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1.탕액편 1.5 수제법

동의보감 1.탕액편 1.5 수제법

먹물 한자 2024. 11. 30. 07:58
728x90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1
 
55..
 
5. 修製法
 
5. 수제법
 
약을 법제하는 방법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
 
.. .. .. ..
 
夫藥者治病之物. 盖流變在乎病. 主治在乎藥. 製用在乎人. 三者闕一不可也《東垣》
 
부약자치병지물. 개류변재호병. 주치재호약. 제용재호인. 삼자궐일불가야《동원》
 
약이란 병을 치료하는 물건이다. 대체로 흐르듯 변하는 것이 병이다. 치료하는 것이 약이다. 약을 제조하는 것이 사람이다. 이 셋 중 하나라도 빠질 수가 없다. (동원)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3
 
,,
 
○酒能行藥勢, 故藥家多須以行其勢《本草》
 
○주능행약세, 고약가다수이행기세《본초》
 
술은 약의 기운을 잘 돌게 한다. 그러므로 약을 짓는 사람은 약기운이 잘돌게 많이 써야 한다. (본초)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4
 
.. .. ,, .,
 
○凡病在頭面及手梢皮膚者須用酒炒. 欲其上騰也. 病在咽下臍上, 須用酒浸洗. 病在下者生用欲升降兼行者則半生半熟《入門》
 
○범병재두면급수초피부자수용주초. 욕기상등야. 병재인하제상, 수용주침세, 병재하자생용욕승강겸행자즉반생반숙《입문》
 
무릇, 병이 머리, 얼굴, 손, 손가락의 피부에 생겼을 때는 약재를 술에 축여서 볶아서 써야 한다. 약기운은 위로 가게 하기 위해서이다. 병이 목구멍 아래와 빼꼽 위 사이에 있으면, 약재를 술에 담가서 쓰거나 씻어서 쓴다. 병이 아랫도리에 생기면 약기운을 오르기도하고 내리기도 하게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익혀서 사용한다. (입문)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5
 
 
○大黃須氖恐寒傷胃氣也
 
○대황수내공한상위기야
 
대황은 잿불에 구워서 써야 한다. 왜냐하면 성질이 차서 위를 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6
 
 
○川烏附子須礐以制毒也
 
○천오부자수각이제독야
 
오두와 부자로 싸서 구워 쓰는 것은 독을 없애기 위함이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7
 
 
○黃栢知母下部藥也久弱之人須合用之酒浸暴乾恐寒傷胃氣也
 
○황백지모하부약야구약지인수합용지주침폭건공한상위기야
 
황백과 지모는 하부에 쓰는 약으로 허약해진지 오래된 사람에게 쓸 때에는 술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써야 한다. 왜냐하면 성질이 차기 때문에 위를 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7
 
 
○熟地黃酒洗亦然
 
○숙지황주세역연
 
숙지황을 술에 씻어서 쓰는 것도 같은 이유이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8
 
 
○當歸酒浸助發散之意也
 
○당귀주침조발산지의야
 
당귀를 술에 담갔다 쓰는 것은 발산하는 것을 돕기 위함이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8
 
 
○凡藥用火礐湯泡氖炒者製其毒也醋浸薑製曧炙者行經絡也
 
○범약용화각탕포내초자제기독야초침강제융자자행경락야
 
모든 약을 싸서 굽거나 탕으로 우려내거나 잿불에 굽는 것은 독을 없애고자 하는 것이며 초에 담그거나 생강으로 법제하거나 졸인 젖을 발라 굽는 것은 약이 경락으로 가게하기 위함이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9
 
便
 
○凡藥入肺蜜製入脾薑製入腎用檩入肝用醋入心用童便《入門》
 
○범약입폐밀제입비강제입신용름입간용초입심용동편《입문》
 
약을 폐로 가게하려면 꿀로 법제하고 비장으로 가게하려면 생강에 법제하고 신으로 가게하려면 소금으로 법제하고 간에 가게하려면 식초에 법제하고 심장으로 가게하려면 동변에 법제하여야 한다. (입문)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10
 
便宿
 
○製香附子法 必用童便浸一宿焙乾用否則性燥《正傳》
 
○제향부자법 필용동편침일숙배건용부즉성조《정전》
 
향부자를 법제하는 방법은 동변에 하루를 담가두었다가 불기운에 말려야 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약의 성질이 매말라 진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11
 
便
 
○兼血以酒煮 ○痰以薑汁 ○虛以童便浸 ○實以檩水煮 ○積以醋浸水煮 ○佐以木香散滯泄肺佐以沈香無不升降佐以小茴香可行經絡而檩炒則 補腎間元氣《丹心》
 
○겸혈이주자 ○담이강즙 ○허이동편침 ○실이름수자 ○적이초침수자 ○좌이목향산체설폐좌이침향무불승강좌이소회향가행경락이름초즉 보신간원기《단심》
 
어혈이 겹친 데는 술에 담가서 쓴다. 담에는 생강즙으로 법제하여 쓴다. 허한 대는 동변에 담갔다가 쓴다. 실한데는 소금물에 달여서 쓴다. 적에는 식초물에 달여서 쓴다. 목향을 좌약으로 쓰면 체기가 흩어지고 폐기가 잘 퍼지며 침향을 좌약으로 쓰면 무엇이나 잘오르게 되며 소회향을 좌약으로 쓰면 약기운이 경락으로 가고 소금물에 축여 볶으면 신의 원기가 보해진다. (단심)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12
 
 
○當歸須用酒製痰以薑汁浸透者導血歸源之理也熟地黃亦然
 
○당귀수용주제담이강즙침투자도혈귀원지리야숙지황역연
 
당귀는 술로 법제하여 써야한다. 담이 있는 경우 생강즙에 담가서 즙이 침투되게 해서 써야한다. 혈이 병의 근원에 가게하는 이치이다. 숙지황도 이와 같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13
 
 
○痰病半夏爲主以生薑汁白礬湯浸制殺其辛味且造麴入藥尤佳 ○姙婦傷寒用半夏多泡遍數不損胎氣 《丹心》
 
○담병반하위주이생강즙백반탕침제살기신미차조국입약우가 ○임부상한용반하다포편수부손태기 《단심》
 
담병에는 끼무릇(반하)을 주로 사용하는데 생강즙이나 백반을 달인 물에 담가서 아린 맛을 없애야 한다. 반하국을 만들어 쓰면 더 좋다. 임산부의 상한에는 반하 여러번 끓여서 우려낸 것을 쓰는데 태기를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단심)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14
 
 
○遠志巴戟門冬蓮子烏藥之類不去心則令人煩燥
 
○원지파극문동련자오약지류부거심즉령인번조
 
원지, 파극, 천문동, 맥문동, 연밥, 오약 같은 약들은 심을 버리지 않고 사람에게 쓰면 번조해진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15
 
 
○栢子仁大麻子益智草果之類不去皮則令人心搽
 
○백자인대마자익지초과지류부거피즉령인심차
 
측백씨, 역삼씨, 익지인, 초과 같은 약들은 껍질을 버리지 않고 사람에게 쓰면 심장에 문제를 일으킨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16
 
 
○猪巔茯巔厚朴桑白皮之類不去皮則耗人元氣
 
○저전복전후박상백피지류부거피즉모인원기
 
저령, 흰솔풍령, 후박, 뽕나무뿌리 같은 약들은 껍질을 버리지 않고 쓰면 원기가 소모된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17
 
滿
 
○當歸地黃瘴蓉酒洗去土則 無滿悶
 
○당귀지황장용주세거토즉 무만민
 
당귀, 지황, 육종용은 술로 씻어야 속이 답답해지지 않는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18
 
 
○桃杏仁去雙仁及皮尖則不生煿癤
 
○도행인거쌍인급피첨즉부생박절
 
복숭아씨, 살구씨는 두알들이, 꺼풀, 끝을 버리고 써야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19
 
 
○蒼朮半夏陳皮用湯泡洗去其燥性
 
○창출반하진피용탕포세거기조성
 
삽주(창출), 끼무릇(반하), 귤껍질(진피)는 더운 물에 우려서 써야 조한 성질이 없어진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0
 
 
○麻黃泡去沫庶不煩心
 
○마황포거말서부번심
 
마황은 물에 달여 거품을 걷어내고 써야 답답증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1
 
 
○人參桔梗常山去苗蘆則不嘔《入門》
 
○인참길경상산거묘로즉부구《입문》
 
인삼, 도라지(길경), 상산은 노두를 버리고 써야 구역질이 나지 않는다. (입문)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1
 
 
○洑花利水無醋則不能通
 
○보화리수무초즉부능통
 
원화(보화)는 오줌을 잘 나가게하는 작용을 하는데 식초와 같이 쓰지 않으면 효능이 없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2
 
 
○菉豆解毒帶殼 不見功
 
○록두해독대각 부견공
 
녹두는 해독 작용을 하는데 껍질이 있는 상태로는 효과가 없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3
 
 
○草果消膨連殼則反脹
 
○초과소팽련각즉반창
 
초과는 배가 부푼것을 가라앉게 하는데 껍질이 있으면 오히려 부풀게한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4
 
 
○黑丑生利水
 
○흑축생리수
 
나팔꽃씨(흑축)는 생것을 써야 오줌이 잘나가게 할 수 있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5
 
 
○遠志苗毒逢
 
○원지묘독봉
 
원지의 싹은 독이 있을 때 쓴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6
 
 
○蒲黃生破血熟補血
 
○포황생파혈숙보혈
 
부들꽃가루(포황)는 생것을 쓰면 피를 헤쳐지게하고 익혀서 쓰면 혈을 보호한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6
 
 
○地楡止血連梢則不止
 
○지유지혈련초즉부지
 
오이풀뿌리(지유)는 피를 멎게하는데 잔뿌리는 멎게하지 못한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7
 
 
○陳皮理氣連白則補胃
 
○진피리기련백즉보위
 
귤껍질은 기를 풀어주는데 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흰부분을 같이 써야한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8
 
 
○附子救陰生用走皮風
 
○부자구음생용주피풍
 
부자는 음증을 치료하는데 생것으로 쓰면 피풍으로 달아난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29
 
使
 
○草烏療痺生用使人蒙(謂昏蒙 也)
 
○초오료비생용사인몽(위혼몽 야)
 
바꽃(초오)은 저린 것을 치료하는데 생것을 쓰면 몽롱하게 된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30
 
 
○川芎炒去油生用則氣痺痛
 
○천궁초거유생용즉기비통
 
궁궁이(천궁)은 닦아서 기름을 벗겨내고 써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기가 잘 돌지 않게되어 아프게된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31
 
 
○砒宜燒用 ○諸石宜禭過醋柒爲細末《入門》
 
○비의소용 ○제석의수과초칠위세말《입문》
 
비상은 태워서 써야한다. 모든 광물은 초에 담갔다가 곱게 가루내어 써야 한다. (입문)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32
 
 
○火病黃蓮爲主略炒以從邪
 
○화병황련위주략초이종사
 
화병에는 황련을 주로 쓰는데 볶아서 써야 사기를 없앨 수 있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33
 
 
○實火以朴硝湯 ○假火以酒 ○虛火以醋 ○痰火以薑汁浸透炒 ○氣滯火以吳 茱萸水炒 ○食積泄以黃土水炒 ○血痰琋禮痛以乾漆水炒 ○下焦伏火以檩水浸透焙 ○目疾以人乳浸蒸○天花粉以人乳汁蒸竹瀝望過能去上焦痰熱又能止嗽潤肺《丹心
 
○실화이박초탕 ○가화이주 ○허화이초 ○담화이강즙침투초 ○기체화이오 수유수초 ○식적설이황토수초 ○혈담희례통이건칠수초 ○하초복화이름수침투배 ○목질이인유침증○천화분이인유즙증죽력망과능거상초담열우능지수윤폐《단심
 
실화에는 박초 달인물에 담가서 쓴다. 가화에는 술에 담가서 쓴다. 허화에는 초에 담가서 쓴다. 담화에는 생강즙에 푹 담가서 쓴다. 기가 몰려서 생긴 화에는 오수유를 달인 물에 축여서 볶는다. 식적으로 설사하는데는 황토물에 축여서 볶아쓴다. 혈담과 희래통(징가통)에는 마른 옻을 달인 물을 축여서 볶아서 쓴다. 하초에 화가 잠복된데는 소금물에 담갔다가 쓴다. 눈명에는 젖에 담갔다가 쪄서 쓴다. 하늘타리뿌리(천화분) 젖에 축여서 찌고 대기름을 묻혀서 써야 한다. 상초의 담열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하고 폐를 눅여 줄 수 있다. (단심)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34
 
 
○茯巔爲末於 水中攪浮者去之是茯巔筋最損人目《本草》
 
○복전위말어 수중교부자거지시복전근최손인목《본초》
 
○ 솔풍령(茯 )은 가루내어 물에 담그고 저어서 뜨는 것은 버리고 써야 한다. 뜨는 것은 솔풍령의 막(茯 筋)인데 눈을 몹시 상하게 한다(본초).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35
 
 
○兎絲子淘去沙土酒漬三五日取出蒸熟望乾搗之易碎《本草》
 
○토사자도거사토주지삼오일취출증숙망건도지이쇄《본초》
 
○ 새삼씨(兎絲子)는 씻어 일어서 모래와 흙을 버리고 술에 3-5일 동안 담갔다가 쪄서 햇볕에 말려야 가루내기 쉽다(본초).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36
 
 
○神麴大豆黃卷澤蘭蕪荑召甹乾漆蜂房皆微炒《本草》
 
○신국대두황권택란무이소병건칠봉방개미초《본초》
 
○ 약누룩(神麴), 개완두싹(大豆黃券), 쉽싸리(澤蘭), 참느릅(蕪荑), 백강잠(白 簪), 마른옻(乾漆), 봉방(蜂房)은 다 약간 닦아[微炒] 써야 한다[본초].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37
 
鹿
 
○凡湯中用麝香犀 角鹿角羚羊角牛黃蒲黃朱砂須細末如粉臨服納湯中攪勻服之《本草》
 
○범탕중용사향서 각록각령양각우황포황주사수세말여분림복납탕중교균복지《본초》
 
○ 달임약[湯]에 사향(麝香), 서각(犀角), 녹각(鹿角), 영양각(羚羊角), 우황(牛黃), 부들꽃가루(蒲黃), 주사(朱砂)를 넣어 먹을 때에는 반드시 분처럼 보드랍게 가루내어 넣고 고루 저어서 먹어야 한다[본초].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38
 
 
○恄盤斑猫之類皆去頭微炒乃入藥
 
○힐반반묘지류개거두미초내입약
 
○ 등에( 蟲)와 반묘(斑猫) 같은 약들은 다 대가리를 버리고 약간 덕어서[炒] 약에 넣어야 한다.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39
 
 
○朱砂爲衣法凡丸藥一兩以朱砂一錢爲率《東垣》
 
○주사위의법범환약일량이주사일전위솔《동원》
 
○ 알약[丸藥]에 주사를 입힐 때에는 대체로 알약 40g에 주사 4g의 비율로 쓴다[동원].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40
 
 
○牽牛子一斤娓取頭末只 四兩用之《東垣》
 
○견우자일근미취두말지 사량용지《동원》
 
○ 나팔꽃씨(牽牛子)는 600g을 망에 갈아서 맏물가루 160g을 내어 쓴다[동원].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41
 
 
○巴豆凡取仁二錢去膜心油取巴霜一錢重方爲定法《永類》
 
○파두범취인이전거막심유취파상일전중방위정법《영류》
 
○ 파두(巴豆)는 8g을 꺼풀[膜]과 심을 버리고 기름을 빼서 파두상(巴豆霜) 4g을 만들어 쓰는 것이 규정된 방법이다[영류].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42
 
 
○凡用芩蓮梔子知母之類在頭面手皮膚者須酒炒在中焦須酒洗之在下生用凡藥生升而熟降《東垣》
 
○범용금련치자지모지류재두면수피부자수주초재중초수주세지재하생용범약생승이숙강《동원》
 
○ 속썩은풀(黃芩), 황련(黃連), 산치자(山梔子), 지모(知母) 같은 약들을 머리, 얼굴, 손, 피부 등에 생긴 병에 쓸 때에는 술에 축여 볶아[酒炒] 쓰고 중초에 생긴 병에 쓸 때에는 술로 씻어서[酒洗] 쓰며 하초에 생긴 병에 쓸 때에는 생것으로 써야 한다. 대체로 약 기운은 생것으로 쓰면 올라가고 법제하여 쓰면 내려간다[동원].
 
 
탕액편 1권 1.탕액서례 5.수제법 42
 
 
○凡用芩蓮梔子知母之類在頭面手皮膚者須酒炒在中焦須酒洗之在下生用凡藥生升而熟降《東垣》
 
○범용금련치자지모지류재두면수피부자수주초재중초수주세지재하생용범약생승이숙강《동원》
 
○ 속썩은풀(黃芩), 황련(黃連), 산치자(山梔子), 지모(知母) 같은 약들을 머리, 얼굴, 손, 피부 등에 생긴 병에 쓸 때에는 술에 축여 볶아[酒炒] 쓰고 중초에 생긴 병에 쓸 때에는 술로 씻어서[酒洗] 쓰며 하초에 생긴 병에 쓸 때에는 생것으로 써야 한다. 대체로 약 기운은 생것으로 쓰면 올라가고 법제하여 쓰면 내려간다[동원].
 
728x90