다는 뜻으로 사용
9.3 저자시 市
= 열십 十 + 수건건 巾
: 열십자 장대에 가게 이름이나 상품이름을 쓴 수건을 걸고 장사하는 시장 모습
9.4 선비사 士
: 갑옷을 입어 상체가 커 보이는 무사, 선비 모양
9.5 역사사 史
: 꼿꼿한 자세로 손에 붓을 들고 역사를 기록 중인 사관의 모습
9.6 매울신 辛
: 죄인의 얼굴에 문신하는 도구, 문신은 아프다, 맵다
9.7 글월문 文
: 죄인의 얼굴에 문신한 죄명, 문신한 죄명이 글자, 문자이다.
9.8 다행행 幸
: 죄인을 체포한 후 죄인의 손에 채우는 수갑 모양, 흉한 죄인을 잡아서 다행이다.
9.10 가운데앙 央
: 죄인을 체포한 후 죄인의 목 중앙에 칼을 채운 모습
10. 의
사람이 태어나면 알몸으로 태어납니다. 어머니의 뱃속을 떠난 인간에게 입는 옷은 생존이며 무기이며 신분이며 자아정체성입니다. 한자가 형성될 때는 합성섬유가 없었기 때문에 대부분 짐승의 가죽, 털, 삼베, 명주, 비단 등의 이용하여 옷을 만들었습니다.
10.1 북방임 壬
: 위 아래 두부분으로 구성된 실패, 북방임으로 차용
10.2 서로호 互
: 위 아래 두부분으로 구성되어 서로 합쳐져서 하나가된 실패
10.3 겉표 表
= 예쁠봉 丰 + 옷의 衣 : 동물의 털이 가시처럼 돋은 겉옷 모양
10.4 구할구 求
: 털옷이 사람을 추위로 부터 구했다.
10.5 삼마 麻
= 집엄 广 + 나무목 木 + 나무목 木
: 앞트인 집에서 나무같은 삼을 삶고 두드려 펄프를 추출하는 모양
10.6 솜면 綿
= 실멱 糸 + 비단백 帛
: 실로 만들수도 있고 새 하얀 비단 수건처럼 만들 수도 있는 솜, 면
10.7 오로전 專
: 실을 만들기 위해 방추나 물레를 손으로 오로지 한 방향으로 돌리는 모양
10.8 실멱 糸
: 솜, 삼, 누에고치로 부터 실을 뽑아서 실타래를 만드는 모양
10.9 얽힐구 丩
: 지나가는 실에 다른 실이 얽힌 모양
10.10 작을요 幺
: 실타래를 눌러서 작게 만들어 놓은 모양
10.11 이을계 系
: 실타래의 끝 실이 다른 실과 이어진다, 계속된다.
10.12 흰백 白
: 흰 비단을 한 필 단위로 감았을 때 끝이 튀어 나온 모양, 촛불이 발하는 흰 빛이라고도 함
10.13 수건건 巾
: 염색한 수건을 장대에 걸어 건조 중인 모습
10.14 짝필 匹
: 옷을 만들 때 사람 다리를 감추는 앞감과 뒷감이 합쳐져서 한 짝이 된다, 필이된다, 배필
10.15 잠깐사 乍
: 바느질할 때 바늘땀이 잠깐 잠깐 보이는 모양
10.16 옷의 衣 , 옷의 衤
: 상의 모양
10.17 의지할의 依
= 사람인 亻 + 옷의 衣
: 사람이 옷에 의지 한다
10.18 항상상 常
: 큰 기와집 아래에 있는 여자들이 수건을 치마처럼 항상 두르고 다니는 모습
10.19 치마상 裳
= 오히려상 尙 (큰 기와집) + 옷의 衣
: 큰 기와집 처마 같이 품이 넓은 옷, 치마
10.20 쓰게모 冃
: 덮어 쓰는 모자 모양
10.21 임금왕 王
: 임금이 쓰는 왕관에 옥구슬이 주렁주렁 달린 모양
10.22 누를황 黃
: 황제의 옷에 달린 황옥 흉패 모양, 누런색
11. 식
사람이 음식을 먹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음식은 먹혀서 그 사람의 몸이 됩니다. 그럼 사람이 음식을 먹는 것일까요 아니면 음식이 사람을 먹는 것일까요? 고대 중국에서도 먹는 것은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이었고 한자에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요리하기 전 도구들
11.1 말두 斗
: 국자 모양, 쌀이나 콩을 일정량 계량하는 기구
11.2 되승 升
: 되의 수평을 깍는 평미래를 손에 든 모양
11.3 구기작 勺
: 국물을 뜨는 국자 모양
11.4 낮오 午
: 절굿공이와 그림자, 대낮에는 절구를 사용하지 않아 절굿공이가 수직으로 세워져있고 그림자가 짦아짐, 정오 등 시간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용됨
요리할 때 필요한 도구들
11.5 기운기 气
: 밥을 할때 뚜껑을 들썩이는 증기 모양, 증기가 기운이 세다
11.6 거듭증 曾
: 증기로 무언가를 찌는 시루모양, 아래 항아리에 윗 항아리가 거듭해서 얹어져 있다
식사때 필요한 도구들
11.7 합할합 合
= 삼합집 亼 + 입구 口
: 삼합집 모양 밥뚜껑과 입구모양 밥그릇이 합쳐진 모양
11.8 그릇명 皿
: 국물을 담는 그릇 모양, 피혈 血에서 그릇위에 핏방울이 떨어지는 모양
11.9 장군부 缶
: 한쪽끝이 막히고 한쪽 끝에 구멍이 나서 물이나 액체를 보관하는 장군
11.10 비수비 匕
: 밥을 떠먹거나 훠거를 건져먹는 숱가락, 흉기인 비수로 쓰이기도 함
11.11 어조사야 也
: 물을 담고 있는 주전자 모양
11.12 또차 且
: 찬합위에 또 찬합이 있는 모양
발효 식품을 위한 도구들
11.13 가득할복 畐
: 허리부분이 불룩한 항아리
11.14 닭유 酉
: 마개가 있는 기름병, 술병 모양, 천간의 닭유로 차용됨
12. 주
12.1 삼합집 亼
: 지붕이 땅에 붙은 움집
12.2 집엄 广
: 뒤와 위가 막혀 추위와 비를 막아주는 집
12.3 집면 宀
: 집 지붕 모양, 집가 家 = 집면 宀 + 돼지시 豕
(뱀을 막기 위해 집 아래 돼지를 키웠던 고대 중국집)
12.4 높을고 高
: 지붕이 높은 기와집, 장사하는 상점
12.5 버금아 亞
: 집안에 사거리가 있는 집, 궁궐에 버금
12.6 병들어기댈역 疒
: 사람이 병들면 집안에 있게되고 평상에 기대어 눕게 된다는 뜻
12.7 지게문호 戶
: 경첩이 한쪽에만 있는 문, 지게처럼 생겼다고 지게문이라고 함
12.8 문문 門
: 경첩이 양쪽에 있는 문
12.9 창창 囱
: 벽에 뚫린 창과 창살모양
12.10 비추 帚
: 자루에 수건이 달린 마포 걸레를 손에 잡은 모습
12.11 빛광 光
: 등잔의 기름이 타면서 빛을 내는 모습
13. 제사
고대 중국에서는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면서 조상이 자손들에게 복을 주도록 빌었습니다. 일요일이나 휴일이 없던 중국에서 제사날은 휴일의 개념이었습니다.
13.1 보일시 示
: 높이를 높인 제사 그릇 모양
13.2 콩두 豆
: 콩을 담은 제사 그릇 모양
13.3 솥력 鬲
: 제사 제물을 삶는 솥 모양
13.4 솥정 鼎
: 제사 제물을 삶는 솥 모양
13.5 점괘효 爻
: 산가지를 손에 잡고 점치는 모양
13.6 점복 卜
: 달군 쇠꼬챙이를 소뼈에 찔러 소뼈가 타들어 가는 모습으로 점을치는 소뼈 점
13.7 조짐조 兆
: 달군 쇠꼬챙이를 거북이 등딱지에 찔러 거북이 등딱지가 타들어 가는 모습으로 점을치는 거북이 등딱지 점, 점으로 무슨 일의 조짐을 예측하는 모습
13.8 귀신귀 鬼
: 귀신탈을 쓴 무당의 모습
14. 전쟁
고대 중국은 국가의 체계가 확고하지 않아 전쟁이 많이 일어났습니다. 한자에도 그 흔적들이 있습니다.
14.1 나라국 囗
: 나라의 외곽에 쌓았던 성
14.2 방패간 干
: 성 앞에 세운 수비용 방책
14.3 수레차 車
: 바퀴 2개, 가운데 승용공간 있는 전차
14.4 갑옷갑 甲
: 갑옷을 갑옷걸이에 걸어놓은 모양
14.5 개술 戌
: 날이 많은 창 모양
14.6 창과 戈
: 날이 선 창 모양
14.7 창모 矛
: 날이 많은 창 모양
14.8 칠복 攵
: 손에 막대기를 들고 무언가를 치는 모양
14.9 화살시 矢
: 날이 위로, 깃이 아래로 간 화살 모양
14.10 활궁 弓
: 활과 활 시위 모양
14.11 망할망 亡
: 네모난 칼의 한쪽이 부러진 모양, 칼이 망가진 것으로 싸움에서 진 것, 망한 것을 표현함
15. 사람몸
중국에는 사람이 정말 많습니다. 고대 중국에서도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한자에도 사람몸을 닮은 글자들이 많습니다.
15.1 사람인 人
: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사람 모습
15.2 사람인변 亻
: 사람인을 축소하여 변으로 만든 글자
15.3 설립 立
: 팔과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사람 모습
15.4 아들자 子
: 안아 달라고 팔을 벌린 아이 모습
15.5 여자여 女
: 몸매가 아름다운 여자 모습
15.6 우뚝할올 兀
: 다리를 벌리고 서서 허리에 손을 올리고 우뚝 선 사람 모습
15.7 으뜸원 元
: 다리를 벌리고 서서 허리에 손을 올리고 우뚝 선 사람에게 작대기, 지휘봉을 들어 으뜸이라는 뜻
15.8 큰대 大
: 팔과 다리를 크게 벌린 사람 모습
15.9 터놓을쾌 夬
: 가운데앙 央이 목가운데 칼을찬 죄인인데 터놓을쾌 夬는 목에찬 칼의 한쪽을 터놓은 모양
15.10 하품흠 欠
: 입을 크게 벌려 하품하는 사람 모습
15.11 사내부 夫
: 상투에 비녀를 꽂은 사내 모습
15.12 사귈교 交
: 앉아서 다리를 꼰 모양, 다리를 교차시킨 모양, 다리 둘이 서로 사귄다.
15.13 들입 入
: 높이가 낮은 입구에 들어가기 위해 고개를 숙인 사람 모습
15.14 또역 亦
: 두 겨드랑이, 오른쪽에 겨드랑이가 있고 또 왼쪽에 겨드랑이가 있다
15.15 둥글환 丸
: 구부려 아궁이에 입김을 부는 사람의 등이 둥글다
15.16 달릴주 走
: 달리는 사람 모습, 사람이 달릴 때 발바닥이 보이는 모양
15.17 달릴발 犮
: 친구가 달릴 때 개처럼 혀낼밀고 달리는 모습
15.18 거스를역 屰
: 머리가 아래로 가고 다리가 위로 간 사람 모습, 사람이 물구나무 선다, 거스런다.
15.19 갈거 去
: 사람이 걸어갈 때 다릭가 접히는 모양
15.20 먼저선 先
: 사람이 먼저가려고 발을 내밀고 팔을 휘젓는 모양
15.21 목멜기 旡
: 급히 먹어 목에 무언가 걸려 목이 메인 사람
15.22 면할면 免
: 도끼날 같은 아이가 양수가 흐르는 산도를 빠져나온 모습, 산모는 출산을 마쳐서 산통을 면했다
15.23 빛색 色
: 칼날같은 남성 생식기, 엉덩이와 꼬리 모양 여성 생식기가 만나 성관계하는 모습
15.24 몸신 身
: 임신하여 불룩한 배를 가진 임산부의 몸
15.25 미칠급 及
: 뒤에 있는 사람의 손이 앞서가는 사람의 잡은 모습, 미친다, 따라잡았다.
15.26 병부절 㔾
: 어딘가 떨어지거나 혹은 맞아서 구부린 사람 모습
15.27 병부절 卩
: 허리를 구부린 사람이 무릎을 꿇은 모습
15.28 병부절 卪
: 무릎꿇은 사람허리를 구부린 사람이 무릎을 꿇은 모습
15.29 주검시 尸
: 엎드린 몸과 길게 뻗은 다리를 한 시신 모습
15.30 자척 尺
: 구부린몸과 발, 발을 교차하며 길이를 재는 모습
15.31 이미이 已
: 태아가 뱃속에서 이미, 벌써 다 자랐다
15.32 마칠료 了
: 산도를 빠져나온 아기 모습, 산모가 출산을 마쳤다, 산모의 고통이 끝났다
15.33 시골향 乡
: 구부려서 냄비의 훠궈를 같이 먹는 사람들 모습
16. 신체일부
16.1 쌍상투관 丱
: 상투를 두 개로 묶은 아이의 머리 모양
16.2 머리혈 頁
: 정리수, 코, 수염있는 머리
16.3 머리수 首
: 머리카락, 정수리, 코있는 머리
16.4 채울충 充
: 아이머리가 산도를 채우고 있고 옆으로 양수가 흐르는 모양
16.5 흉할흉 凶
: 얼굴이 일그러져 흉한 모양, 않좋은 낯빛의 얼굴
16.6 낯면 面
: 정리수, 코, 얼굴 윤곽있는 낯, 얼굴
16.7 귀이 耳
: 귓바퀴와 귓구멍을 가진 귀
16.8 괘이름간 艮
: 눈을 크게 그린 구부린 사람 모양
16.9 눈목 目
: 눈과 눈동자를 90도 회전한 모양
16.10 백성민 民
: 까막눈을 껌뻑이는 백성 모양
16.11 신하신 臣
: 신하의 큰 눈알 모양
16.12 가로왈 曰
: 말할 때 벌어지는 입
16.13 달감 甘
: 단것을 맛보려는 혀 모양, 혀는 뱀의 갈라진 혀로 대체 (혀설 舌)
16.14 말씀언 言
: 사람이 말을 하면 그 사람의 코와 입을 쳐다본다.
16.15 머금을함 含
: 입을 크게 벌려 무언가 머금고 목구멍으로 넘기기 전 모양
16.16 이제금 今
: 입에 머금은 것을 목구멍으로 넘기고 입을 벌리고 이제 무얼 먹을까 찾는 모습
16.17 스스로자 自
: 코모양, 코를 가리키며 자기를 가리키는 중국의 문화
16.18 입구 口
: 말하는 입, 먹는 입 모양
16.19 입벌릴감 凵
: 위를 향해 입을 벌리고 감이 떨어지기를 기다리는 입 모양
16.20 달아나배 北
: 두 사람이 등을 맞댄 모양, 달아날 때 등을 보이며 달아남, 배신
16.21 등뼈려 呂
: 등뼈와 등뼈가 맞닿아 있는 모양
16.22 무거울중 重
: 상하좌우 묶은 등짐을 지고 있는 사람 모양, 등짐은 무겁다
16.23 또우 又
: 손, 오른손을 사용하고 또 사용한다.
16.24 마디촌 寸
: 오른손 손목에서 뛰는 맥박모양, 손끝에서 손목마디 까지의 길이가 1촌
16.25 사사로울사 厶
: 팔뚝모양, 자기의 것, 사사로운 것을 챙기는 팔뚝모양
16.26 손수 手
: 손바닥에 난 손의 손금 모양
16.27 손수변 扌
: 손수를 변으로 사용하기 위해 간략화한 모양
16.28 손톱조 爪
: 무언가 잡아 올리는 손 모양, 긴 손톱 모양
16.29 손톱조 爫
: 무언가 잡아 올리는 손 모양, 손톱 모양
16.30 어미모 母
: 어머니의 젖가슴과 젖꼭지 모양, 90도 회전한 모양
16.31 오른우 右
: 일하는 사람의 팔 오른쪽에서 잔소리 하는 입
16.32 왼좌 左
: 미장 장인이 흙손을 잡으면 흙손의 왼쪽에 있게된다.
16.33 왼손좌 屮
: 손 모양
16.34 또우 又
: 오른손, 오른손을 사용하고 또 사용한다
16.35 절구구 臼
: 무언가 잡는 양손 모양, 절구, 함정으로 사용되기도 함
16.36 여덟팔 八
: 양팔을 벌린 사람 팔 모양
16.37 함께공 共
: 여러 사람이 함께 손을 뻗어서 하나의 무엇을 받드는 모양
16.38 받들공 廾
: 두 손으로 무언가 받드는 모양
16.39 긴장 長
: 긴 머리카락을 휘날리는 모양
16.40 나아갈염 冉 冄
: 사람이 앞으로 나가면 휘날리는 긴 수염 모양
16.41 말이을이 而
: 말을 할 때 움직이는 수염, 말이 긴 수염 처럼 계속 이어진다.
16.42 마음심 心
: 여러 개의 방으로 구성된 심장 모양
16.43 마음심 忄
: 심장을 변으로 쓰기 위해 만든 간략형
16.44 북녘북 北
: 두 사람이 등을 마주대고 앉아 있는 모양, 사람이 추우면 북쪽을 등지고 앉는다.
16.45 쌀포 勹
: 아기를 싸고 있는 자궁, 태보 모양
16.46 다스릴윤 尹
: 왕이 백성들을 다스릴 때 손으로 지휘하는 모양
16.47 뒤져올치 夂
: 사람이 지쳐서 발을 끌면서 뒤쳐져서 오는 모양
16.48 등질발 癶
: 등진 두발 모양, 제사 그릇에 켜켜히 쌓아 올린 고기
16.49 갈지 之
: 발바닥 주름 모양, 발로 걸어서 어딘가로 간다는 뜻
16.50 갈착 辶
: 쉬엄쉬엄갈착, 발과 그 뒤의 발자국 모양 (90도 회전)
16.51 걸을척 彳
: 조금걸을척, 발과 그 뒤의 발자국 모양 (90도 회전)
16.52 길게걸을인 廴
: 발과 그 뒤의 발자국 모양 (90도 회전)
16.53 어진사람인 儿
: 보폭을 넓혀서 걷는 어진 사람
16.54 자축거릴촉 亍
: 보폭을 좁게해서 걷는 모습
16.55 그칠지 止
: 앞을 향한 발, 언덕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려고 발을 내밀고 정지하는 모습
16.56 목항 亢
: 두 발목에 채운 족쇄가 발목을 죄는 모양
16.57 발족 足
: 발바닥과 발금 모양
16.58 어그러질천 舛
: 춤추어 어그러진 다리 모양
16.59 없을무 無
: 춤추어 다리가 안보인다. 없어졌다
16.60 짝필 疋
: 발을 가죽으로 감싼 모양, 발소, 피륙을 세는 단위 필
16.61 죽은뼈알 歹
: 살없는 죽은 뼈 모양
17. 기술
17.1 기와와 瓦
: 암키와 수키와 합친모양
17.2 길용 甬
: 양쪽에 담이 솟은 길, 솟을용
17.3 붉을단 丹
: 주사를 캐는 광산의 입구 모양
17.4 붓율 聿
: 손에 붓을 들고 무언가 쓰는 모양
17.5 장인공 工
: 미장 장인의 흙손 모양
17.6 흙토 土
: 흙더미 모양
17.7 그물망 罒
: 그물코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모양
17.8 무릇범 凡
: 범선의 돛 모양, 무릇 모든 범선은 같은 방향을 향한다
17.9 배주 舟
: 배와 배의 삿대의 모양
17.10 우물정 井
: 우물 입구의 나무 격자 모양
17.11 고를균 勻
: 곡식 말의 높이를 수평으로 깍는 평미래 모양
17.12 굽을곡 曲
: 대나무 굽혀서 만든 바구니 바구니 모양
17.13 도끼근 斤
: 도끼날 모양, 무게를 재는 단위로도 사용됨
17.14 쓸용 用
: 나무 조각을 엮어서 만든 나무통 모양
17.15 안석궤 几
: 책상, 의자 모양
17.16 조각장 爿
: 반가른 나무 왼쪽에 가지, 평상, 침상
17.17 조각편 片
: 반가른 나무 오른쪽에 가지, 널, 판자
17.18 주살익 弋
: 동물을 잡는 덫 주살,
(대신할대 代 는 한세대 사람과 다음 세대 사람이 주살로 이은 듯 엮어서 대신한다)
17.19 책책 冊
: 대나무를 엮어서 만든 죽간 책
17.20 클거 巨
: 목수의 큰 자 모양
17.21 홑단 單
: 사냥도구 홑 (2개의 추가 회전하며 짐승 다리를 묶는 사냥 도구)
17.22 검을현 玄
: 실멱 糸 을 꼬아서 만든 밧줄, 벼릿줄
17.23 물줄기경 巠
: 베들 잉아에 걸린 씨실이 물줄기 모양으로 배열된 모양
17.24 새길록 彔
: 식물을 찧어서 보자기에 싸고 짜서 염료를 추출하여 문신을 새긴다.
17.25 서로호 互
: 얼레가 위아래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서로 맞물린 모양
17.26 줄여 予
: 베들의 북 여, 여가 좌우로 왔다 갔다 하며 날실을 준다
17.27 검을흑 黑
: 불땐 아궁이와 굴뚝에 묻은 검댕
17.28 말미암을유 由
: 등잔과 심지 모양, 불이 밝아지는 것은 심지로 말미암음이다
17.29 불화 火
: 모닥불을 피운 모양
17.30 불화 灬
: 불화발, 불화가 아래로 간 모양, 아궁이에서 숯불이 피어 있는 모양
17.31 쇠금 金
: 거푸집을 막 빠져나온 청동 주물이 서로 엉겨붙어 있는 모양, 디버링 전 주물 모양
17.32 업업 业
: 종을 매단 악기의 윗부분 모양, 악공은 전문직, 직업
17.33 주인주 主
: 등잔대와 등잔불 모양, 집에 등잔불을 밝히는 살람은 주인이다
17.34 칼도 刀
: 부엌칼 모양
17.35 칼도방 刂
: 칼도를 방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간략형
17.36 소금로 鹵
: 소금물 끓이는 솥에서 소금 결정이 생긴 모양
18. 추상
18.1 위상 上
: 땅위에 무언가 있는 것을 가리킴
18.2 가운데중 中
: 가운데를 뚫는 모양
18.3 아래하 下
: 땅 아래 무언가를 가리킴
18.4 향할향 向
: 문이나 창문은 그 뚫린 방향을 향함
18.5 꿰뚫을관 毌
: 꿰뚫은 모양
18.6 꿸관 串
: 무언가 여러개를 꼬챙이 하나로 꿴 모양
18.7 뚫을곤 丨
: 무언가 뚫는 송곳 모양
18.8 덮을멱 冖
: 덮개를 덮은 모양
18.9 덮을아 覀
: 항아리나 병을 덮어서 막는 매개 모양
18.10 대세 世
: 막대에 묶은 끈, 묶은 끈의 수로 세월을 표시
18.11 해년 年
: 대세 世 90도 회전한 모양
18.12 돌회 回
: 주위를 도는 모양
18.13 감출혜 匸
: 뒤로 숨으면 안보이는 은폐물 모양, 은폐물이 무언가 감추고 있다
18.14 숨을은 乚
: 은폐물 뒤에 숨은 모양
18.15 삐침별 丿
: 삐친 모양
18.16 점주 丶
: 점 모양
18.17 공교할교 丂
: 공교하게 휜 도구, 갈고리 모양
18.18 어조사우 亏
: 갈고리가 구부러진 모습
18.19 어조사우 于
: 갈고리가 구부러진 모습
18.20 몸기 己
: 새끼줄 휘어 구부러진 모양 표현
18.21 이에내 乃
: 새끼줄 휘어 불룩한 모양 표현
18.22 어조사호 乎
: 도끼를 찍으면 무언가 튀는 모양, 소리가 울리는 모양
'한자 알파벳'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알파벳 표 (0) | 2023.04.23 |
---|---|
한자 알파벳 230자 풀이 (0) | 2022.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